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성군 54

의성...만장사 석조여래좌상.삼층석탑

오늘은 동호회 답사 2018년 글입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6026 석조여래좌상 기단부 광배 신중도 대청 광서 16년 경인 십월일(1890년) 삼각산 흥천사 삼층석탑 기단갑석 사진 향우측 부재는 하층기단 갑석입니다. 즉, 단층기단으로 복원되었지만 본래는 이층 기단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탑신부 대학시절 동아리 지도 법사 재원스님과 사형간이라고 하셨던 대관 스님께 인사를 여쭙지 못하고 왔습니다. 정신줄을 어디다 놓고 다니는지. 2023.05.21

의성...치선리 삼층석탑

2009년. 2018년에 이어 세 번째 만남입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6071 선암사 극락전 맞은편 길을 다라 잠시 발품을 팔면 만납니다. 위 옛글로 대신합니다. 하층기단 갑석(지대석) 상층기단 갑석 탑신석 셋 옥개석 셋 상륜부는 하층 기단 중석 부재로 추정됩니다. 초층탑신석의 사방불 동. 약사. 서. 아미타 남. 석가 북. 미륵이 일반적이지만 치선동에는 비로자나불이 분명 자리하고 계시니 설왕설래! 지권인 수인의 비로자나불로만 알았는데... 조명을 비추니 두광도 보이고 손에 연꽃을 든 미륵불 낌도 들고... 상처투성이의 작은 석탑 답사꾼에게는 많은 이야깃거리를 제공해 주는 석탑입니다. 2023.05.20

의성...관덕동 삼층석탑. 석조보살좌상

관덕동 배례석, 삼층석탑, 석조보살좌상 옛글로 대신합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4354 삼층석탑 석조보살좌상 옛글에도 보관을 착용한 보살상으로 추정된다는 하였지만... 귀를 감싸고 흘러내린 보발은 오늘 처음 확인하였습니다. 동호회 달넘새님을 통해서. 그렇다면 육계가 아니라 보계입니다 보관은 망실되었고. 완천 달넘새 님 글 https://cafe.daum.net/moonhawje/DjXU/16074 전각의 석조보살좌상 동행인의 탁월한 시선으로 귀와 눈이 즐거웠습니다.. 그래서 또 기다려지고... 2023.05.20

의성...봉두산 옥련사

2009년 옥련사 비구니 스님과 나눈 대화가 아련히 떠오릅니다. 미륵불이 모셔진 고불전 현판 이야기도 나누고.. https://12977705.tistory.com/8722780 2018년 스님도 뵙지 못하고 https://12977705.tistory.com/8726077 2023년 동호회 답사 비구 스님이 계십니다 사진 몇 장으로 대신합니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미륵불 가슴에 卍자가 보이시나요? 대좌 중대석 결실? 본래 없었는지. 나에게 전각에 걸 현판 이름을 묻던 스님은 어디에 계실까? 15년 전.... 2023. 05.20

의성...중률리 석조약사여래좌상, 삼층석탑

마을숲 예전 답사에서 만났던 주민은 약사여래좌상이 모셔진 공간을 절마당이라고 불렀습니다. 절마당에 앞에 조성된 동수입니다. 당산숲이기도 하겠지요 금줄이 걸쳐 있는 신성공간이었고요. 2009년 글입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2864 석조약사여래좌상 대좌 하대석일까요? 뒤집힌 상대석일까요? 두툼한 입술 옛글에 언급한 울할아버지의 표현을 되새겨 봅니다. "우리 할배는 입술 두터운 사람을 퍽 좋아했다. 아랫입술이 두꺼우면 속정이 깊고, 윗 입술이 두터우면 겉정이 깊다고 늘 말씀하셨다. 중율리 불상은 우리 할아버지가 좋아했던 사람의 표준 모델처럼 보인다." 예전에 놓쳤던 매듭 약함 항마좌입니다 석탑부재 2기의 조합인지.? 삼층석탑이었다면 맨 아래부재는 하층기단 갑석 안상에 새..

의성...용요산 지장사

20230520~20230521 의성 동호회 답사 사진 몇 장 올립니다. 옛글 https://12977705.tistory.com/8726033 경내에 숙종이 쓴 지장사 현판이 있습니다. 1715년 어각과 하마비를 세웠으나 현재는 하마비만 남아 있습니다. 사찰 하마비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72 극락전 목조아미타삼존. 1640년 아미타회상도. 1894년 비로전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고려 응진전 목조 나한인 줄 알았는데 소조나한이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중앙에 범천, 제석천도 함께 봉안되어 있었는데 지금은 제자리를 찾았습니다. 좌측 두 번째 사자옆이 제석천입니다. 반대편 우측에는 범천을 모셨습니다. 스님꼐서 나한상에서 조선전기(1521년?)에 조성한 복장 유물이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