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44

함안...충노 대갑비

무진정서너 차례 답사하였으나 충노 대갑의비를 이제야 알고 다녀왔습니다.무진정https://12977705.tistory.com/8728020無盡亭無盡亭潭효자담(孝子潭) 비석부자 쌍절각(父子雙節閣).숙종 32년(1706년)조삼의 증손인 조준남과 그의 아들 조계선의 효와 충을 기려 세운 전각이다.  "조준남은 1597년 정유재란 때 왜적이 쳐들어와 증조부 조삼의 묘를 파헤치자 왜적들을 뚫고 들어가 흙으로 관을 덮고 저항하였다. 왜적이 그를 위협하자 조준남은 "네놈들이 내 선조의 묘소를 무단 훼손하니 너희는 나의 불공대천의 원수다."라고 분노하며 자결하였다고 한다. 그의 아들 조계선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1627년 정묘호란 때 나라를 지키기 위해 출전하였다가 의주에서 전사하였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인천...약사사 칠층석탑

약사사. 남동구 풀무로 48 약사사. 대한불교화엄종의 본산"1932년 금강산 유점사에서 수행하던 보월스님이 우연히 이곳 만월산을 지나게 되었다. 산은 그리 높지 않지만, 동서남북이 한눈에 다 보이고, 산세가 팔을 뻗어 시가지를 감싸 안은 듯한 모양이 예사롭지 않아 그 이듬해 이곳에 작은 암자를 짓게 하고 약사암이라 명명하였다. 지금의 약사사보다 조금 더 산 위쪽이었는데, 일반 대중에게 부처님의 설법이 좀 더 쉽게 다가가려는 의도였던 것 같다. 보월스님은 그 뒤 금강산으로 돌아갔고, 그를 이어 인천 해광사에서 수도 중이던 한능해 스님이 이곳을 지켰다. 그는 1960년대 들어 지금 위치에 대웅전 등을 짓고, 약사암을 약사사로 높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현재 약사사에는 대웅보전, 극락전, 약사전, 칠성각, 산신..

옹진...통일사 석불입상

산행객의 등산기에 석불입상과 일제강점기로 추정되는 석탑 사진을 보고 찾았습니다. 통일사한국전쟁 때 전사한 남편의 넋을 기리기 위해 비구니 최선규 스님이 1983년 창건하였습니다. 불두를 복원한 석불입상으로 소개하고 있으나 문인석 느낌입니다.문화유산청 자료에는 조선시대에 조성한 석인상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일반적인 팔작지붕과 달리 추녀마루가 긴 편입니다.불단오층석탑일제강점기 석탑인 줄 알고 찾았는데 현대작입니다.석불입상이 아니었고, 일제강점기 석탑도 아니었지만 개인적으로 옹진군은 첫 답사이었습니다. 2024.08.08

인천...대한민국 수준원점(水準原點)

수준원점"국토의 높이를 정하는 기준점이며, 이를 이용하여 전국의 국가기준점이 결정됩니다. 수준원점과 국가기준점은 국토개발, 지구 과학 분야의 연구 등에서 높이 추정의 가준 점으로 사용됩니다. 수준 원점은 1914년부터 1916년까지 인천 앞바다의 바닷물 평균 높이(평균 해수면)를 관측하여 인천 중구에 설치하였습니다. 이후 도시개발 등을 이유로 기존 수준 원점 (5,477m)에서부터 정밀하게 측량하여 1963년 12 수준원점(26.6871m)을 이곳으로 옮겼습니다."(안내문) 즉 수준원점(26.6871m)은 인천 앞바다의 평균 해수면으로부터 이 지점까지의 높이를 나타냅니다.위 현장 안내문과 다음백과사전에는 관측년도가 서로 다릅니다."평균해수면은 일종의 가상면으로, 수준 측량에 직접 사용할 수 없으므로 평균..

