전체 글 6446

포항...영일민속박물관 충비 갑연비 外

영일민속박물관 제남헌흥해 동헌 건물이었습니다..2013년 마지막으로 들렸으며 오늘은 충비. 갑연 비석을 찾아왔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133비림충비갑연지비(忠婢甲連之碑)본래 위치는 포항시 용흥동 연화재 중턱에 있었으나, 포항-대구 간 고속국도 진입 도로 확장으로 인하여 흥해 민속박물관으로 옮겼다고 합니다.撰. 가선대부 행 경상도관찰사 병마수군절도사 대구도호부 겸 순찰사 박기수書,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경연 홍문과 제학 이면승 아래 내용은 우리 카페 이상령 님 블로그에서 옮겨왔습니다 “생명을 버리고 대의를 취하며 몸을 죽이고 명분을 이룸은 군자의 일이다.그러나 대의를 알아야 생명을 버리고 명분을 알아야 몸을 죽이는 것이다.생각하건대, 대의와 명분을 알지 못하고도 ..

양산...통도사 성보박물관

성보박물관 실내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접했지만차일피일 미루다가 다녀왔습니다.울산 문수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1787년동축사 반야용선도(복제).20세기초(원본). 종이통도사 괘불탱화. 1792년실상묘법연화경 목패. 17세기밀호가람성신지위 목패. 17세기만력(萬曆) 34년 명 목조 전패. 1606년동종. 보물1686년. 사인비구 작품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37순치(順治) 16년 명(銘) 청동 시루. 1659년목조해치고대 및 홍고(木造獬豸鼓臺 및 弘鼓). 17~18세기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통일신라대좌는 후보 같습니다 좌권인 비로자나불https://cafe.daum.net/moonhawje/MebK/91배례석 배례석(수도권, 강원)https://caf..

울산...울산박물관 영축사지 석불좌상

울산박물관그간 세 차례 들렸으며, 오늘은 동호회 법안 님의 영축사지 석불상 포스팅을 보고 찾았습니다. 12 지상 부도, 옥외전시장https://12977705.tistory.com/8726358https://12977705.tistory.com/8726613https://12977705.tistory.com/8726614영축사지 석조여래좌상, 광배 영축사지https://12977705.tistory.com/8725619대좌는 발견되지 않았고, 불신 상반신, 손, 무릎, 광배가 훼손된 모습입니다.길상좌, 항마촉지인으로 추정, 편단우견, 무릎 옷자락, 무릎 사이로 흘러내린 대의자락이 자연스럽습니다.광배 조각화불 아래는 청송사지 삼층석탑 사리구. 중산리 전탑부재청송사지 삼층석탑https://12977705.t..

울산...원각사 일제강점기 석불

원각사방어산 순환도로 3주차장에서 가파른 길을 잠시 발품 팔면 이릅니다.대웅전 불단88개 영장소 석불 1구. 부동명왕 1구대웅전 뒤편 노천에 봉안되어 있습니다.석불입상연화대좌 아래에 25번 명문이 있으며, 불상 좌우에는 시주자 명단으로 추정되는 명문이 있습니다.25번富田O太朗OOO太郞88기 불상 중 25번 불상입니다.부동명왕방형대좌에 명문이 있으나 육안 식별이 어렵습니다.일제강점기 석불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56원각사울산 대교, 태화강 건너 석유화학공단이며 반대 편에는 현대자동차 야적장입니다.함월산 등산로가 사찰 옆으로 개설되어 있으며 약간 가파르지만 전망이 좋은 곳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24.06.28

부산...선여사지 석탑부재

석탑사. 기장군 정관읍 용수공단2길 70-142014년 어둠이 내린 후 들린 탓에 스님께 인사도 드리지 못하고 대웅전 뒤편 선여사지 석탑 부재를 답사하였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624석탑부재선여사지에서 옮겨온 석탑 기단부, 옥개석 부재가 남아 있습니다. 선여사지船餘寺址 기장군에서 가장 큰 가람으로서 절에 딸린 전답이 300석을 넘었다고 전한다. 『기장현 읍지(機張郡邑誌)』에도 기장현의 사찰로서 제일 먼저 선여사를 적고 있다. 이러한 정황으로 미루어 보아 당시 선여사의 사역(寺域)이 상당히 넓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록 사역을 확인하지는 못하였지만 부산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탑재가 이곳에 있었다는 사실이 지표상에서 확인되고, 1981년에는 부산광역시립..

