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김해시 37

김해...장유사 장유화상 사리탑

2013년 글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2442 장유사 석조여래좌상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5311 말끔하게 단장하였습니다. 그래서 본래 부재가 눈에 들어옵니다. 2013년 사진 지대석 하대석. 중대석. 상대석 중대석 별석 굄은 뒤집혔습니다. 탑신석. 옥개석. 상륜부 신부재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달빛에 물든 이야기를 햇빛에 들추어내면 세상 살아가는 재미가 없겠지요. 2023.01.08

김해...초선대 마애여래좌상

초선대 마애여래좌상 2007년 글입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747 선각의 마애불 후대에 각인한 흔적이 역력합니다 원형 두광과 신광, 통견의 법의, 대의 속의 두 손 소발, 낮은 육계, 뚜렷한 발제선 백호, 반개한 눈, 뭉뚱한 코, 두툼하고 육감적인 입술, 긴 귀, 삼도 대의 깃의 화문 대의, 승각기에 화문이 장식된 불,보살상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66 앙련과 복련이 연접된 연화대좌 초선(招仙) 거등왕이 기다리던 선인은 어쩌면 뭇 민초들이 아니었을까? 사바에서 삶을 영위하는... 昔宰相埜隱田先生爲鷄林判官時 有贈 金海妓玉纖纖云 海上仙山七點靑 琴中素月一輪明 世間不有纖纖手 誰肯能彈太古情 後十餘年 埜隱來鎭合浦 時纖纖已老..

김해...유하리 마애여래좌상, 마애약사여래좌상

유하리 사지 장유면 유하리 648-1번지 일원의 사지입니다. 사지는 서쪽의 불모산, 남쪽의 굴암산. 동쪽의 낙동강 사이에 형성된 분지 기운데 솟아 있는 낮은 구릉으로 마애불은 정상 부근에 있었다고 합니다. 1998년 사지에 배수지가 들어서면서 김해박물관 야외로 옮겨 왔으며, 본래는 총 5구의 마애불이 있었다고 합니다. 두 마애불의 조성시기는 고려 후기로 전합니다. 2013년 글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2440 향 우측 바위 하단에 한 분이 계십니다. 마애여래좌상 현장 안내문에는 아미타여래로 기술하였지만 분명하지는 않습니다. 소발, 육계는 희미하며, 상호는 식별되지 않습니다. 삼도를 새긴 듯하며, 법의는 통견입니다. 하반신도 마모가 심하며, 두 손의 수인은 시무외..

김해...구산동 마애여래좌상

미륵골 미륵골이라고 했었지요. 상전벽해 운동장이 들어서 초행길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2007년 답사기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745 그 자리 그대로 계셨지만 전혀 기억할 수 없었습니다. 이기회(찬스)님 사진 마애선각여래좌상 두광과 신광, 연접된 복련과 앙련, 떨어져 나간 오른발. 아미타(?) 수인과 무릎 바깥에 새긴 왼손, 통견의 법의, 승각기를 표현했습니다 삼도를 새기고 소발에 육계가 봉긋합니다. 뚜렷한 발제선, 귀는 길어 어깨에 닿았고 상호는 희미합니다. 왜 달밤에는 일어서서 성큼성큼 나투실 것 같은 느낌이 들까요? 찬스 님이 야간에 촬영한 상호 상호가 분명합니다. 마치 두건을 쓴 모습 같습니다. 뾰족한 육계, 긴 귀, 반달형 눈썹, 두둑한 눈두덩이, 반개한 ..

김해...망월 석탑. 사왕불(蛇王佛)

오늘이 3번째 순례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4371 하층기단 갑석. 상층기단 중석 2.3층 옥개석, 3층 탑신석이 본래 부재입니다. 하층기단 갑석 물매가 있고, 각호 2단 중석 굄, 상층기단 중석의 우주 모각 옥개석 각형 3단 층급받침이 두껍습니다. 그런데... 주지 스님이 오늘도 예전(2018년) 답사 때처럼 석탑 부재를 흥덕사로 이건 전에는 사왕불(蛇王佛)이 양각된 탑신석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왕불과 관련하여 인도불교와 불교의 남방 유입설, 허황후 등 여러 말씀을 하면서 현소재지도 말씀하십니다. (사진 출처.다음 카페/상구보리 하화중생) 망월석탑 맞은편 복원된 삼층석탑 스님께서는 본래 망월석탑에 있었던 사왕불을 초층 탑신석에 새겼다고 합니다. 2020..

김해...안곡리 삼층석탑

3번째 답사?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4372 오늘은 동호회원들과 함께 정기 답사 고려초기에 조성된 석탑입니다. 상층기단 중석 2,3층 탑신석, 상륜부를 후보 하였습니다. 지대석 물매가 있는 4매 부재가 감입식으로 결구, 내림마루와 1단 굄이 있습니다. 하층기단이 상부 홈에 올려져 있습니다. 하층기단 저석, 중석, 갑석이 통돌입니다. 중석에는 탱주 2주와 우주를 모각하였습니다. 물매와 내림마루가 있으며, 갑석 상부에는 돋을대를 표현한 각호각 3단 굄이 조출되어있습니다. 상층기단 중석은 후보물 상층기단 갑석 낙수면에 물매, 내림마루, 3단 각호각 굄 하부 부연은 깊습니다. 상, 하층 기단 갑석의 내림마루와 각호각 3단 굄 탑신부 초층 탑신석 각 면에는 문비를 새겼..

김해...참봉 김성학 철비

수로왕릉 석등 대좌 가락국 중엽에 조성 달빛에 젖은 이야기는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 아름답습니다. 숭모재 참봉 김성학 철비는 숭모전 앞 비석군에 위치 숭선전 참봉 김성학 영세기념비 崇善殿參奉金性學永世紀念碑.1936년​ ​ ​ 추원보본 경름탄성 追遠 報本 傾廩殫誠 전우중환 의물내성 殿宇重奐 儀物迺成 먼 조상을 추모하고 근본에 보답하려 재물을 희사하여 정성을 다했으니 전각과 건물이 다시 빛나고 의례와 기물을 갖추었다. 만시출의 팔역동성 萬匙出義 八域同聲 어천백사 불수기명 於千百祀 不銹其名 팔도에서 만개의 숟가락을 거두어 성원하였으니 영원히 그이름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1927년 숭선전 참봉 김성학이라는 분이 사재를 들여 왕릉 부속 전각을 보수하였으며. 이에 문중들이 십시일반(숟가락을 거두어) 동참하여 기념비..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