인천...해광사 칠층석탑

해광사1908년 일본 조동종 계열의 화엄사로 창건되었다고 합니다.창건 당시에는 일본 본원사에서 가져온 석가여래를 본존불로 봉안하였으며, 1994년 현재 대웅전을 건립하면서 화엄사 대웅전은 철거되었다고 합니다. 두산백과사전에는 대한불교화엄종 종파 사찰로 검색됩니다" 한국 불교 26개 종단의 하나이다. 제1대 종정(宗正)인 한능해대종이 1920년 인천 만월산(滿月山)에 약사사(藥師寺)를 창건하고, 인천 신흥동(新興洞)에 있던 일본인의 사원을 인수하여 해광사(海光寺)라 칭하고, 이 두 절의 주지를 겸임하면서 1965년 10월 대한불교화엄종을 창종(創宗)하고, 1966년 6월 불교재산관리법에 따라 불교단체 등록을 함으로써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종지(宗旨)는 대승불교의 보살행(菩薩行)을 실천하여 중생을 교화하고,..

인천...부용사(암) 칠층석탑

부용사(암).미추홀구 수봉북로 341930년 승려 만성이 지은 작은 암자로 출발하여  한국전쟁 이후 인천시민 128명의 시주로 창건된 비구니 도량입니다.일제강점기의 전형적인 칠층석탑입니다.칠층석탑은 대웅전 앞이 아니라 응진전 전면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즉, 1958년 응진전 건축 때 다른 곳에서 옮겨온 탑으로 추정됩니다. 인천에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많이 거주했던 까닭으로 일본 석탑이 다수 남아 있습니다. 그 많았던 88 야불은 한 분도 계시지 않은데.우리나라 일제강점기 석탑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62응진전. 1958년2023년 인천광역시 등록문화재로 지정정면 3칸 측면 2칸, 맞배지붕, 전면 겹처마. 후면 홑처마. 풍판을 걸었습니다.교창과 유리 여닫이문은 ..

인천..부평도호부 관아

비림부평부사를 비롯한 관리들의 선정비군부평도호부 관아부평초등학교 교정 모퉁이에 있는 옛 부평도호부 관아 건물이다. 부평도호부관아는 숙종 3년(1677)에 중수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세워진 내력을 정확히는 알 수가 없다. 고려시대 의종 4년(1150)에 안남도호부로, 고종 2년(1215)에 계양도호부로, 조선시대 태종 13년(1413)에 부평부가 부평도호부로 승격되었다. 따라서 모든 정황으로 볼 때 부평도호부로 승격이 되면서 관아 건립에 착수하여 약 5년 후(태종 18년, 1418)에 완공된 것으로 보인다. 《부평부 읍지》에 의하면 부평도호부 내에는 동헌 외에 객사·동서 삼문·근민당(近民堂)·좌우 익랑·사령청·향청·포도청·훈무당·부창 등 여러 채의 건물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관아 규모는 인천도호부를 능가..

인천...계산동 은행나무

부평초등학교 교정수령 500년, 600년이 지난 두 그루 은행나무가 있습니다.사진 좌측 나무는 은행이 열린 암나무이며, 오른쪽은 숫나무입니다.계산동 은행나무수령 500년 이상 추정. 높이 25미터. 둘레 10미터1992년 인천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부평도호부 관아에 심었던 나무입니다.부평초교 교실 앞수령 600년, 높이 20미터, 둘레 6미터1982년 보호수로 지정되었습니다.부평도호부라는 설명은 없지만 암나무와 더불어 도호부에 있었던 나무로 추정됩니다.사진 좌측 뒤편에 부평도호부 관아 건물과 비석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두 그루 은행나무는 부평초교 정문으로 들어가야 볼 수 있으며, 초등학교에서 부평도호부로 출입하는 길은 없습니다.그런데왜 수령 500년 나무는 기념물이며, 600년 나무는 보호수일까요? 2024..