거창...수승대(搜勝臺)

수승대.국가지정 명승위천면 황산리 890번지중학교 동창 산악회원들과 동행하였으나, 빽빽이 새겨진 암각문을 세심히 살피지 못하고 주마간산으로 눈에 담았습니다.수승대"영남 제일의 동천(洞天: 산천으로 둘러싸인 경치 좋은 곳)으로 알려진 ‘안의삼동(安義三洞)’ 중 하나로 원학동 계곡 한가운데 넓은 화강암 암반으로 이루어진 계곡이다. 이곳은 암반 위를 흐르는 계류와 숲이 어우러져 빼어난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어 2008년에 명승으로 지정되었다.수승대는 이곳이 신라와 백제의 국경이었던 관계로, 신라로 가는 백제 사신들이 수심에 차서 송별하는 곳이어서 수송대(愁送臺)라 불렸다고 한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이곳의 풍경을 예찬하는 시를 한 수 읊은 뒤부터 수승대(搜勝臺)로 그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수승대에는 거..

안성...서운산 청룡사

칠장사올봄에도 은적암지 승탑 한 기를 답사하며 스쳐지나왔지만, 마지막 답사는 마지막 답사는 2018년이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59612018년 보수 공사 중이었는데 불사가 완료된 대웅전과 중정고풍스러운 맛은 사라지고 낯설고 따뜻한 느낌도 없었습니다.소조석가여래삼존 만력 31년(1603). 금어 광원(廣圓) 외대웅전 후불도를 비롯 대부분 불화는 모사본이며, 원본은 유물전시관(?)에 보관 중입니다.유물전시관은 관람을 요청하였으나 개방하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동종1674년에 제적된 사인 비구 작품입니다.복제? 사인 비구 제작 동종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37명부전목조지장보살 외. 조선 후기불화는 모사본삼층석탑하층기단 갑석 이..

경기도/안성시 2024.08.03

안성...석남사 오층석탑

오늘은 마애여래입상을 찾아왔지만, 보수공사 중이어서 사진에 담지 못했습니다.오류가 있지만 옛글(2009년)로 대신하며 오층석탑 2기 사진만 올립니다. 석남사(2009년)https://12977705.tistory.com/8722820 석남사 승탑원(2018년)https://12977705.tistory.com/8725962오층석탑예전 글에는 단층기단이라고 기록했으나 동탑은 하층기단 갑석 이하가 매몰된 2층 기단으로 추정되며, 서탑은 기단갑석이 망실된 단층 기단 같습니다. 두 석탑은 고려말~조선초에 조성된 석탑으로 전하며 본래자리 여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동오층석탑하층기단 갑석 이하 매몰기단중석과 부연이 생략된 갑석은 본래 부재가 맞는지.탑신부몸돌과 옥개석 하나가 결실된 상태이며 비례로 보면 3층석탑과 옥..

경기도/안성시 2024.08.03

안성...약사사 석조약사여래좌상. 석조보살좌상

약사사안성시 서운면 동양촌길 172다른 절집 대웅전과 다르게 독특한 전각입니다.스님도 계시지 않았고, 다른 자료를 검색해도 사적을 찾을 수 없었으나, 2005년 발간된 '안성시 문화유적분포지도'에 간략히 소개되어 있습니다."창건시기. 근대. 예전부터 있었던 절터에 세웠으며, 요사 주변에 기와 편이 산재해 있다. 가람으로는 법당. 산신각. 용왕전. 요사 등이 있다. 현재 법당에 불상이 모셔져 있는데 중창 때 주변에서 발굴되었다고 한다. 호분을 두텁게 칠을 해놓아 원래의 모습을 알기가 어려운 상태이다."대웅보전 불단약사.석가.아미타석조약사여래좌상문화유적분포지도에 기술된 내용처럼 호분을 두텁게 입혔습니다.소발. 육계가 높습니다.원만 상호, 삼도는 불분명하며, 우견편단, 왼손에 정병을 들고 있습니다.길상좌, 무..

