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창원시 76

마산...정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정법사"정법사는 서기 1912년 당시 통도사 주지이신 구하 대 선사께서 일제 치하에서 핍박받는 민족을 구제하고 민족의 역량을 하나로 모아 민생을 구제하고자 창건되었습니다. 초대 주지에는 경봉 대 선사께서 취임하셨고 그 이후 윤고암 스님 등 불교계의 많은 큰 스님께서 거쳐 간 곳이며 또한 많은 독립 운동가들이 이곳에서 우리 민족의 자주와 독립을 도모한 민족 사관의 도량이었습니다. 근간에는 지은 스님, 서원스님, 지안스님등이 주석하시며 지역불교 발전과 전법에 전념하여 지역불교의 중심에 서게 되었습니다."(정법사 홈)오층석탑https://12977705.tistory.com/87285631층 현관 사천왕비파를 든 사천왕을 북방으로 모셨습니다. 비파를 든 사천왕을 동방으로 모신 사례와 더불어 크게 구분합니다.동..

마산...정법사 오층석탑

정법사통도사 마산포교당으로 1912년 창건되었습니다. 우연히 유튜브로 경봉 스님 일대기를 시청하다가 초대 주지로 부임한 경봉스님이 탑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보고 찾아왔습니다오층석탑낯선 단층기단에 오층탑신, 상륜부를 갖추었습니다.기단부지대석, 기단저석, 중석, 갑석은 사절이 심해 마치 뒤집인 모습입니다.大報父母恩重塔기단갑석에 음각으로 새겨져 있지만 정확한 조성시기는 확인되지 않습니다.그러나 국가문화유산청에서 발간한 한국의 사찰문화재에 실린 탑비를 통해 시기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朝鮮慶南馬山府大本山通度寺布敎堂大報父母恩重塔碑銘文朝鮮慶南馬山府大本山通度寺布教堂大報父母恩重塔碑銘莫重者親恩無上者佛道恩與道幷合成一塔孝天大闢佛日再明聖神感化大衆歸依 猗歟盛矣於千萬年恩報十重功成千佛頌曰佛心石面最神明貝葉珠花多効果自覺人人感孝誠千秋..

창원...봉림사지 삼층석탑

옛글로 대신합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3320 지대석 뒤집힌 하층기단 저석과 일석인 중석 하층기단 갑석, 상층기단 중석 망실 2.3층 탑신석. 상륜부는 후보 하였습니다. 전층 4단의 옥개석 층급받침. 절수구가 있습니다 옥개석 2단 탑신 굄 현수 곡선 낙수면 물매가 급합니다 상륜부 후보 기단부재 망실로 낮아 보입니다 고려 전기 봉림사지에 조성되었던 삼층석탑으로 전합니다 2023.01.08

창원...성주사 최송설당 마애비

성주사 여러 번 순례한 사찰입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5370 부도전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6007 동호회원들과 답사 후 돌아오는 길. 그 이전에도 인지했겠지만, 오늘은 유난히도 최송설당 마애비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런 연유로, 지금까지 답사했던 창원 성주사. 김천 청암사 대시주비, 마애각자. 고양 북한산. 법주사, 법주사 복천암. 창녕 도성암 마애각자를 리뷰하였습니다. 松雪堂 마애비 장방형 비신을 마련하고 글씨를 새겼습니다. (사진 출처. 다음 티스토리/역사와 야생화/천부인권 님 ) 李瑢教 송설당 각자 위쪽의 바위 글씨 창원, 김해, 진주 군수를 역임한 송설당의 남편으로 알려진 인물로 추정됩니다. 여러 평가가..

창원...성흥사 부도전

2015년 다녀왔습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3316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얼굴표현과 옷자락, 옷주름 등은 17세기 중엽에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조각승 희장이 제작한 불상과 매우 유사하다. 현재 복장 발원문은 남아있지 않지만 양식적인 특징에서 분석할 수 있는 제작시기와 상통한 점에서 1658년경 희장계 작품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희장은 양산 통도사와 부산 범어사를 비롯한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 많은 작품을 남긴 17세기 중엽경의 가장 대표적인 조각승이다."(문화재청) 2015년 제가 다녀온 후 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범종. 1921년 16개 연곽이 눈에 들어옵니다 범종. 1921년 京城 妙心寺 別院 瑞巖代 大正十年五月 爲祖先追善 京城 近藤元寄..

마산...영천사 33 관음상

영천사(靈泉寺) 1935년에 창건되었으며 절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신령한 샘이 있는 절이며 ‘참샘이 절’로 불리기도 합니다. 사찰 입구 공원 옆 샘(靈泉?) 가에 문인석과 33 관음상이 있습니다. 마산고 일제강점기 석탑처럼 영천사 33 관음상도 다음 카페 '산길나그네가 찾은...'에서 인지하였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집단 거주지역 또는 사찰에 88 영장(靈場)과 더불어 조성하고 순례하였던 33 관음 영장(觀音靈場)의 한 분입니다. 광배 좌우측. 16번(十六番) 기단. 관음보살(觀音菩薩) 광배 우측. 청수사(淸水寺) 33 관음 청수사에 조성하였던 33분 관음 중 16 번째 관음입니다. 문인석 일제 강점기 88 야불, 33 관음 https://blog.daum.net/12977705/8727086..

마산...마산고 일제강점기 오층석탑. 석등

마산고교 후원 일제강점기 오층석탑. 석등 2기가 있습니다. 창녕 보덕사 88 야불 검색 중에 다음 카페 "산길나그네가 찾은..."에서 인지하고 찾았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주종을 이루는 방형 기단부와 다른 유형이며, 탑신석도 드문 양식입니다 이러한 기단부는 서울 옥천암. 목포 정광정혜원에 있으며, 비슷한 탑신석은 옥천암, 정광정혜원. 김천 직지사 야외에 도괴된 석탑이 있습니다. (아래 일제강점기 석탑 참조) 우리나라의 일제강점기 석탑 https://cafe.daum.net/_c21_/bbs_read?grpid=dRVf&fldid=MebK&contentval=0004Ezzzzzzzzzzzzzzzzzzzzzzzzz&datanum=262&page=6&prev_page=5&firstbbsdepth=0004nzzzz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