강화...흥왕리사지(2) 석탑부재

흥왕사지기존 국가유산청 발간 한국의 사지에는 흥왕사지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동일기관의 2023년 학술조사보고사는 흥왕사지를 흥왕리사지(1)로, 오늘 방문한 사지는 흥왕리사지(2)로 기록하여 혼란스럽습니다. 이 글에서는 오늘 답사한 사지는 흥왕리사지(2)로 2016년 답사한 사지는 흥왕사지로 표기하겠습니다. 흥왕사지(2016년).https://12977705.tistory.com/8725213흥왕사지 석탑부재 흥왕리사지(2)는 흥왕사지를 거쳐서 가야 합니다.  흥왕리사지(2)금년초 우리 카페 최석훈 님이 포스팅한 절터입니다. 국가유산청 홈페이지의 강화 마니산 학술조사보고서 자료 외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답사를 즐기는 사람들에게도 거의 처녀지나 다름없는 사지입니다. 그 절터를 찜통더위를 뚫고 샘물처..

강화...사기리 탱자나무

사기리(沙器里) 탱자나무 화도면 사기리 135-10번지1962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니 특별한 이유가 있었을까? 문화유산청 홈페이지에는 기록을 살펴보면400년 수령, 원나라의 고려 침공 때 성 주위에 심었던 나무, 탱자나무의 북방 한계선에 자라고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탱자나무는 주로 영·호남지방에 분포하며 일본·중국에서도 자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나무는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열매와 껍질은 약재로 사용되며 줄기에 가시가 나 있어 과수원 울타리용으로 적합하다.강화 사기리 탱자나무의 나이는 약 4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3.56m, 뿌리 부분 둘레 2.2m이다. 가지의 굵기로 미루어 볼 때 매우 컸던 것으로 추측되지만 현재 대부분 가지가 죽고 동쪽 가지만 살아 있다.강화도는..

강화...고려산 백련사

백련사기억의 오류?왜 답사했었다고 생각했을까요?아니왜 그렇게 수 차례 강화 답사를 하면서도 동선에 포함시키지 않았을까요?아마도고려시대에 조성되어 보물로 지정된 후 도난된 철조여래좌상 외에는 특별한 옛님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그런 연유로 백련사와 흥왕리 사지(2), 강화역사박물관 일제강점기 석불과 더불어 이번 강화도 답사의 주목적의 하나이었습니다.철조여래좌상(출처. 문화재청)극락전1905년에 세운 절집에서는 흔치 않은 ㄱ字 건물입니다.원래는 관음전이었으나 1986년 극락전으로 현판을 바꾸었다고 합니다. 백련사 창건설화"고구려 장수왕 4년(416)에 천축스님이 고려산 꼭대기에서 오련지五蓮池를 발견하고 다섯 송이의 연꽃을 날려  연꽃이 떨어진 장소에 절을 세웠는데, 하얀 연꽃이 떨어진 곳에는 ..

강화...강화역사박물관 강화 동종 外

일제강점기의 88 불상은 탐문에 실패하고전시실의 강화동종,선두포축언시말비,고려 청자, 불교문화유산 몇몇 점을 둘러보았습니다.청련사 원통암 감로탱(모본)문화유산청 등재 원통암 감로탱(진본). 1906년금동여래입상. 통일신라강화읍 대산리 출토금동삼존불. 고려강화 관청리 출토선각불상경(線刻佛像鏡). 고려강화 용정리 출토전면 윤왕좌 수월관음보살좌상. 명문. 鄭氏年二十三共眞후면 아미타여래(관람객은 볼 수 없다)강화 동종강화산성 남문에 걸려있었던 종문화재청 자료에는 1711년 사인비구가 주조한 종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현장 설명문은 모호합니다현장 설명문1688년 강화유수 윤지완 처음 주조1711년 강화유수 민진원이 옛 종을 녹여 새로 주조 옛종. 사인 비구 새로 조성 종. 조신 설명문에 따르면 사인비구는 ..