경기도/안성시 2024.08.01

안성...동천리 석불입상(미륵)

2009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서원면 동촌리 마을회관 앞 넓은 포도 비닐하우스 안에 계십니다.여기저기 하우스 실내를 기웃거리는 저에게 순을 치던 아주머니가 반가운 목소리로 안으로 들어와서 보고 가라고 합니다.2009년 글"유란자방님은 동선에도 없었던 동천동 미륵으로 안내했다. 넓은 들판 비닐하우스 가운데에 서 있었다. 안성 지방 다른 미륵처럼 한 쌍으로 모셨다. 본래에는 지금보다 높은 기단 위에 조성된 듯했다. 작은 미륵은 머리가 멸실되었고 피곤한 듯 어깨를 숫미륵에게 기대고 있다. 미륵이지만 장승처럼 마을을 수호하는 비보책으로 조성한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다. 마음씨 고운 유란자방님은 하루종일 땀 흘리는 '일하는 미륵'으로 부른다고 하였다. 모를 찌고 심고 김을 매고 거름을 뿌리고 그런 미륵이라고 했다..

경기도/안성시 2024.07.31

안성...용화사 석불입상

용화사.미양면 법전길 260-3115년 만에 다시 찾은 까닭에 전혀 기억에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축대가 있었는지?석조여래입상절집 환경은 기억하지 못해도 석불은 여전하십니다.2009년 사진 예전에는 불단 때문에 하복부 이하는 볼 수 없으며 숫미륵이 우측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09년 글(서울 사는 노을누리랑 함께 동행했는데 이후 연락은 되지만 한 번도 만나지 못했다.) "용화사 초입. 넷상에서만 알고지냈던 예쁘고 목소리 고운 유란자방님이 기다리고 계셨다. 만남의 즐거움은 물론 덤으로 선물하신 귀중한 자료도 평생 잊지 못할 것 같다. "용화사(龍華寺)는 지소현 스님이 불교 포교를 위해 고향으로 내려오던 중에 용이 하늘로 오르며 자신이 솟아난 땅을 내려다보는 꿈을 꾼 후 그곳에 사찰을 건립하였다." 유란자방..

경기도/안성시 2024.07.30

안성...유명건 묘갈

유명건 묘갈. 경기도 문화재 자료고삼면 삼은리 산 2-1 고삼저수지에 인접해 있습니다.묘 답산은 관심 분야가 아니지만 특이한 비머리를 찾아왔습니다. 유명건 묘갈유명건의 조카 유척기가 영의정으로 재직 때인 1758년에 세웠다고합니다.(문화재청 자료. 묘갈은 1758년에 건립했으나 개석이 비신과 크기가 맞지 않는다. 개석의 양식은 1720년대로 추정된다.)영조 때 유학자 도암 이재 (李縡:1680~1746 )가 찬하고, 장인 곡운 김수증( 金壽增:1624~1701) 글을 집자하였으며, 제액은 유척기(兪拓基:1691~1767)의 글씨입니다. 유명건1664년(현종 5)∼1724년(경종 4). 조선 중기 문신‧유학자. 자는 중강(仲强)이다. 본관은 기계(杞溪)이다.예조판서(禮曹判書) 유여림(兪汝霖)의 후손으로,..

경기도/안성시 2024.07.29

안성...칠현산 칠장사

2011년 이후 첫 순례입니다.옛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443철당간. 고려유형문화재철당간은 청주 용두사지. 계룡산 갑사에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당간, 당간지주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31칠장사 사적비. 1671년소조사천왕상. 유형문화재1726년(사천왕문 건립 년) 추정 동방 지국천. 남방 증장천서방광목천. 북방 다문천대웅전. 보물 1790년(정조 14년) 중창. 1828년(순조 28년) 이건목조석가삼존불. 1685년康熙二十四年乙丑六月日造成 혜희(慧熙) 스님의 계보인 마일(摩日)과 천기(天機) 스님을 비롯한 모두 8명의 조각승의 작품불단 측면불단 측면불단 정면목조석가여래목조미륵보살목조제화갈라보살영산회상도 金谷永煥..

