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김천시 85

김천...서부리 삼층석탑

동호회 2024년 마지막 답사이틀로 김천 지역 옛님을 전수 답사는 어림도 없지요.사진을 올린 몇몇 문화유산 외에도 공부하였지만 개인적으로는 모두 여러 번 순례한 옛 인연이었습니다.마지막으로 서부리 삼층석탑으로 마무리 짓습니다.옛글을 검색하니 오늘이 세 번째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241 옥개석, 1.2층 탑신석, 노반석이 본래 부재로 추정됩니다.탑신부2단 각형 탑신 받침도 일부는 본래 부재처럼 보입니다.옛글에는 3층 옥개석 층급받침도 5단이라고 했는데 분명하지는 않습니다.예전 답사 때 동행한 지인이 했던 우스개 소리가 귀를 울립니다.이제는 그런 여유로움이 사리 진 게 안타깝지만..."남방 불교 유입의 확실한 근거가 되는 초층 탑신석의 물개 문양"상륜부는 노반석만 ..

김천...가막사지 오층석탑

가막사지 오층석탑2019년까지 복숭아 과수원이 있었습니다. 하층기단 갑석만 노출된 상태이며. 일석으로 조성된 중석 이하는 매몰되었습니다.오늘복숭아나무는 철거되었지만 잡초가 우거진 상태입니다. 답사에 앞서 동호회원들이 주변 정리를 하였습니다.가막사지 오층석탑최소 2기 이상 석탑의 조합으로 추정됩니다. 2019년 글 가져왔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6267일석으로 조성된 하층기단 갑석 이하는 처음 보았습니다.하층기단저석, 중석, 갑석이 일석상대적으로 저석이 좁습니다.갑석 물매, 각호각 3단 받침, 호각이 아주 넓습니다.하층기단 중석에는 2개 안상이 있으며, 내부에 문양이 있습니다.당연히 귀꽃이라 생각했는데.동행한 달넘새 님이 금강저 일 가능성을 제시합니다.(위 사진 북한..

김천...수도암 석탑부재

아주 아주 많이 인연지은 절집https://12977705.tistory.com/8728285 몇몇 지인들과도 여러 차례 답사했지만 옛님의 숨결 동호회원과는 첫 답사입니다.답사를 앞두고김환대 님이 석탑부재를 알려주었습니다.현재 자리한 곳이 출입금지 구역까치발로 뵈었습니다.탑신석우주 모각, 상부에는 사리공(다른 목적으로 넓힌 것 같음)이 있고 둥근 석부재는 후보물입니다. 대적광전 앞 동서 삼층석탑 부재는 아닌 것 같으며, 그 가정이 맞다면 수도암에는 또 다른 석탑이 있었다는 반증입니다.마치 연꽃처럼 느껴집니다.인연그렇게 자주 들리고 예전에는 비공개 지역, 출입금지 구역에 숨어 있었던 승탑도 순례하였건만 존재 유무도 몰랐던 탑신석입니다. 이렇게라도 나투시어 인연 지을 수 있음에 감사드립니다.가야산 정상의 靑..

김천...청암사 다층석탑. 마애 삼보탑碑

옛글로 대신하며 사진 몇 장 올립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406마애삼보탑비멀리서 바라보니 마애부도처럼 모여 가까이 다가갔습니다.명문 위 홈이 사리공처럼 보였기 때문이었습니다.三寶塔사찰에서 삼보는 佛法僧인데.三寶塔化主 住持 碧庵德進監役 一雲 壮圓佛紀 二九六八年 菊秋 立. 1941년 벽암 이덕진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8D%95%EC%A7%84_(%EC%8A%B9%EB%A0%A4)위키백과 사전을 비롯하여 많은 자료에 李德珍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명문에는 李德進입니다. 삼보탑이 다층청석탑을 칭하면 홈페이지에 1938년 세웠다는 기록과 달리 1941년에 세웠음을 알 수 있습니다.2024.11.16

김천...유성리(쌍계사지) 소나무

유성리 소나무폐사된 쌍계사지 옛터에 자리한 증산면 사무소에 위치합니다.안내문에 의하면 2그루는 수령 250여 년, 1그루는 200여 년이 넘었으며 경북 기념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옛 영화는 간 곳 없고 소나무 3그루가 향화를 피웠던 그 터를 지키고 있습니다.수령 250년. 처진 소나무수령 250여 년수령 200여 년 쌍계사지쌍계사의 정확한 창건 시기는 전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예전 절터에 있었던 안내문에 의하면 통일신라 말 도선국사가 창건하였으며 이후 사적은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1617년 충신조사와 반운당 지선 대선사가 35년간 대웅전을 비롯 전각을 중창하였다고 합니다. 이즈음 쌍계사는 화엄학을 주도하는 대찰이었으며 목조여래 삼존상을 비롯 괘불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게 운영 중이었던 사찰..

