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46

영덕...유금사 삼층석탑.석조약사여래좌상

영동지방 답사 후 귀갓길에 들렸습니다.옛글을 찾았더니 2010년이 마지막 답사였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183심층석탑이건인지.복원인지.이층 기단의 삼층석탑하층기단부는 덮였습니다..2010년 사진상층기단부탱주 1, 우주상층기단 갑석신라계 석탑과 다르게 평박합니다부연이 깊고 절수구가 있으며 음각의 추녀를 새겼습니다.상부에는 2단 굄을 조출하였습니다. 상층기단 갑석에 절수구가 있는 석탑https://cafe.daum.net/moonhawje/MebK/416 탑신부. 상륜부 탑신석 우주 모각옥개석낙수면 물매, 상처마선 반전, 전층 4단 층급받침, 하부 절수구, 상부 2단 탑신 괴임. 1개 풍탁공 상륜부 후보유금사 석탑상층기단 갑석에 특징이 있습니다즉 평박하고, 부연이 깊..

강릉...등명사지 오층석탑. 석탑부재

2010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231오층석탑2층 기단의 오층석탑으로 이른바 불대좌형 기단부를 갖춘 고려시대 석탑입니다.지대석, 기단부하층기단 중석의 안상, 갑석의 복련, 귀꽃상층기단 중석의 우주는 넓습니다.상층기단의 복련, 1단 굄탑신부, 상륜부초층 탑신석은 별석. 2층 이상은 탑신석과 동일 층 옥개석이 일석입니다. 동일층 탑신석과 옥개석이 일석인 석탑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88 옥개 받침은 아래로부터 3*3*3*3*2단, 절수구가 있습니다.초층 탑신석 문비와 자물쇠양각의 추녀?옥개석 하부 풍탁공사절된 처마선1단 탑신 굄, 탑신석에는 우주 모각노반노반 위에 복련과 귀꽃이 장식된 사례가 또 있는지.앙화..

강원도/강릉시 2024.06.02

양양...상월천리 금표

상월천리 금표. 현남면 상월천리 297민가 뒤편 밭 옆으로 흐르는 개울 축대에 박혀 있습니다.2002년 태풍 루사 때 피해를 입어 제방을 쌓았다고 합니다.2021년 상월천(윗달내) 정비 공사를 시행 중이던 업체 관계자가 발견하여 양양군청에 신고하여 알려진 금표입니다.따오기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다듬은 돌이 아니라 큰 바위의 일부가 하천 정비에 활용되었으며, 산으로 들어가는 입구이었을 것입니다.세로로 새긴 禁標가 눈에 들어옵니다.상월천리 금표https://blog.naver.com/mckhan01/222401770777정보를 공유해 준 김희태 님에게 감사드리며, 심도 있는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더불어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금표 답사 등의 관광 자원으로 연계하는 방안도 모색하면 좋을 것 같습..

강원도/양양군 2024.05.31

양양...시변리 태함(胎函)

현남면 시변리 12-3죽도해수욕장 공영주차장 옆 작은 공원7번 국도변에 세워진 강원도 관찰사 선정비군 한쪽에 덮개돌이 망실된 태함이 있습니다.태함일전에 김희태 님으로부터 이야기를 들었지만 이번 강원도 답사길에 인연 지었습니다.본래 위치는 아니며 주민들이 기우제를 올릴 때 사용했다고 합니다.  " 을 보면 기우제 의식과 관련한 내용이 잘 남아 있는데, 먼저 해변에 있던 탯돌에 사람들이 모여 기우제에 바칠 개를 잡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후 잡은 개의 피를 탯돌에 묻히고, 마을 사람들이 양쪽으로 늘어서 밧줄에 탯돌을 끼워 바닷물에 담가두었다고 한다. 이러한 탯돌 기우제는 1990년대까지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인천일보. 김희태. 2022.06.17)태함 내부덮개돌은 망실되었으나, 내부 태지석과, 태항아리를 담..

강원도/양양군 2024.05.30

속초...설악산 흔들 바위(사진)

1975년 이후 거의 반세기 만에 찾았습니다. 계조암https://blog.naver.com/hsjo7145/222923397543신통제일 나한석굴석등 간주석과 상대석 같습니다빽빽하게 이름을 새겼습니다...조선시대 흔들바위를 다녀간 벼슬아치, 사대부들의 방명록이라고 하지만....繼祖窟尹師國 書 윤사국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42357繼祖窟가로로 새겼습니다.울산바위.계조암. 흔들바위흔들바위" 신라의 고승 의상·원효가 수도했다는 계조암(繼祖庵) 앞에 소가 누운 모양을 한 넓고 평평한 와우암(臥牛岩) 또는 100여 명이 함께 식사를 할 수 있다 하여 식당암(食堂岩)이라 불리는 반석이 있고, 그 위에 흔들바위가 놓여 있다. 흔들바위라는 명칭은 한 사람의 ..