경기도/안성시 2024.07.29

안성...칠장사 삼층석탑. 칠장사 석탑

칠장사삼층석탑을 기술한 글은 2011년이 마지막입니다삼층석탑죽산면 여기저기에 널려 있는 몇 개의 부재를 모아서 일죽면 죽림리 460번지 성원목장에 복원했던 석탑으로 전합니다.기단부하층기단 갑석이하는 매몰되었습니다4매석인 갑석에는 약간의 물매가 있고 호각 상층기단 중석 굄이 조출되었습니다.상층기단 중석은 감입식 결구, 갑석 하부에는 부연 생략, 상부에는 각호 2단 탑신 받침을 새겼습니다탑신부노반석 이상을 제외하면 온건히 복원되었습니다.초층 탑신석 2매석, 초층탑신석 이상의 급격한 체감, 우주 모각옥개석 낙수면 물매가 급하고, 전층 4단 각형 층급받침, 상부 1단 탑신 굄 조출상륜부, 노반석 이상 망실초층 탑신석2매 부재 조합입니다. 이러한 탑신석을 가진 석탑은 여러 사찰에서 확인됩니다.https://caf..

경기도/안성시 2024.07.28

안성...장원리 석탑

장원리석탑안성시정 문화유산으로 지정명칭은 일죽 죽림리 삼층석탑입니다. 2011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34412층 기단, 옥개석 3, 탑신석 4기즉 삼층이상의 석탑이었을 것입니다.탑구하층 기단 저석 겸 지대석이 하층기단 중석, 갑석과 일석입니다(옛글에는 단층기단으로 표기했지만 오류입니다)상층기단면석에는 우주 모각,  중석 일부와 갑석은 후보하였습니다. 탑신부본래 부재 여부도 불분명합니다.탑신석에는 우주모각, 옥개석 전층 4단 층급받침3층 옥개석과 4층 탑신석은 일석입니다.2~3층 탑신석, 옥개석옥개석 낙수면 물매가 급하며, 탑신굄은 생략되었습니다.두 기 이상 석탑 부재로 추정되며, 최소 오층 이상의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탑으로 추정합니다. 참고로 장원리에는 다른 석탑부..

경기도/안성시 2024.07.27

횡성...상동리 삼층석탑. 석불좌상

2006년 이후 첫걸음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770388 상동리사지 사적은 전하지 않으며, 뒤편 농지(상덕 사지)에서 현 위치로 옮겨왔다고 합니다.근자까지 불두, 논두렁에는 광배가 있었으나 도난당했다고 합니다,이층 기단의 삼층석탑지대석, 기단부, 삼층 탑신석 보수, 상륜부 망실지대석하층기단 저석하층기단 중석 탱주 1주, 우주 모각하층기단 갑석, 물매가 있으며, 각호 2단 굄 조출상층기단 중석 우주, 탱주 1주 모각상층기단 갑석. 얇은 편이며, 부연, 2단 탑신 굄탑신부전층 탑신석 우주옥개석 층급받침 아래로부터 4*4*3, 절수구 생략, 낙수면 물매 완만하고, 2단 탑신 굄 조출. 풍탁공상륜부 망실석불좌상불두 복원, 대좌 일부 훼손, 광배 망실불두 복원삼도 흔적, 통견..

강원도/횡성군 2024.07.24

홍천...쌍계사 철조여래좌상. 쌍계사지 승탑원

2014년 이후 다시 들렸습니다.동호회 답사가 아니었더라도 승탑원 개별 승탑 재촬영을 위해 들릴 예정이었던 절집이었습니다철조여래좌상원형이 손상, 복원되어 본래 모습은 찾기 어려운 고려초기에 제작된 철불로 전합니다.개인적으로는 동해 지장사를 찾아갔던 기억도 아름다운 추억으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쌍계사(2014년)https://12977705.tistory.com/8724455우리나라의 철불좌상https://cafe.daum.net/moonhawje/MebK/101산신도화기광무 구 년 을사 삼월. 1905년승탑원조선후기 승탑 7 기. 탑비 1기가 있습니다.수타사, 봉곡사 승탑원 승탑처럼 6 각형, 8 각형 대좌를 갖춘 종형 부도 6기와 구형  1기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2014년 승탑원(일몰 이후 찍은 것 ..

