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속초시 13

속초...설악산 흔들 바위(사진)

1975년 이후 거의 반세기 만에 찾았습니다. 계조암https://blog.naver.com/hsjo7145/222923397543신통제일 나한석굴석등 간주석과 상대석 같습니다빽빽하게 이름을 새겼습니다...조선시대 흔들바위를 다녀간 벼슬아치, 사대부들의 방명록이라고 하지만....繼祖窟尹師國 書 윤사국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42357繼祖窟가로로 새겼습니다.울산바위.계조암. 흔들바위흔들바위" 신라의 고승 의상·원효가 수도했다는 계조암(繼祖庵) 앞에 소가 누운 모양을 한 넓고 평평한 와우암(臥牛岩) 또는 100여 명이 함께 식사를 할 수 있다 하여 식당암(食堂岩)이라 불리는 반석이 있고, 그 위에 흔들바위가 놓여 있다. 흔들바위라는 명칭은 한 사람의 ..

강원도/속초시 2024.05.29

속초..설악산 봉회당 마애부도

마애부도모연암 승탑원의 3기 승탑 뒤편에 있습니다. 신흥사 모연암 승탑원https://12977705.tistory.com/8728438모연암 승탑(3)을 답사 후 뒤편 큰 바위를 살펴보러 다가간 순간 모골이 송연했습니다.꿈인지, 생시인지.마애 부도가 눈앞에 나타났습니다.어떤 자료에도 없으며, 예상하지 못했던 나투심에 흥분보다는 믿기 어려운 감정이 몰아 쳤습니다.2023년 발간된 졸저 '마애부도 마애탑'에도 실리지 않은 발견이었기 때문입니다.큰 바위편평한 면에 세로로 새겼습니다.제가 감실형으로 분류한 유형의 마애 부도입니다.봉회당탑(蓬回堂塔)분명하지는 않지만 봉회당탑으로 추정됩니다. "동호회 오분향 님은 道圓堂塔으로 추정하였으며, 바로 아래에 있는 O圓堂 탑도 道圓堂塔으로 판독하며 분사리 탑 가능성을 제..

강원도/속초시 2024.05.28

속초...설악산 모연암 승탑원(부도전)

신흥사 모연암주차장에서 신흥사를 경유하여 설악의 품으로 젖어듭니다.아쉽게도 모연암에 관한 자료를 찾지 못했지만, 사진으로 보면 바위 아래에 자리 잡은 토굴 같은 분위기 었습니다 모연암 승탑원문화재청에서 발간한 한국의 사찰문화재 자료에는 사진 없이(제가 가진 자료 기준) 승탑 3기가 실려 있으며, 그 자료를 기준으로 설악산 산행기를 샅샅이 검색하였으나 2기를 찍은 사진 산행기 한 편과 1기만 촬영한 두서너 편 포스팅을 찾았을 뿐입니다. 즉 3기의 정확한 위치를 모르며 비탐방 구역 여부도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 겁 없이 도전하였습니다. *동호회 오분향 님은 모연암 보다는 계조암 승탑원이라는 의견을 주었습니다.(2024.11.15)안양암 승탑원 신흥사 승탑원https://12977705.tistory.com..

강원도/속초시 2024.05.27

속초...신흥사 부도전(승탑원)

승탑원 신흥사 승탑원은 입구와 경내 두 곳에 있으며, 오늘은 예전에 참배하였으나 각각의 사진을 담지 못해 다시 찾았습니다 입구에 자리한 부도전에는 조선후기에서 근자의 종형, 원구형, 팔각원당형 부도, 부도 비, 사적비 등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부도(1) 2기 부도의 조합 같습니다. 원구형 탑신에는 가로로 벽담당(碧潭塔)을 새겼습니다 아래 상.중. 하대석을 갖춘 대좌에는 상서당(想西堂) 당호를 새겼으나, 원구형 탑신석에 새긴 당호는 벽담당(碧潭塔)입니다. 원구형 탑신석 위의 옥개석은 망실되었고 연주문이 있는 부재는 중대석입니다 부도(2) 상서당(想西堂) 부도의 대좌입니다 부도(3) 대원당(大圓堂) 완전한 형태의 원구형 부도로 대좌 문양이 화려합니다. 1792년에 세운 부도비가 있습니다 대좌 중대석에는 연주..

강원도/속초시 2021.07.25

속초...신흥사 성보박물관

신흥사 성보박물관 특별전 안내문을 보고 들렸습니다. 2020년 미국에서 환지본처 한 영산회상도와 시왕도 중 3폭 불화를 비롯 주마간산식으로 참배하였습니다. 진품 맞나요? (사진 출처. 다음) 영산 회상도 1755년 신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721호)의 후불탱으로 봉안된 불화 span style="color: #222222;">1954년 5~6월 미군 장교였던 폴 팬처의 사진에는 신흥사 극락보전에 영산회상도가 걸려 있었으나, 1954년 10~11월경 미 해병대 중위 락웰이 찍은 사진에는 사라져 보이지 않기 때문에 1954년 6월과 10월 사이에 미군에 의해 반출된 것을 추정합니다. 2007년 미국 LA카운티박물관이 ‘석가여래설법도(Buddha Shakyamuni Preaching to..