강원도/속초시 2024.05.29

속초..설악산 봉회당 마애부도

마애부도모연암 승탑원의 3기 승탑 뒤편에 있습니다. 신흥사 모연암 승탑원https://12977705.tistory.com/8728438모연암 승탑(3)을 답사 후 뒤편 큰 바위를 살펴보러 다가간 순간 모골이 송연했습니다.꿈인지, 생시인지.마애 부도가 눈앞에 나타났습니다.어떤 자료에도 없으며, 예상하지 못했던 나투심에 흥분보다는 믿기 어려운 감정이 몰아 쳤습니다.2023년 발간된 졸저 '마애부도 마애탑'에도 실리지 않은 발견이었기 때문입니다.큰 바위편평한 면에 세로로 새겼습니다.제가 감실형으로 분류한 유형의 마애 부도입니다.봉회당탑(蓬回堂塔)분명하지는 않지만 봉회당탑으로 추정됩니다. "동호회 오분향 님은 道圓堂塔으로 추정하였으며, 바로 아래에 있는 O圓堂 탑도 道圓堂塔으로 판독하며 분사리 탑 가능성을 제..

강원도/속초시 2024.05.28

속초...설악산 모연암 승탑원(부도전)

신흥사 모연암주차장에서 신흥사를 경유하여 설악의 품으로 젖어듭니다.아쉽게도 모연암에 관한 자료를 찾지 못했지만, 사진으로 보면 바위 아래에 자리 잡은 토굴 같은 분위기 었습니다 모연암 승탑원문화재청에서 발간한 한국의 사찰문화재 자료에는 사진 없이(제가 가진 자료 기준) 승탑 3기가 실려 있으며, 그 자료를 기준으로 설악산 산행기를 샅샅이 검색하였으나 2기를 찍은 사진 산행기 한 편과 1기만 촬영한 두서너 편 포스팅을 찾았을 뿐입니다. 즉 3기의 정확한 위치를 모르며 비탐방 구역 여부도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 겁 없이 도전하였습니다. *동호회 오분향 님은 모연암 보다는 계조암 승탑원이라는 의견을 주었습니다.(2024.11.15)안양암 승탑원 신흥사 승탑원https://12977705.tistory.com..

강원도/속초시 2024.05.27

강릉...관음리 오층석탑. 석조 대좌

2006년, 영양에 귀촌한 종화 님과 들렸었습니다.아래 글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참 어렵게 찾았던 기억, 마을 촌로와 정겹게 나누었던 이야기가 스쳐갑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770481안국사지.성산면 관음리 774번지 일원"『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 「사찰조」에 ‘안곡사재성산면안곡동 년대미상 당우소실 단석탑고오척삼촌폭삼척 전면각불상석 비고이척 지장존석조잔류 금폐(安谷寺在城山面安谷洞 年代未詳 堂宇燒失 但石塔高五尺三寸幅三尺 全面刻佛像石 碑高二尺 地藏尊石造殘留 今廢)’라는 기록과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에 ‘성산면 관음리사지(觀音里寺址), 강릉 서쪽 약 2리 구산리의 북 약 10정(町) 관음리 전중(田中)에 있다. 초석, 석원(石垣), 파손된 5층석탑 및 석..

강원도/강릉시 2024.05.26

강릉...보광리 석조여래입상

보광리 석조여래입상15년 전 스님의 안부가 궁금했습니다.기우였습니다. 그때 보다 더 젊어진 듯 보였으며, 나와의 일화를 기억하고 계셨습니다.2010년 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228하대석하단석, 상단석팔각 중대석, 상대석광배와 불신이 일석광배화염문, 덩굴문차 한 잔 하고 가라며 붙들었지만타이어 펑크로 자동차 서비스를 기다리는 중이어서...스님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2024.04.04

