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고창군 30

고창...청량산 문수사

10여 년 전 순례하였지만 일주문도 낯섭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2915만세루. 불이문순례 동선을 따라가면 대웅전 중정 측면으로 유도하며, 두 개 현판이 걸려 걸려있습니다 대웅전낮은 기단 화려하지 않은 분위기의 전각으로, 맞배지붕이면서 다포계입니다.풍판을 걸고 활주를 받쳤습니다. 기둥 위 공포의 용면이 눈에 들어옵니다 정면빗살문 창살 측면 후면 목조삼존본존 석가, 왼쪽(향우 측)에 약사여래, 오른쪽(향좌 측)에 아미타여래2001년 개금 과정에서 1654년(효종 5)에 조성되었다는 복장기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회적당(晦跡堂) 성오대사(性悟大師)가 1653년 대웅전을 중건한 이듬해에 제작된 불상으로, 1844년(헌종 10) 5월 18일 해운당의 시주로 중수 기록도 발견되..

고창...문수사 부도전

부도전(1) 조선후기의 종형 부도 2기, 팔각원당형 부도 4기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송청정심(宋淸淨心) 방형 지대석, 중대석, 탑신석, 옥개석, 상륜부가 완전한 팔각원당형 부도입니다. 팔각 탑신석에 새겨진 당호로 추측컨데, 재가 여신도의 승탑입니다. 지대석 기단부, 고복형 석등의 기단부처럼 보입니다. 송청정심(宋淸淨心) 당호가 선명합니다 팔각 옥개석 상륜부 진주 강 씨(晋州 姜氏) 화려한 기단의 장식만 차이가 있을 뿐이며, 송청정심 부도와 흡사한 팔각원당형 부도입니다. 부부의 승탑일까요? 부부이면 국내에서 유일무이한 사례입니다. 방형 지대석 고복형 기단부 하대석. 팔각 하대석 하단석과 갑석이 일석이며, 갑석 상부에 복련을 장식하였습니다. 팔락 중대석. 연주문으로 구획하고, 각 면에 화문을 조식하였습니다 ..

고창...무장읍성.객사.철비

무장읍성.객사 2012년 이후 오늘은 철비 디테일을 살펴보기 위한 방문입니다. 철비를 제외하고는 옛글로 대신합니다. 진무루鎭茂樓 무장읍성의 정문 무장객사 송사지관松沙之館 정랑 좌익랑 우익랑 측면 뒷면 불망비不忘碑 스스로 세운 비석이 아니었는지. 복원한 동헌 취백당翠白堂 1565년(명종 20)에 세웠으며, 무장초교 교실로 사용되었으며 1989년 복원하였다고 합니다. 비림 예전 답사에서도 뵈었지만 철비 디테일을 살펴보았습니다. 비석받침에 바위구멍오 보입니다. 비림 맨 앞쪽에 위치 전 참판 김영곤 선덕불망비前 參判 金永坤 善德不忘碑 불(不)자 이하는 매몰되었습니다. 벼슬로 마루어 김영곤은 무장 출신의 참판으로 낙향한 인물 처럼 보입니다 소재호덕 疎財好德 재물을 덜어 덕을 베풀어 급난생풍 急難生風 어려운 일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