강원도/속초시 2021.07.24

속초...신흥사 석탑 옥개석

신흥사 극락보전 여느 사찰처럼 중정에 있어야 할 석탑이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석탑을 배치하지 않은 것은 1) 처음부터 조성하지 않았다. 2) 배치하였으나 전화 등으로 훼손되었다 3) 순천 승보사찰 송광사처럼 운주형 풍수 형국의 가람에는 조성하지 않는다. 4) 산천 비보책으로 경외 암반 위에 존치하였다. 5)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모신 무량수전, 미타전, 극락전 등의 전각 앞에는 석탑을 조성하지 않는다. 등으로 이해합니다. 그렇다면, 신흥사도 (전문가 들 사이에도 논란이 많지만) 5항의 사유로 석탑을 세우지 않았을까요? 경내 부도전 앞 전나무 경내에서 울산바위로 가는 부도전 앞쪽 큰 전나무 아래에 여러 석조 부재가 있습니다 석탑 옥개석 이렇게 석탑 옥개석이 놓여 있습니다. 즉, 석탑이 있었다는 이야기입니다...

강원도/속초시 2021.07.24

속초...신흥사 내원암 부도전

내원암 안양암에서 10여분 등산로를 따라가면 좌측에 표석이 보입니다. 우측 내원암 표석은 속초문화원 홈에 추사 김정희 작품이라는 현판 글씨와 동일합니다. 입석 명문이 무척 궁금합니다 봉ㅁㅁ(奉ㅁㅁ) 내원암(內院庵) "신라 진덕여왕 6년(652) 자장율사가 향성사를 창건할 때 동시에 현재의 내원암 자리에 능인암을 세웠으나, 신라 효소왕 7년(698)에 향성사와 같이 불타 버렸다. 그 후 3년 후인 신라 효소왕 10년(701)에 의상조사가 능인암 터에 절을 중건하여 선정사라고 하였다. 그러던 것이 조선 인조 20년(1642) 선정사가 불타 버리자 2년 후인 조선 인조 22년(1644)에 현재의 신흥사 터에 절이 중건되어 절 이름이 신흥사로 바뀌었다. 그리고 선정사 자리에는 같은 해 용암대사가 내원암을 창건하..

강원도/속초시 2021.07.23

속초...신흥사 안양암 부도전

안양암 신흥사에서 울산바위 방향에 자리합니다 법당에는 1874년에 조성된 강원도 유형문화재 1656호인 아미타회상도가 있으나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울산 바위 부도전 안양암 부도전은 지정 명칭이 아니며 이해를 돕기 위해 그렇게 칭하였습니다. 안양암에서 내원암 방향 2~3분 소요되며, 등산로 좌측에 조선 후기의 종형 부도 2기가 있습니다. 부도(1) 방형 지대석과 부등변 육각 하대석은 일석이며 팔각 상대석 위에 종형 탑신과 보주를 한 돌로 조성하였습니다 당호를 새기지 않아 주인공을 알 수 없습니다 기단부 방형(?) 지대석과 부등변 육각 하대석이 일석 팔각 상대석 갑석에는 복련 조식, 중석에는 덩굴문(?)을 조식하였습니다. 상대석 중석의 문양 탑신석 상부에 복련 조식 굄을 두고 연화 보주를 올렸습니다 부도(2)..

강원도/속초시 2021.07.23

속초...보광사 목조 지장보살좌상

영동지방 답사 동선에 포함되지 않았던 보광사 동행한 세종아빠 님이 내시 부인이 발원하여 조성한 목조지장보살이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 유래를 알고 건너뛸 수 없기에 추적추적 비 내리는 절집을 찾아가서 신분을 밝히고 정중하게 스님께 말씀드렸더니 흔쾌히 허락하며 그간의 히스토리를 실감 있게 설명해주셨습니다. 보광사 영랑호변에 자리한 보광사는 설악산 신흥사 말사입니다. 1623년 광명당 등휘가 안양암을 창건한 후 폭우로 유실되자, 속초의 옛 절터로 이건하여 보광사로 사명을 개칭하였습니다. 한국 전쟁 후 수복된 후 이순덕 보련화 님이 개창하였으며, 2016년 석문 스님이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목조지장보살 1654년 내관인 승록대부 나업의 부인 청주 한씨가 남편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금강산 안양암..

강원도/속초시 202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