강원도/강릉시 2024.05.25

강릉...도진산 황장금표

도진산 황장금표 都眞山 禁標강릉시 왕산면 고단리 960번지. 정선과 강릉의 경계지점에 자리한 조선 후기에 세운 봉산 표석입니다.금산과 봉산은 우수한 산림자원이 분포했던 지역을 표시하는 표석으로, 나라에서 필요로 하는 소나무, 참나무, 밤나무 등의 목재 자원 벌채를 막기 위하여 세웠습니다.명문도진산 주백(리)都眞山 周百里북거O고(개)    北距O古介십오 十五 도진산 주위 100리는 소나무를 함부로 벨 수 없는 구역으로 금표가 세워진 곳으로부터 북쪽 O고개에 이르는 15리가 경계구역임을 의미합니다 * 周百里현장 안내문 한글 표기는 주백회(周百回)로 기록되어 있습니다.도진산都眞山현재 도진산 이름은 확인되지 않습니다.다만, 금표가 발견된 위치와 도진이라는 지명으로 미루어 이곳 고단리 일대와 덕우산 일대로 추정합..

강원도/강릉시 2024.05.23

정선...난향로원 남여근석

蘭香路苑정선군 북평면 북평리 산 208 남녀근석남근석(陽石)이 돌은 남성을 상징하는 모양으로 양석이라고 부르며, 음석과 더불어 자연적인 음양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어린 나이에 꽃다운 목숨을 잃은 난향의 원혼을 달래 마을의 안녕과 지역의 발전을 기원하기 위하여 숙암리 대정원에서 ㅇ곳으로 옮겨 놓았으며, 아들이 귀한 사람들이 득남을 기원하는 곳이기도 하다.여근석(陰石)이곳에 있는 돌은 여성의 은밀한 곳을 그대로 빼닮았다 하여 음석이라 부르고 있으며, 이 돌을 만지면 여자들이 바람난다고 해서 마을에서 흙으로 덮었으나 크고 작은 사고가 많이 발생하여 다시 파 놓았으며, 이러한 일 또한 난향신의 조화라고 여겨 이돌을 귀중히 여기소 있으며, 자손이 귀한 사람들은 자손 번창을 기원하는 뜻으로 이돌을 드..

강원도/정선군 2024.05.22

태백...단종비각.천제단

단종비각端宗碑閣망경사에서 태백산 정상 가는 등산로 상에 있습니다이곳도 눈이 쌓여 쉽게 올라갈 수 없었습니다. 강원도에는 영월에서 억울하게 죽은 단종이 산신령이 되었다고 믿고 여러 곳에 단종을 모신 사당이 있습니다. 영월 광풍헌. 자규루https://12977705.tistory.com/8725092 영월 보덕암https://12977705.tistory.com/8725413 장릉https://12977705.tistory.com/8725414 청령포https://12977705.tistory.com/8725531단종비각 현판, 비문은 탄허스님 글씨1955년 망경사 박묵암 스님이 비각을 세웠습니다.천제단(천왕단)하늘에 제사를 올리기 위해 돌을 쌓아 만든 3기의 제단입니다. 제단이다. 천왕단을 중심으로 북쪽..

강원도/태백시 2024.05.21

태백...태백산 망경사 석탑 부재

송봉주 박사로부터 망경사에 석탑부재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찾았습니다.최석훈 님과 당골에서 출발하지 않고 짧은 백단사 코스를 택했지만 처음부터 급경사(?)와 눈 때문에 쉽지 않은 산행이었습니다. 백단사-망경사. 단종비각-천제단-백단사 원점회귀 3시간 소요되었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이다. 652년(진덕여왕 6) 자장(慈藏)이 창건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태백산 정암사(淨巖寺)에서 말년을 보내던 자장율사가 이곳에 문수보살(文殊菩薩)의 석상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찾아와, 절을 짓고 석상을 봉안하였다고 한다.그 뒤의 역사는 미상이며, 6·25전쟁 당시 불탄 것을 현 주지의 노력으로 중창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샘이 있는 용왕각(龍王閣), 요사채·객사 등이 있다...

강원도/태백시 2024.05.20

영주...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 암각화

마애삼존, 향우측 마애여래좌상, 삼존불 향 좌측 아래 암각화태백산, 설악산 답사를 위해 최석훈 님과 영주역에서 만날 약속 후 일찍 도착하여 오랜만에 다시 뵈었습니다.마애삼존. 마애여래마애여래좌상은 아래 편에 있었지 않았나요?마애삼존바위면에 고부조로 새긴 삼존상입니다.본존 연화대좌, 시무외인, 여원인, 이중착의(?),  일반적인 유형과 다르게 오른쪽 어깨에 걸친 승각기가 눈에 들어옵니다.삼도가 희미하고, 살찐 상호, 눈과 코는 훼손되었으며, 입은 다물고 귀는 길어 어깨에 닿았습니다.뚜렷한 발제선, 소발, 높은 육계, 두광 외연의 화염문, 내연에는 중앙에 연화문, 화문으로 장식했습니다.두광 중앙 연화문과 두광 사이에 5 분 화불이 보이는지요?향 좌측 보살입상 보관 착용?디지털영주문화대전에는 보관에 정병을 새..

