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평택시 19

평택... 서천사 석조여래좌상

서천사 초파일을 앞두고 있지만 여느 절집과 다르게 야외등이 보이지 않습니다. 적막강산 느낌이어서 요사에서 스님을 찾았지만 응답이 없어, 법당 참배 후 사진 촬영 중 보살님이 들어오셔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보살님 서로 얼굴은 기억하지 못했지만 2013년에 만났던 분이었으며 답사기에 한 줄 글이 실려있었습니다 "지난번 평택 답사 시에 인연 짓지 못했던 미륵불을 만나러 멀리 대구에서 다시 찾았건만 미륵전에서는 제를 봉안하고 있었다. 나의 욕심으로 제를 방해할 수는 없으며 미륵불도 원치 않을 것이다. 중정에는 추적추적 비가 내리고 독경은 끝없이 이어진다. 마침 제수를 들고 오시는 보살님이 나의 목적을 눈치채고 멀리서 찍으면 된단다." 서천사(2013년) https://blog.daum.net/12..

경기도/평택시 2021.06.04

평택...광덕산 심복사

오랜만의 순례입니다. 오늘은 옛 답사 때는 수미단에 가려 보지 못했던 비로자나불 대좌와 인연 짓기 위해 찾았습니다. 부족하지만 군더더기 없는 옛글(2009년)로 대신합니다. https://blog.daum.net/12977705/8722823?category=5130 심복사 소무덤 https://blog.daum.net/12977705/8727158 향수해(香水海) 옛답사 이후 세운 루대에 걸린 현판이 그윽함을 풍기는 듯합니다. 석인상 요즈음에는 벅수에 꽂혀, 사찰 벅수로 느껴집니다 석탑재 암질이 일반 화강암과 다릅니다. 옥개석은 우리나라 전통 석탑 같지만, 탑신석은 그렇지 않습니다. 일제강점기 석탑 아닐까요? 예전에는 석탑 부재 앞에 명문을 새긴 석주가 있었던 것 같은데... 옥개석 3단 층급 받침 방..

경기도/평택시 2021.03.13

평택...심복사 소무덤

심복사 들머리에 위치합니다. 소 무덤은 심복사 창건설화에 등장하는 3마리 검은 소의 무덤입니다. 창건 설화 "옛날 파주 문산포에 천문을(千文乙)이라는 어부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고기를 잡으러 바다에 나갔다가, 이곳 덕목리 앞 아산만에 이르게 되었다. 고기잡이에 열중하고 있던 중 그물에 무엇인가 걸렸다. 그물을 당겨보니 큰 돌이었다.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 다시 바다에 그물을 던졌다. 얼마 후 그물에는 또 무엇인가 걸린 듯하였다. 건져보니 이번에도 돌이었다. 이상히 여겨 살펴보니 그것은 불상이었다. 깊은 불심을 지니고 있었던 어부는 부처님 앞에 여러 차례 절을 올렸다. 보통 인연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어디든지 모셔야 되겠다고 생각하고는 절터를 찾아 근처 고등산으로 향하였다. 이상하게도 등에 지고 있는 부처..

경기도/평택시 2021.03.12

평택...이대원 장군 묘, 충마총

이대원 장군 묘역 홍살문, 비각, 사당(확충사 䨥忠祠), 재실, 우측 가족 묘역 상단에 장군의 묘, 최하단에 충마총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홍살문 뒤편 장군 동상, 확충사((䨥忠祠) 이대원 장군 묘역 중앙 이대원 장군 묘, 좌우 무덤은 정부인 경주 김씨(慶州金氏), 용인 이씨(龍仁李氏) 묘입니다. 묘비. 망주석, 상석과 향로석이 놓여 있습니다. 묘비 증가선대부.... 부사오위도총... 군전라좌도수군.. 정부인 경주 김씨 정부인 용인 이씨 신도비각 신도비 1699년(숙종 25)에 건립, 남구만이 찬하고 조상우가 글씨를 썼으며, 전액(篆額)은 김진규 작품입니다. 이대원 장군 "1566년(명종 21)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리에서 출생하였으며, 1583년(선조 16) 18세에 무과에 급제하고 1586년 선전관..

경기도/평택시 2021.03.11

평택...평택향교.현감 유영환 철비

평택 향교 몇년전 팽성 객사 답사 때에 스쳐지났습니다. 오늘은 철비 답사 차 들렀으나 역시 문이 닫혀 까치발로 만족했습니다 평택향교는 1413년(태종 13)에 창건되어 1445년(세종27)에 증설되었는데 병자호란으로 소실되었다가 재건되어 1775년(영조 51)에 중수되었다고 합니다. 일제강점기에는 농림학교로 사용된 적도 있으며 최근에는 1941년과 1965년, 1972년에 중수되었고 1986년에 명륜당이 중수되었습니다. 홍살문을 거치면 외삼문이 있으며, 명륜당이 앞, 대성전이 뒤에 배치된 전학후묘의 구조 입니다. 동서무가 없는 대성전에는 공자와 4성(聖), 송나라와 우리나라 20현(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배치와 달리 명륜당과 내삼문 사이에 위치한 동서재를 갖춘 명륜당은 판문으로 닫혀 ..

경기도/평택시 2019.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