강화...강화역사박물관 석조여래불두, 석조연화대좌

야외전시장여러 자료에 실려있는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신사국 88 불상을 찾지 못하고 실내 전시물 답사 후 들어가면서 먼발치에서 보았던 야외 석조물을 살펴보았습니다.귀부비신이 망실되었으며, 방형으로 새겨진 귀갑문이 이체롭습니다.석조석조여래불두. 석조연화대좌2015년 하점면 장정리에서 신고된 연화대좌 2기와 2022년 같은 곳에서 추가 신고된 불두입니다.안내문에는 고려시대 절터로 추청 되는 사지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작품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연화대좌(1)상대석과 하대석이 한돌입니다.각각 단판단엽의 연화문과 간엽을 새겼으며 상부에도 복연을 조식하였으며 다소 투박한 상태입니다..안내문 설명처럼 고려시대에 조성된 대좌이면 후기로 추정됩니다.입상의 불보살의 대좌로 불신을 끼웠던 촉공만 남아 있습니다연화대좌(2)연화대..

강화...전쟁기념관 하마비. 금표

전쟁기념관 비림정문 들어서서 우측에 있습니다.개인적으로는 세 차례, 최근에는 2021년에 답사한 것 같습니다.하마비강화 향교에 있었던 하마비 수령이하개하마(守令以下皆下馬)정 3품 이하는 말에서 내려 출입하라는 문구입니다.계묘 하립(癸卯 夏立)계묘년을 현장 안내문에는 1,783년으로 특정하였습니다.설립 연도를 새긴 하마비는 흔치 않습니다.금표(禁標)명문금표(禁標)방목축자장일백(放牧畜者杖一百)기회자장팔십(棄灰者杖八十) 고려궁지 부근에는 가축을 방목하지 말고, 재를 버리지 말라는 경고문입니다.계축 사월 일립(癸丑四月日立)현장 안내문에는 계축년을 1,733년으로 설명합니다우리나라 금표비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39 2024.08.07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2004년 문화재청 주관, 답사 이후 첫걸음입니다. 뒤죽박죽인 그때 글이 남아 있습니다. "가을이 농익어 가건만 떠나지 못함의 아쉬움에 병이 깊어질 무렵 답사후기 당선 부상으로 강화도로 답사 간다는 문화재청에서 날아온 낭보에 거의 보름밤을 불면에 시달린 것은 우리 문화를 좋아하면서도 한양의 궁궐을 비롯 경기북부를 답사해보지 못한 나의 컴프렉스를 만회할 절호의 기회에 대한 설렘 때문이었을 것이다.처녀지에 대한 기대는 첫날밤 마누라 가슴을 더듬던 기억 만큼이나 흥분과 감흥으로 가득 차서 오매불망 잠 못 이루며 천재일우의 오늘을 손꼽아 기다렸기에 새벽 5시부터 대구에서 출발한 여정이 오후 2시가 되어서야 강화대교 건너 강화초입에 도착했어도 피로는 고사하고, 점심 식사 때 맛본 게장과 강화특산 순무 깍두기 맛에..

강화...남창포대. 덕진돈대. 해문방수타국선신물과비

2004년 문화재청 문화유산 답사기 공모에 입선하여 강화도를  답사사하였을 때 들렸던 기억이 있습니다.당시에는 사진을 찍지 않을 때지만 글이 남아 있습니다. " 내게는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일기에도 피곤하기는커녕 열정이 넘쳐나건만 일행들 특히 문화재청에서 온 직원들은 지친 기색이 역력하다. 강화도는 한말에 서구 열강들이 한양으로 침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지리적 위치기에 어쩌면 군사적 요충지 었다.강화 해안선을 따라 구축되어 있는 군사시설인 진, 보, 돈대가 수도 없이 많아 보여 한말에 축성했을 것이라 지레짐작을 했는데 가이드에 의하면 임란, 병란 후 숙종 재위 시 외세의 침입과 이궁목적으로 축성되었으며 경기도 광주, 개경과 함께 강화도에는 오늘날 2급에 해당하는 관원이 파견되어 있었다 한다..