부산...송공단(宋公壇) 관노 철수 매동비. 금섬 순란비

송공단 외삼문동래시장과 접하고 있습니다.송공단(宋公壇) 1742년 동래부사 김석일이 임진왜란 당시 동래부사 송상현이 순절한 장소인 정원루(靖遠樓)의 옛터에 설치한 단으로 송상현을 비롯하여 왜란 때 순절한 여러 선열들을 모신 곳이다. 송공단이 건립되기 전에는 동래읍성 남문 밖의 조그마한 야산 농주산(지금의 동래경찰서 자리)에 임진왜란 때 순절한 선열들을 추모하는 농주산 전망 제단을 세워 동래부사 송상현, 양산부사 조영규, 동래교수 노개방을 비롯한 순절의사들을 모시고 있었다.그러다가 1742년(영조 18)에 지금의 위치에 송공단을 옮겨 세웠다. 1760년에는 동래부사 홍명한이 유림의 여론에 따라 부산첨사 정발과 함께 싸우다 전사한 부사맹 이정헌을 모셨으며, 1766년에는 다대첨사 윤흥신, 유생 양조한을 추가..

부산...정공단(鄭公壇) 충노 용월비. 열녀 애향비

정공단 외삼문내삼문정공단1592년 임진왜란 당시 부산진성을 지키며 군민과 함께 일본군과 싸우다 성과 운명을 같이한 부산첨사 정발(鄭撥)과 그를 따라 순절한 군민들의 충절을 기리는 제단이다. 단의 중앙에는 ‘정공단(鄭公壇)’이라고 새긴 비를 세우고, 서쪽에는 정발의 막료였던 이정헌(李庭憲), 동쪽에는 정발의 첩인 애향(愛香), 남쪽에는 군민들을 모셨으며, 남쪽 층계 밑에는 충직한 노복이었던 용월(龍月)의 단이 마련되어 있다. 1766년 부산첨사 이광국이 이들이 순절한 장소인 부산진성의 옛터에 이 제단을 만들었다.(다음 백과사전)충장군 정발 장군비.1766년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17839&cid=55777&categoryId=56135증 좌승지 이공정..

부산...부산대 연화문 층급받침 옥개석

박물관 내부 공사 중이어서 촬영하기 쉽지 않았습니다.옥개석낙수면 물매가 급합니다.2단 받침이 있습니다.상부가 훼손된 노반석처럼 보입니다.층급받침연화문이 새겨져 있습니다.장애물 때문에 사진 찍기가 어려웠지만 연화문이 있습니다.연화문이 새겨진 석탑 층급받침https://cafe.daum.net/moonhawje/MebK/4142024.03.28

부산...반고사지 석불좌상. 석탑 부재

울주군 반고사지에서 반출된 석불로 전합니다. 2008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6386409대좌는 후보백호공, 나발, 상호는 훼손이 심합니다이중착의?, 삼도가 있으며 선정인 스인?처럼 보입니다.9세기 후반 즈음일까요?탑신석반이 잘린 상태이며, 반고사지에서 옮겨온 부재로 알려져 있습니다.길쭉한 안상 속에 사천왕상으로 추정되는 상을 새겼습니다.2024.03.28 참고로 반고사지에는 다른 석탑재가 남아 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905

부산...부산대박물관 오층석탑

부산대 박물관 야외전시장아직 답사하지 못한 실내를 둘러보기 위해 2008년 이후 다시 들렸으나 공사 중이었습니다.2008년 사진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375-1번지 일원에 있는 사지에서 옮겨온 석탑입니다.사지에 관한 연혁은 알려지지 않으나 대곡사지로 전합니다.기단부. 4층 옥개석과 탑신석, 상륜부는 후보한 부재 같습니다.단층 기단부후보하였습니다.초층탑신석. 사천왕상사천왕상북방 다문천왕만 보탑을 들고 있고, 다른 사천왕은 모두 칼(?)을 지물로 들고 있는 것 같습니다.서방(?). 칼북방 다문천왕. 보탑탑신부탑신부 구성이 흥미진진합니다. 초층탑신석. 초층 옥개석, 2층 탑신석은 별석2층 옥개석과 3층 탑신석 일석 3층 옥개석 별석4층 탑신석과 4층 옥개석 일석(후보물로 추정)5층 탑신석과 5층 옥개석  일석상..

