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순천시 43

순천...순천만 국가정원

초교 동기들과 여수를 경유하여 순천만 국가정원을 다녀온 사진 몇 장 올립니다. 2024.10.03이순신대교여수시 묘도와 광양시 금호동 사이의 바다 위에 건설된 대교로 왜적과 7년 전투를 이끈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해전인 노량해전이 시작된 장소이다. 이순신대교는 여수로 오는 주요 교통의 요지로 대전-통영 간 고속도로를 이용해 오는 관광객과 경북, 경남 등지에서 여수까지 오는데 20분 정도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순신대교의 전망대는 거북선을 형상화하여 새롭게 나아가는 충무공 이순신의 정신을 건물에 반영하였으며, 이순신대교 조망권을 위한 전망대를 실내형으로 건축하였고, 이순신대교를 여수에서 조망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며, 야간에는 이순신대교의 아름다운 야경을 즐길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다음 백과사전)..

순천...장흥 금장사지 석탑재

송광사 성보박물관 사육일 님으로부터 듣고 이른 아침 도착하여 석탑부재를 비롯 석조물을 확인하였습니다. 금장사지 金藏寺址 금장사는 1311년에 李 이 작성한 「龍頭山金藏寺金堂主 彌勒三尊改金記」에 창건 및 중건 연혁이 전한다. 이에 따르면 금장사는 992년(고려 성종 11) 2월 玄坦스님이 창건하였으며, 금당에는 미륵삼존불이 있었다고 전한다. 그러 나 고려후기 천태종계 중심인물인 丁午禪師가 세월이 오래되어 낡은 사찰을 보수하기 위해 발원하고 떠났다고 한다. 이후 1307년(충렬왕 복위 9) 정오선사는 王師로 책봉 되어 금장사를 下山所로 정해 받았으며, 하산한 뒤 금장 사에서 개금불사를 계획하였다고 한다. 1308년 충선왕이 즉위하면서 정오선사가 다시 왕사로 복귀하게 되자 제자인 宏之禪師로 하여금 개금불사를 ..

순천...순천대 박물관. 선암사 특별전

조계산 선암사 성보 개산이래 처음 산문을 나왔습니다. 늘 닫혀 있던 성보박물관 성보를 기대하고 다녀왔습니다. 석가모니불 괘불탱. 보물. 1753년 순치14년명 범종. 보물. 1657년 보성 대원사 부도암에서 조성 천수통(千手桶). 고려후기 발우 공양 후 씻은 물을 거두는 통 청동 바라(哱囉). 1931년 이후 청동 나발(喇叭). 조선후기 관욕기(灌浴器) 강희 19년(1680년) 청동 경자(磬子). 조선 후기 청동 금강령. 주선 후기 법라 처음 접하는 법구입니다 운수난야 지장시왕도. 조선 1796년. 쾌윤. 의학. 찰민. 경수. 후옥. 희원 이 참여하였습니다. 33조사도. 1753년 석가. 가섭. 아난 건륭2년명 범종. 1737년 가경8년명 범종. 1803년 불조전 아미타여래좌상. 조선 후기 상정 작품으로..

순천...송광사 남여혁파 각자. 하마비

칙령 勅令 남여혁파 藍輿革罷 기해 강석호 己亥 姜錫鎬 勅令 藍輿革罷 己亥 姜錫鎬 1899년 고종황제 칙령으로 송광사 승려들에게 부과된 남여를 드는 의무를 폐지한다는 의미입니다 강석호는 고종의 측근이며 상선(尙膳)이었습니다. 송광사 성보박물관에 소장중인 남여혁파연기서(藍輿革罷緣起序) 현판에 의하면 고종황제의 명으로 해인사 팔판대장경을 인쇄하여 삼보사찰에는 각 1부 보낸 것을 계기로 부역을 폐지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해인사에도 남여혁파 각지가 있으며 하교(下敎) 명문으로 인해 송광사 보다 먼저 새긴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해인사 각자는 월간 해인과 국립공단 관련 자료에는 남여필파로 해석하여 가마에서 내리라는 뜻으로 기록하였습니다. 해인사 남여혁파 https://12977705.tistory.com/8..