인천...백운산 용궁사

용궁사. 인천 중구 운남로 199-1 용궁사.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영종도 백운산 기슭 평평한 대지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문무왕 10년(670)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백운사(白雲寺)라 하였다고 전하며 일명 구담사(瞿曇寺)라고도 한다. 조선 철종 5년(1854)에 흥선대원군이 중창하여 용궁사라 개칭하고 고종이 등극할 때까지 이 절에서 칩거하였다고 한다.전설에 의하면 영종도 중산 월촌에 사는 윤공이란 어부가 꿈을 꾼 뒤 바다에서 작은 옥불을 어망으로 끌어올려 이 절에 봉안하였다고 하며 현재 그 옥불은 없고 모조 옥불을 모시고 있다. 경내의 관음전(觀音殿)은 맞배지붕, 홑처마 건물로서 옥석(玉石)으로 된 관음상이 봉안되어 있으나 일제강점기 때 도난당하고 현재는 후불탱화를 배경으로 한 관음상이 걸려 있으..

청도...운문사 약사유리광여래도.칠원성군도

칠성각칠성도. 1976년독성. 산신도를 함께 봉안하였는데 칠성각입니다.당연히 삼성각인 줄 알았는데 칠원성군을 모신 까닭에 칠성각으로 명명한 것 같습니다.독성도. 1942년산신도. 1976년운문사 칠성각 부도(雲門寺 七星各 部圖)약사유리광 여래"1868년(고종 5) 경상북도 지역 대표 화승인 응상이 수화승이 되어 청도 운문사에서 제작하고 봉안한 불화이다. 각부(各部) 형식으로 칠성여래, 칠원성군을 그린 7점 가운데 약사유리광 여래를 그린 작품이다. 2018년 미국 경매에서 환수되어 운문사로 이운된 이 칠성각부도의 전체 구성은 현재로는 알 수 없으며 나머지 작품들에 대한 소재도 불분명하다.세로 129.5㎝, 가로 74.3㎝ 크기의 비단천에 색을 올려 완성하였다. 장방형으로 긴 화면은 칠성여래를 그린 상단과 ..

청도...호거산 운문사

운문사오늘 청도에서 업무를 마치고 승가대학 사서 스님에게 졸저 '마애부도. 마애탑을 전하러 왔습니다.옛글로 대신합니다. 호거산 운문사https://12977705.tistory.com/8724929https://12977705.tistory.com/8724930처진 소나무만세루범종. 조선후기대웅보전소조비로자나불좌상(조선후기)삼신불회. 1755년. 금어 처일악착보살동서삼층석탑. 통일신라서삼층석탑동삼층석탑대웅전 앞 석등석사자불단소조제화갈라보살.소조석가여래좌상.소조미륵보살좌상. 조선 후기소조나한상. 조선후기금당 앞 석등https://12977705.tistory.com/8725609대웅보전목조지장보살(조선 후기)지장탱(1889년)작압전작압전 기단석조여래좌상. 사천왕상. 제석천?석조여래좌상향좌측 금강저를 들고 ..

춘천...국립춘천박물관 선림원지 금동보살입상 展

국립춘천박물관다시 찾은 신라의 빛. 선림원 터 금봉보살입상 게으름에 차일피일 미루다가마감 3일 전에 다녀왔습니다.2012년 마지막으로 다녀왔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798구슬보살입상과 함께 발견광배. 영락장식2015년 발견, 8~9세기 작으로 추정 안목도 없지만더 이상의 말은 사족에 불과할 것 같습니다.발굴 당시 모습창령사지 나한상https://12977705.tistory.com/8728314국립춘천박물관 불교 유산https://12977705.tistory.com/8728315 국립춘천박물관 현모의 정원https://12977705.tistory.com/8728317 2024.07.25