경주...이조리 석탑부재

석탑 기단중석 부재지난 2월 경주 김환대 님으로부터 연락을 받고 기림사 석탑 답사 후에 들렸습니다.한쪽에만 우주를 새겼습니다.엇물림으로 결구한 부재 같습니다.다듬지 않은 내부늘새로운 정보를 공유해 주는 김환대 님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2024.03.22 ***도난에 노출되어 정확한 위치는 표기하지 않았지만, 댓글 주시면 알려드리겠습니다

경주...장항리사지 동서오층석탑. 연화대좌

장항리사지는 사명을 알 수 없는 곳이다. 1923년 7월 도굴범에 의하여 석탑이 폭파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이것이 경주군수에 의해 조선총독부에 보고되면서 사지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본 사지는 1929년 藤島亥治郞가 사역을 조사하기까지 이후 몇 년간 방치되었다. 藤島亥治郞의 기록에 따르면 조사 당시 사역 내에 는 서탑이 무너진 상태로 방치되어 있었으며, 파괴된 동탑은 일부 부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하천에 떨어져 흩어져 있었다. 후지시마의 조사 자료에는 잔존하고 있는 석탑의 도면과 함께 건물지의 조사 내용도 수록되어 있다. 한편, 『慶州古蹟及遺物調査書』에는 무너져 있는 석탑의 현황에 대한 자세한 조사 내용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와 함께 대좌와 파괴된 불두의 모습도 사진자료로 수록되어 있다. ..

경주...기림사 성보박물관

성보박물관실내 전시관은 첨 인연 지었습니다.부처재 석불좌상https://12977705.tistory.com/8725649방형대좌https://12977705.tistory.com/8726432석조 치미. 통일신라기림사 시왕도. 1799년제1 진광대왕도제2 초강대왕제3 송제대왕제4 오관대왕제5 염라대왕제6 변성대왕제7 태산대왕제8 평등대왕제9 도시대왕제10 오도전륜대왕금고. 1722년청동 나팔.중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건칠보살좌상. 연산군 7년(1501)건칠불은 전연성이 뛰어난 칠을 재료로 하기 때문에 철불이나 석불에 비하여 옷주름 등의 세부 표현을 물 흐르듯 유연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을 최대한 살려 아주 섬세하고 사실적으로 조각한 작품이 경주 기림사(祇林寺)에 있는 건칠보살좌상이..

경주...기림사 응향각 석탑부재(1)

동호회 박동황 님으로부터 기림사 응향각 뜰에 석탑부재가 있다는 연락을 받고 바로 달려갔습니다.참고로 응향각은 출입금지 팻말이 있으나, 스님이 거주하지 않은 전각 느낌이었습니다.석탑부재2기 석탑 부재 중의 하나입니다.아래로부터탑신석, 옥개석+탑신석, 옥개석+탑신석, 옥개석, 탑신석, 옥개석+탑신석 부재입니다.그러나 몇 기 석탑의 조합인지 명확하지 않습니다.탑신굄, 낙수면 물매, 전각의 반전이 서로 다릅니다.맨 아래탑신석, 옥개석 5단 층급받침옥개석과 탑신석 일석, 높은 굄위의 옥개석 층급받침과 아래 층급받침은 확연히 다른 모습입니다.옥개석과 일석인 탑신석 부재아래위 부재와 다른 석탑 부재로 추정됩니다.이 석탑 부재는 기림사 응향각 석탑부재(2)의 2층 옥개석과 탑신석으로 추정됩니다.응향각 석탑부재(2)옥개..

대구...한국 불교미술 천년의 숨결전

대구 거주하는 회원들과 다녀왔습니다. 2024.03.21불감관음도금동여래좌상금동관음보살입상금동아미타여래입상금동보살입상금동여래입상금동관음보살입상금동관음보살입상금동주작문진(文鎭)금동여래입상꼭두?은제 탁잔금강저금동 연지 동자문 경갑석조비로자나불좌상금동관음보살입상청동칠층소탑은제 도금 타출 불상표형병금동여래입상석불좌상금동주악상은제연화문 함아미타여래좌상보살좌상금동반가사유상금동여래입상금동여래입상꼭두 여기까지읽는 분의 안목으로 남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