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청양군 27

청양...봉암리 은행나무

방기옥 가옥.봉암리 은행나무:남양면 봉암리 150-13오늘 마지막 답사지, 해가 저물어 방기옥 가옥은 차마 들어갈 수가 없어 당장 밖 은행나무만 살펴보았습니다.봉암리 은행나무. 충남 기념물청양군지와 마을에 구전되는 이야기에 따르면 1382년 심었다고 합니다.수령 600년이 넘은 현재 키 29.5m, 가슴둘레 11.4m, 수관 폭 23m로 생육 상태가 양호한 상태입니다.11월 6일만추이건만 단풍 들지 않고 아직도 푸릇푸릇담장 안한옥 카페 '지은' 핫플레이스로 검색됩니다.민초들은 지금도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며 매년 초 정월 초이렛날 행단제(杏壇祭)를 지내고 있습니다. 봉암리 은행나무는 단순한 동제의 대상이 아니며 오랜 기간 주민들과 함께한 정신적 지주이며 마을 수호신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2024...

청양...미당리 석조미륵입상

미당리 미륵. 미당 큰길 50-372010년 답사 때는 수인 조각, 보개를 인지하지 못해 오늘 들렸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177"예부터 미륵댕이라고 불리는 이곳은 미당시장터로 마을 사람들이 200여 년 된 팽나무 아래에 높이 3미터가 남는 미륵상을 모시고 있다. 동네사람들이 오래전에 마을 땅속에서 미륵 두상을 발견하여 "이것이 동네 미륵인가 보다"하고 지금 위치에 미륵두상만 모시고 매년 칠월 칠석일에 미륵제를 지내오고 있다.마을의 안녕과 화합, 삼재 추방,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미륵제를 지내기 전에는 장성제를 지냈는데 새마을 운동당시 없애 버린 후 마을에 안좋은 일이 생겨 미륵제를 지내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마을사람들은 미륵불이 머리만 있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성..

청양...계봉사 오층석탑

계봉사 오층석탑해지기 직전 들렸습니다. 본래는 예전 답사 때 놓쳤던 법당에 봉안 중인 불상을 뵈으려고 했는데 텅 빈 절집이어서 다음으로 미루었습니다. 2010년에는 하층기단 갑석 상부 이하는 매몰되어 있었으며, 5층 탑신석이 결실된 상태이었으니 후보 한 것 같습니다. 2010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31762층 기단의 오층석탑오층석탑이지만 근처 남천리 삼층석탑과 비슷한 특징을 갖춘 석탑입니다.기단부지대석하층기단저석,중석, 갑석이 한돌이며 물매가 있고, 각호각 3단 중석 받침상층기단중석에는 탱주 1, 우주 모각하였고, 감입식 결구, 부연이 있습니다.기단 중석의 명문계봉사탑불기 2981년(1954년)에 중수한 것 같습니다.하층기단 중석각 면에 2개 안상을 새기고 귀꽃을 ..

청양...정산 남천리 삼층석탑

남천리 삼층석탑2010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175충남 유형문화재왜 삼층석탑으로 지정하지 않았는지?층급받침도 5*4*3이 아니며 상륜부 부재도 앙화가 세 쪽 난 것이 아니라 노반, 앙화, 보개가 남아 있습니다.지대석 위에 2층기단의 삼층석탑, 상륜부는 노반과 앙화, 보개가 남아 있습니다.고려 전기에 조성한 석탑으로 추정합니다.기단부지대석하층기단 저석, 중석이 일석, 중석에는 2구의 안상, 갑석에는 약간의 물매가 있습니다중석의 안상과 귀꽃상층기단 중석감입식 결구. 우주 모각갑석 상부3단 탑신 괴임. 물매가 급하며 우동 마루가 높고 굵은 편입니다.갑석 하부부연은 생략했으나 절수구가 있습니다. 석탑 상층기단 갑석의 절수구https://cafe.dau..

청양...용암사(봉안사)목조아미타여래좌상. 목조대세지보살좌상

봉안사 청양 읍내리 석조여래삼존상. 청양 삼층석탑 뒤편에 위치합니다. 2층 극락전 불단에는 목조대세지보살좌상.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목조관음보살좌상을 모셨습니다. 현재는 비구니 노스님이 주석하시며 극락전 삼존상은 문이 잠겨 있어 허락을 받은 후에 출입가능했습니다. 삼존상 중 아미타여래와 대세지보살상은 비지정 문화유산이지만 함께 조성된 보살상으로 알려진 청양 화정사 목조보살좌상(17세기 추정)이 충남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봉안사 목조아미타여래와 대세지보살도 관련 절차를 거치면 문화유산으로 등록될 것 같습니다.목조아미타여래좌상목조대세지보살좌상목조관음보살좌상본존과 유협시 대세지보살과 다르게 근자에 봉안하였다고 합니다.관음보살좌상 측면 봉안사 삼존상은 청양 화정사 목조보살상과 삼존으로 조성되..

청양...읍내리 석조여래삼존입상, 청양 삼층석탑.

2007년. 2015년에 이어 세 번째 순례 길오늘은 용암사(봉선사) 목조아미타여래를 뵙기 위해 가는 길에 잠시 인연 지었습니다. "답답하기 한이 없는 지자체 청양군청. 문화관광과 직원은 현보직이 오래지 않았다며 모르쇠로 일관하고, 다른 담당자 안내해 주겠다는 전화는 돌고 돌다 끊어지고, 몇 번의 시도 끝에 길을 알아냈다. 산골 인적 없는 곳에 방치된 유물도 아니고 읍내사람들의 산보 코스에 있었다. 무슨 배짱인지 문화유산 이정표 하나 구비하지 못한 지자체다. 후에 언급하겠지만 경기도는 통일된 이정표를 갖추고 있어 뚜렷이 대비되었다.기가 막힌다. 읍내의 낮은 우성산에 있었다. 이름을 알 수 없는 절집아래 전각 속에 모셔 놓았지만 찾는 사람 없는 아니 찾지 못하도록 격리된(?) 불상, 석탑이다. 선진 문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