강원도/춘천시 2024.08.22

대구...국립대구박물관 '한국의 신발' 展

나막신. 아산 갈매리. 삼국시대나막신. 경산 임당동. 삼극시대나막신. 익산미륵사지. 삼국시대나막신. 부산 가동. 삼국시대짚신 조각. 경산 임당동. 삼국시대나막신. 중국 신장 투루판 아스타나 고분군종이신발. 중국 신장 투루판 아스타나 고분군 모자. 가죽신.  중국신장가죽신 바닥은 소가죽, 다른 부분은 오소리 가죽옻칠 신발. 낙랑 채협총풍속도. 기산 김준근. 1890년갓신 깁고, 목혜 파고신발 만드는 도구나막신. 사슴 가죽신(녹피혜). 가죽신조선탐라순력도. 서귀포점. 1702년목동이 발레를 착용한 모습이 보입니다.발레는 가죽으로 만든 제주도의 전통 복식이다. 주로 말 생산과 관리를 담당하든 목동인 테우리가 착용했다.(위) 짚신 모양으로 만든 가죽신. 20세기(아래) 가죽 발레조선 적삼(어린이용 윗옷). 안동..

포항...약전리 암각화

어제 포항 뱃머리 평생교육관에서 열린. 칠포리 암각화군의 문화유산 가치와 활용' 학술대회서  여러 차례 언급된 곳입니다. 개인적으로 처음 인지하였으며 마침 이곳이 고향인 이상령 님의 안내로 둘러보았습니다. 동해면 신정리 산 9번지에 위치한 약전리 암각화군은 가장 최근(2017년)에 발견된 곳으로 3개의 바위면에 석검형, 검파형, 선각, 바위구멍 등 45점의 그림이 확인되었다고 합니다.암각화(1)우리 카페 김호경(풍경) 님 사진 중앙 석검형 좌우로 검파문이 새겨져 있습니다.약전리 암각화는 포항 칠포리, 경주 석장동 및 안심리, 영천 보성리에 분포된 검파형 암각화와 유사하며 검파문의 발전 단계 상 초기 단계로 추정된다고 합니다.암각화(2)육안으로 구분이 쉽지 않습니다.암각화(3)희미하게 눈에 들어옵니다202..

포항...광남서원. 충비단랑지비

광남서원"1791년(정조 1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황보 인(皇甫仁)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31년(순조 31)에 ‘광남’이라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 훼철되었다가 그 뒤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다음) 전학후묘 배치로 외삼문, 강당인 숭의당과 동서재. 내삼문 황보인을 모신 사당인 세덕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황보인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65157復陽門외삼문충정공 신도비영의정 충정공 지봉 황보 선생 신도비崇義堂. 동서재내삼문忠定廟사당입니다追遠壇. 忠婢丹良碑閣숭의당 향우 측에 다른 서원에서는 볼 수 없는 두 ..

포항...임허사 석조지장보살좌상

임허사(臨虛寺) 북구 흥해읍 동해대로 1548-4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佛國寺)의 말사이다.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옥성리에 있는 향교산(鄕校山)의 이팝나무 군락지 안에 자리 잡고 있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1910년경 현재와 같은 사찰이 조성되었다. 1933년과 1940년에 전답을 헌납받아 사역을 넓혔으나 그 후 다시 퇴락했다가 1983년 중건하였다. (네이버 발췌)   분명 순례하였던 절집인데 기록이 없습니다.아니면 이팦나무 군락지에 들렸다가 참배만 하였는지흥해향교 이팦나무 군락지. 천연기념물향교 건립을 기념하여 심은 이팝나무의 종자가 발아되어 조성된 군락이라 전해지며, 5월이면 만개하는 하얀 꽃이 주변 향교 및 사찰(임허사)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

포항...거북받침 문인석

지난밤포항에 거주하는 동호회원들과 거나하게 한 잔 하였습니다금요일인 탓에 늦은 밤에 숙소를 구하지 못하여 이상령 님 댁에서 숙박하고 사모님이 정성스럽게 준비해 준 누룽지 죽을 맛 나게 먹은 후 일찍 길을 나섰습니다. 금년 봄 즈음이상령 님으로부터 귀부 받침의 문인석이 있다는 전화를 받고, 첨부한 사진을 보고도 반신반의했었습니다.그런 사례를 답사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묘주독이 가시지 않아 가쁜 숨을 내쉬면서 천마산 정상부근 묘를 찾았습니다 향로석 상석 묘비 봉분좌측 귀부, 우측 귀부 받침에 세운 얼굴이 잘려나간 문인석 귀부 받침만 없다면 소박한 묘지입니다.묘비通政大夫 宋公之墓2단 방형 받침 위에 비신을 세우고  연맥을 표현한 연화문과 보주가 일석인 비머리公諱成龍 系出 懷德 O祖 諱雅東 高祖 諱O金 ..