강원도/홍천군 2024.07.21

홍천...장남리 삼층석탑

2006년. 2020년 https://12977705.tistory.com/8726943 그리고오늘 답사 동호회 해장거리 답사.지대석하층기단, 상층기단 면석, 초층탑신석, 옥개석 3기상하층기단 갑석, 2~3층 탑신석, 상륜부 망실아래 2기 부재는 지대석3번째 부재는 일석으로 조성된 하층기단하층기단 중석, 저석이 일석, 안상 2구 조식3층 옥개석 방형 찰주공상층기단 중석, 초층 탑신석의 우주 모각옥개석전각의 반전낙수면 물매 급하고 전층 2단 층급받침, 1단 각형 탑신 괴임고려 중후기 강원 영서 지방의 많은 석탑은 초층 옥개석과 이층 탑신석, 이층 옥개석과 3층 탑신석이 일 석으로 조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장남리 석탑은 탑신석과 옥개석이 별개 부재로 조성되었으며, 전층 2단 옥개석 층급받침을 가진 드문 사례의..

강원도/홍천군 2024.07.20

인제...갑둔리 삼층석탑

갑둔리 삼층석탑해장거리 답사 2번째로 들렸습니다.군부대 훈련 진지 안에 위치하며, 오늘도 석탑 바로 옆에 처음 접하는 무기와 군인이 진을 치고 있었습니다. 갑둔리 오층석탑처럼 2011년 눈 쌓인 날 첫 인연을 지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3893층 석탑은 2기 석탑 부재 조합으로 전합니다.기단부는 현재 자리에 있었으며, 탑신부는 다른 절터에서 갑둔초교 교정으로 옮겨왔다가 1988년 이 자리로 이건 하였다고 합니다. 맨 아래 부재는 통돌로 저석, 중석, 갑석이 일석입니다.상층기단 중석다른 석탑의 탑신석 느낌입니다.상층기단 갑석 뒤집어졌습니다.탑신부옥개석 2기, 탑신석 2기, 맨 위 옥개석과 노반석 복발은 일석입니다.하층기단저석 중석, 갑석이 일석, 상부에 1단 굄 ..

강원도/인제군 2024.07.17

인제...갑둔리 오층석탑

갑둔리 오층석탑2011년 눈 쌓인 산길을 걸어 뵈었던 석탑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390 오늘은 홍천 숙소에서 일찍 일어나 동호회 몇몇 사람과 해장거리 답사를 하였습니다.민초들은 김부 오층석탑으로 명명하였습니다.이층 기단의 오층석탑1~3층 탑신석, 오층옥개석과 상륜부는 후보 하였습니다.기단부하층기단저석중석이 일석. 물매가 없는 갑석상부 1단 굄상층기단 중석 우주 모각물매가 없는 갑석 상부 3단 굄 조출상하기단 갑석에는 부연이 생략되었습니다.지대석하층기단 저석이 얇게 새겨져 있고, 우주 없이 3구 안상 조식하층기단 갑석 상부 상층기단 중석 1단 각형 굄우주 모각된 상층기단 중석, 갑석 하부 부연 생략상층기단 중석 명문상층기단의 명문菩薩戒弟(佛)子仇上主金富壽命長存家五..

강원도/인제군 2024.07.17

홍천...괘석리 삼층석탑

괘석리 삼층석탑2011년 머루눈(김은철 교수)님과 밤새 술을 마신 후 다음 날 이른 아침 누들스 님과 찾았었습니다.얼어붙은 용소 계곡을 따라 걸었던 기억이 오롯이 남아 있건만 머루눈 님과는 가끔 통화하지만 누들스 님은 잘 지내는지 궁금합니다.  괘석리 사지에 관한 사적은 전하지 않습니다."일제강점기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의하면 도괴된 삼층석탑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996년 자료에는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석탑을 다시 조성했다고 한다. 2007년에는 수타사에서 세운 석탑으로 기록했다"(문화재청 한국의 사지)2011년 2011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3384방형 지대석단층기단의 삼층 석탑으로 상륜부가 망실되었습니다. 현재 위치는 제자리가 아니라고 합니다.따라서, 탑구,..

