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전시장
여러 자료에 실려있는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신사국 88 불상을 찾지 못하고 실내 전시물 답사 후 들어가면서 먼발치에서 보았던 야외 석조물을 살펴보았습니다.
귀부
비신이 망실되었으며, 방형으로 새겨진 귀갑문이 이체롭습니다.
석조
석조여래불두. 석조연화대좌
2015년 하점면 장정리에서 신고된 연화대좌 2기와 2022년 같은 곳에서 추가 신고된 불두입니다.
안내문에는 고려시대 절터로 추청 되는 사지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작품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연화대좌(1)
상대석과 하대석이 한돌입니다.
각각 단판단엽의 연화문과 간엽을 새겼으며 상부에도 복연을 조식하였으며 다소 투박한 상태입니다..
안내문 설명처럼 고려시대에 조성된 대좌이면 후기로 추정됩니다.
입상의 불보살의 대좌로 불신을 끼웠던 촉공만 남아 있습니다
연화대좌(2)
연화대좌(1)와 비슷하며 불상의 두 발을 상대석에 새겼습니다.
석조여래 불두
소발, 육계가 높습니다.
이마에는 백호를 새겼고, 두 눈은 반개한 듯하며, 다소 넓은 코는 훼손되어 원형을 알 수 없습니다.
귀는 길고 입술은 두텁게 표현하였으며, 전체적으로 근엄한 상호입니다.
왜 남원 신계리 마애불을 떠올렸는지.
측면
동일 장소인지는 알 수 없지만 하점면 장정리에는 석불입상과 오층석탑이 있습니다.
장정리 오층석탑
https://12977705.tistory.com/8725210
장정리 석불입상
https://12977705.tistory.com/8725211
불두화 아래 문인석
처음에는 일제강점기 석불인 줄 알고 쾌재를 불렀습니다.
문인석으로 추정되는 석상 3기가 있습니다.
석상(1)
석상(2)
석상(3)
고려 왕릉에 조성된 석인상의 모습이 없진 않지만 세부 표현은 조선시대 분위기입니다.
강화 가릉
https://12977705.tistory.com/8726926
강화 홍릉
https://12977705.tistory.com/8726918
강화 청수암 미륵불
https://12977705.tistory.com/8726915
목표로 했던 일제강점기 88 불상은 인연 짓지 못했지만 기대하지 않았던 고려시대에 조성된 장정리 연화대좌와 석조여래 입상과 문인석을 을 뵐 수 있었습니다.
2024.08.07
'인천광역시 > 강화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고려산 백련사 (0) | 2024.09.04 |
---|---|
강화...강화역사박물관 강화 동종 外 (0) | 2024.09.03 |
강화...전쟁기념관 하마비. 금표 (0) | 2024.09.01 |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0) | 2024.08.27 |
강화...남창포대. 덕진돈대. 해문방수타국선신물과비 (3)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