김천...신안리 석불입상

동호회 김천 답사답사객이라면 익히 아실 테고 저처럼 여러 번 인연지은 사람도 많겠지요 옛글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246대좌정병여기 까지는 저의 사진 아래는 동호회 이기회 님이 야간에 찍은 사진입니다.선명합니다.군의 매듭, 하트형 대의자락도 이채롭습니다.불두는 어디로?어깨선이 정면에서 보면 둥근데... 우리나라 마애불, 석불 별조의 불두https://cafe.daum.net/moonhawje/MebK/102불신 상부 촉공즉 불두를 별도로 조성하여 끼웠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어깨선도 평면처럼 보입니다.그런데디테일이 강한 이기회 님이 촉공 위치를 주목했습니다.왜 중앙이 아니고 향우 측 앞쪽에 마련했을까요? "불두는 불신과 다르게 환조로 조각되어 촉공이 앞쪽에 있지 않..

김천...갈항사지 석조여래좌상

앞선 서너 차례 답사는 혼자이었는데오늘은 동호회 30명이 넘는 회원들과 함께 했습니다.갈항사지는 익히 아실 테고, 사진 몇 장으로 대신합니다.석조여래좌상. 보물등에는 광배홈이 있습니다하대석.하단석안상. 화문상대석석탑지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758년). 국보. 국립중앙박물관 석탑기김천 갈항사지 석탑기는 1914년에 알려졌다. 석탑기는 4줄로 새겨져 있으며, 글씨 모양은 해서체이고, 글씨 크기는 자경 6㎝이다. 판독문과 해석문은 다음과 같다. 二塔天寶十七年戊戌中立在之[두 탑은 천보(天寶) 17년 무술년에 세워졌다.] 娚姉妹三人業以成在之[오라비와 자매 세 사람의 업(業)으로 이루었다.] 娚者零妙寺言寂法師在旀[오라비는 영묘사(零妙寺)의 언적법사(言寂法師)이었으며,] 姉者照文皇太后君妳在旀[큰누이는 조문황태후(照文皇..

김천...청암사 다층석탑

무주 답사 후성주로 내려오는 길, 청암사 종무소에 잠시 들렸습니다. 옛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5168지대석상하기단하층기단 갑석 3단 받침상층기단 일석, 우주 모각, 연화문 장식, 부연 생략기단갑석 상부 연화문 받침 초층 탑신석얕은 감실의 여래좌상 탑신석 불보살상https://cafe.daum.net/moonhawje/MebK/708석탑의 연화문https://cafe.daum.net/moonhawje/MebK/726아래로부터5*5*3*3 층급받침상하처마선 반전 급격상륜부문화재  지정명칭은 다층석탑이지만, 오층석탑으로 추정됩니다. 조선시대 석탑으로 1912년 대운대사가 옮겨왔다고 전합니다.그러나 청암사 홈페이지에는 1938년에 세운 탑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김천...수도산 수도암

친구들과 나드리 다녀왔습니다. 포스팅을 여러 번 하여 사진만 올립니다. 수도암(2016년) https://12977705.tistory.com/8725169 수도암 겨울 소묘(2020년) https://12977705.tistory.com/8726634 대적광전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팔각대좌 약광전 석조보살좌상 방형대좌 동.서삼층석탑 서탑 배례석 지대석.하층기단 상층기단. 부연이 생략되었습니다 초층탑신석 초층탑신석 탑신부 석주 창주 도선국사 최근 명문이 통일신라 김생이 글씨로 알려졌습니다. 808년 김생의 글로 판독한 위덕대 박홍국 교수 님이 12월 중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전화 주셨습니다. 일정 확정되면 카페에 공지하겠습니다. 석등 동탑 기단부 상층기단중석. 안상 초층탑신석 초층탑신석 탑신부 상륜부. 노반..

김천...무흘 구곡(8곡. 9곡)

수도암 가는 길목, 잠시 들렸습니다. 무흘구곡 총 35.7㎞에 이르는 자원으로 경북 성주군의 수륜면․금수면부터 김천시의 중산면까지 이어져 있다. 그중 1~4곡은 성주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5~9곡은 김천시에 입지 하고 있다. 제1곡 봉비암(鳳飛岩), 제2곡 한강대(寒岡臺), 제3곡 무학정(舞鶴亭), 제4곡 입암(立巖), 제5곡 사인암(捨印巖), 제6곡 옥류동(玉流洞), 제7곡 만월담(滿月潭), 제8곡 와룡암(臥龍巖), 제9곡 용추(龍湫)로 구분되어 있다. 대가천의 맑은 물과 주변 계곡의 기암괴석, 수목이 절경을 이루어 조선시대 성주가 낳은 대유학자인 한강 정구 선생(1543~1620)이 중국 남송(南宋)시대 주희(朱熹)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을 본받아 7언절구의 시를 지어 노래한 곳으로 경관이 아주 빼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