강원도/홍천군 2024.07.16

홍천...물걸리사지 석조대좌 및 광배, 석조 대좌

(라호르 님 사진) 보호각 안에 사지에서 발굴된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석조여래좌상, 석조대좌와 광배 2기가 봉인되어 있으며, 전부 국가지정 보물입니다. 물걸리사지물걸리사지는 사명과 연혁이 명확하게 전하지 않는 곳이다. 다만 ‘洪陽寺’라는 사명이 전해지고 있지만 문헌 근거는 찾을 수 없다. 일제강점기 조사자료인 『朝鮮古蹟寶 物調査資料』에서는 사지가 동창마을 경작지 내에 있고 기와 편이 산재하며, 석탑, 불상 2구가 있다고 보고하였 다. 이후 1967년, 이곳에서 불상 대좌 2점과 광배 1점, 금동불 등이 추가로 발견되면서 간략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당시 광배와 대좌 등은 마을 주민들이 발굴하여 임의 조립한 상태였고, 불상 주위에는 2칸의 불사(대승사)를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어서 지표가 상당히 교란되어..

강원도/홍천군 2024.07.15

홍천...물걸리사지 석조여래좌상

(라호르 님 사진) 보호각 안에 사지에서 발굴된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석조여래좌상, 석조대좌와 광배 2기가 봉인되어 있으며, 전부 국가지정 보물입니다. 물걸리사지물걸리사지는 사명과 연혁이 명확하게 전하지 않는 곳이다. 다만 ‘洪陽寺’라는 사명이 전해지고 있지만 문헌 근거는 찾을 수 없다. 일제강점기 조사자료인 『朝鮮古蹟寶 物調査資料』에서는 사지가 동창마을 경작지 내에 있고 기와 편이 산재하며, 석탑, 불상 2구가 있다고 보고하였 다. 이후 1967년, 이곳에서 불상 대좌 2점과 광배 1점, 금동불 등이 추가로 발견되면서 간략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당시 광배와 대좌 등은 마을 주민들이 발굴하여 임의 조립한 상태였고, 불상 주위에는 2칸의 불사(대승사)를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어서 지표가 상당히 교란되어..

강원도/홍천군 2024.07.14

홍천...물걸리사지 석조비로자나불 좌상

(사진. 라호르 님)보호각 안에 사지에서 발굴된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석조여래좌상, 석조대좌와 광배 2기가 봉인되어 있으며, 전부 국가지정 보물입니다. 물걸리사지물걸리사지는 사명과 연혁이 명확하게 전하지 않는 곳이다. 다만 ‘洪陽寺’라는 사명이 전해지고 있지만 문헌 근거는 찾을 수 없다. 일제강점기 조사자료인 『朝鮮古蹟寶 物調査資料』에서는 사지가 동창마을 경작지 내에 있고 기와 편이 산재하며, 석탑, 불상 2구가 있다고 보고하였 다. 이후 1967년, 이곳에서 불상 대좌 2점과 광배 1점, 금동불 등이 추가로 발견되면서 간략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당시 광배와 대좌 등은 마을 주민들이 발굴하여 임의 조립한 상태였고, 불상 주위에는 2칸의 불사(대승사)를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어서 지표가 상당히 교란되어..

강원도/홍천군 2024.07.13

홍천...물걸리사지 삼층석탑

삼층석탑.국가지정 보물. 이층 기단의 삼층석탑. 현재 상륜부는 노반만 남아 있습니다.2012년 보수공사 당시 지대석 하부에서 적심이 노출되어 원위치에 서있는 탑으로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2006년 사진과 글(오류도 있지만 그대로 옮긴다)물걸리 절터를 찾아 가는 손쉬운 방법은 철정 군 검문소를 경유하는 코스겠지만 자료에 나와 있는 괘석리 삼층탑을 보기 위해 어렵게 방향을 잡고 가도 가도 산길만 이어진다. 이정표는 고사하고 인가도 보이지 않은 길을 대책없이 진행했더니 커다란 자연석 바위에 괘석리 입간판은 보였지만 삼층석탑은 행방이 묘연했다. 어쩌겠는가? 외딴 집에서 만난 집배원 아저씨도 탑 존재유무를 모르는데... 스스로에도 화가 나지만 우리 지자체의 문화행정 현주소를 욕하며 물걸리 절터를 찾았다. 입구에 ..