포항...천마산 석불입상

2007년 한 번 순례하였으나 전혀 기억할 수 없었습니다.포항의 이상녕 님에게 위치는 확인했으나 풀이 우거져 들어가기 쉽지 않았습니다.천마산 석불입상2007년 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775758철천지 원수가 아니고서는 이렇게 훼손할 수 없었을 텐데연화대좌 중대석 결실, 가슴 위 결실, 불신 전체가 훼손이 심각한 모습입니다.하대석의 복련불신과 함께 새긴 발측면 대의자락배면오랜 기간민초들은 미륵으로 추앙했었는데이제는 찾는 사람 없고, 칡덩굴에게 불신마저 내어 줄 것 같습니다.방치보다는 영일민속박물관으로 옮겼으면 좋을 텐데. 2024.07.05

포항...충비 순량순절지비

북미질부성과 참포관소2007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775766바위에 충비순량비와 불망비를 새겼습니다.忠婢順良殉節之淵(충비순량순절지연)충비 순량이 주인의 시신을 안고 따라 죽은 연못이 있던 자리에 순절마애비를 새겼습니다忠婢順良殉節之淵 順良郡北興安里李娘婢也娘有幽恨沒干是淵婢欲下從憫其稚子隨後誘使歸家卽赴淵抱娘屍而死乃己亥四月二十四日也後四八年崇禎三丙戌八月 行郡守趙峸書而識之O 순량은 흥안군의 북쪽 흥안리에 사는 이씨 낭자의 몸종이다.낭자가 극한 슬픔이 있어 못에 빠져 죽으니 순량이 뒤를 따르고자 하나어린 자식이 민망스럽게 보챔으로 달래어 집에 돌아 보내고 이 못에 와서 낭자의 시체를 안고 죽었노라.그날이 기해년 사월 이십팔일이다. 이후 48년이 지난 숭정 삼 병술..

포항...영일민속박물관 충비 갑연비 外

영일민속박물관 제남헌흥해 동헌 건물이었습니다..2013년 마지막으로 들렸으며 오늘은 충비. 갑연 비석을 찾아왔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133비림충비갑연지비(忠婢甲連之碑)본래 위치는 포항시 용흥동 연화재 중턱에 있었으나, 포항-대구 간 고속국도 진입 도로 확장으로 인하여 흥해 민속박물관으로 옮겼다고 합니다.撰. 가선대부 행 경상도관찰사 병마수군절도사 대구도호부 겸 순찰사 박기수書,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경연 홍문과 제학 이면승 아래 내용은 우리 카페 이상령 님 블로그에서 옮겨왔습니다 “생명을 버리고 대의를 취하며 몸을 죽이고 명분을 이룸은 군자의 일이다.그러나 대의를 알아야 생명을 버리고 명분을 알아야 몸을 죽이는 것이다.생각하건대, 대의와 명분을 알지 못하고도 ..

양산...통도사 성보박물관

성보박물관 실내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접했지만차일피일 미루다가 다녀왔습니다.울산 문수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1787년동축사 반야용선도(복제).20세기초(원본). 종이통도사 괘불탱화. 1792년실상묘법연화경 목패. 17세기밀호가람성신지위 목패. 17세기만력(萬曆) 34년 명 목조 전패. 1606년동종. 보물1686년. 사인비구 작품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37순치(順治) 16년 명(銘) 청동 시루. 1659년목조해치고대 및 홍고(木造獬豸鼓臺 및 弘鼓). 17~18세기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통일신라대좌는 후보 같습니다 좌권인 비로자나불https://cafe.daum.net/moonhawje/MebK/91배례석 배례석(수도권, 강원)https://ca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