강원도/홍천군 2024.07.11

홍천...수타사 삼층석탑

서너 번 포스팅하였던 탑입니다.2층 기단의 삼층석탑2,3층 탑신석과 상륜부는 망실된 고려 석탑지대석 하층기단저석 망실(?), 중석, 갑석갑석 상부에는 2단 굄 조출상층기단중석에는 양우주, 1주 탱주 모각부연이 깊고 얕다.상부 3단 굄 조출(옛글에는 부연이 없다고 기록. 펜스 밖에서 보았던 것으로 기억)상층기단 갑석각호각 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수면이 짧습니다.깊은 부연, 우주, 탱주가 뚜렷합니다.탑신부초층 탑신석 양우주, 탱주 모각2~3층 망실 옥개석낙수면 물매 급하고, 1단 굄 조출옥개석 층급받침 아래로부터 3*3*2 상륜부 망실수타사 삼층석탑대웅전 구역에서 벗어나 외롭게 서 있지만,옛 절의 사적을 품고 있는 고려시대에 조성된 삼층석탑입니다.2024.05.18 수타사 다른 글https://1297770..

강원도/홍천군 2024.07.10

홍천...수타사 원통보전 목조관음보살좌상

원통보전화려한 보궁형 닫집, 목조연화대좌에 봉안되어 있습니다.수타사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8476강원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목조관음보살좌상입니다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에 의하면 영조 34년(1758) 금어 순경(順瓊), 덕순(德淳)이 조성하여 수타사 옥수암에 모셨던 상입니다. 봉황과 화염문으로 장식된 보관 정면의 화불로 인해 관음보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방형 상호, 백호가 있고, 코는 낮고 귀는 길며, 가벼운 미소를 짓고 있습니다. 삼도 생략, 귀를 감싼 보발은 어깨 위로 흘러내렸으며, 아미타 수인, 이중착의법입니다. 복장에서는 발원문 외에도 다라니, 후령통, 사리 3 과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순경과 덕순은 1739년에 수화승 초흠과 서울 학림사 괘불도 조성에 참여한..

강원도/홍천군 2024.07.09

홍천...수타사 성보박물관

여러 번 순례하였으나 성보박물관은 첫 인연입니다. 수타사(2020년)https://12977705.tistory.com/8726867보장각寶藏閣성보박물관으로 편액은 탄허 스님 글씨수타사낙관을 읽을 수 없으니.청허영당청허 휴정 스님 진영을 모셨던 전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언제, 누구의 글씨인지 확인하지 못했습니다.지장시왕도. 강원유형문화재영조 52년(1776). 금어 설훈 외월인석보(권 17~18). 보물초간본 18권은 유일 본. 사천왕상 수리 중에 발견목조 대좌. 1678년사자자 향로대좌. 사리함. 조선전패. 1678년감로도. 불기 2526년(1985)덕파당德波堂서산대사 청허淸虛성보박물관에 청허영당 현판이 걸려 있는 까닭을 알겠습니다.해운당海雲堂서곡당瑞谷堂서곡대사 찬연(1,702~1,768)1,747년..

강원도/홍천군 2024.07.08

대구...반송리 태함

며칠 전하빈 묘골 마을에서 문화유산 해설사로 근무 중이던 송은석 님이. 반송리에서 조상 묘역 조성하면서 발굴되어 옮겨온 석조물의 용도가 궁금하다면서 사진을 보내왔습니다. 묘골마을(1)https://12977705.tistory.com/8723542묘골 마을(2)https://12977705.tistory.com/8723543 사진을 보는 순간 모골이 송연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몇 년 전 반송리 태봉 사진 한 장을 보고 현장을 답사하였으나 끝내 인연 짓지 못했던 태함이 분명했기 때문입니다. 태함 덮개돌사진 출처:1,999년 조선의 태실. 전주 이 씨 대동종약원 반송리 태봉https://12977705.tistory.com/87269061999년에 촬영한 위 사진 무덤가 덮개돌이 분명했습니다.태함의 태신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