순천...낙안읍성 평석교

평석교 낙안읍성 동문인 낙풍루(樂豊樓) 앞 해자(垓字)에 설치된 평석교(平石橋)입니다. 일반적으로 남문이 정문이지만 낙안읍성은 동문인 낙풍루가 정문입니다. 그런 연유로 석구 3마리가 지키고 있습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6314 교각 상판 답교(踏橋) 놀이 음력 정월 대보름 날 한 해 동안의 액운을 방지하고, 무병하기를 기원하며 나이 만큼 다리를 건넜다고 합니다 옛다리와 석교비석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33 명맥이 끊긴 답교 놀이 그 시절을 기억할 석구 짧은 봄날처럼 빠르게 잊혀가는 우리 문화가 애달프기만 합니다. 2023.03.04

순천...낙안객사, 동헌

낙안객사 홍살문 삼문(정) 삼문(후) 낙안 객사 객사 설명은 생략합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궁실조에 따르면 1450년(세종 32) 군수 이인(李茵)이 건립하였다고 하나, 1547년(명종 2) 부사 오성(吳誠)이 건립하였다고 전하기도 하여 확실한 창건 시기는 불분명하다. 『승주문헌집(昇州文獻集)』에 있는 낙안객사의 상량문에 따르면, 1631년(인조 9)에 군수 정원필(鄭元弼), 1859년(철종 10)에는 이명칠(李明七)에 의해 중건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1909년 이후 낙안초등학교 교실로 사용되어 내외부가 많이 변조된 것을 1983년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른다. 이 밖에 『중간승평지(重刊昇平誌)』(1729년)와 『낙안읍지(樂安邑誌)』(1901년)에는 낙안읍성과 함께 가장 중심적인 위치에 배치된 객..

순천...임경업장군 선정비

낙안읍성 이른 아침 발걸음도 조심스러웠습니다. 임경업 장군 비각. 선정비 1626년 낙안군수로 부임한 임경업 장군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1628년 세웠습니다. 1748년 비각을 세운 후 1893년, 1952년에 보수한 기록이 있습니다. 임경업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47365 전군수 임장군 경업비각 영건표적비 황명기원후재무진4월 일 건(?) 군수임공경업선정비(郡守林公慶業善政碑) 귀부, 이수, 비머리를 갖추었습니다. 귀부 작은 귀, 큰 눈, 코는 마모되었고, 귀갑문이 없습니다. 郡守林公慶業善政碑 崇禎元年四月. 1628년 4월 재임기간(1626년 4월~1628년 3월) 즉, 이임 후 세운 선정비입니다. 임경업 장군은 낙안에서는 신으로 추앙받고 있습니..

순천...낙안읍성 석구

오랜만에 낙안읍성을 찾았습니다. 근처에서 숙박 후 아침 이른 시간에 운동 겸 답사를 하였습니다. 동문인 樂豊樓 앞 평석교 석구(石狗) 3마리 석구가 출입객을 검문하고 있습니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 한 마리는 보봉산이 험준하고 산세가 강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고자 세웠으며, 또 한 마리는 제석산과 거선봉의 사나운 기운을 , 북쪽 한 마리는 금전산, 조산, 무산, 고동산의 위세를 누르기 위한 비보책으로 조성하였다고 합니다. 구전에 의하면, 정유재란 당시 지금의 오봉산 아래서 많은 왜군이 죽어 갔다고 하는데, 그 원귀가 낙안읍성을 넘보지 못하게 하기 위해 동문 입구에 세웠다고 합니다. 그런데 왜 많은 동물 가운데개를 비보책으로 조성하였는지? 2023.03.04

순천...송광사 성보박물관

아침 일찍 산문을 통과하여 박물관 개관 전에 여기저기 순례하였습니다 조계산 송광사(2017년) https://blog.daum.net/12977705/8725337 하마비 본래 위치 맞나요? 광서 13년 정해 월 일...서 光緖十三年丁亥月日…書 1887년 명문은 오늘 첨 보았습니다. 왼쪽 명문은 고의적으로 훼손되었습니다 고향수(古香樹) 洗月閣(세월각), 滌珠閣(척주각) 삼청교(三淸橋). 우화각(羽化閣) 송광사 편액 해강 김규진 글. 죽농 안순환 그림. 석조 한명화상(漢明和상) 우리나라의 사찰 석조 등에 새겨진 명문 https://blog.daum.net/12977705/8727113 대웅보전 구시 (前)昭和四年四月日. 1929년 (後)施主 朴春庭 보조국사 부도 암자와 16국사 부도 https://blog..

순천...송광사 승탑원(16 국사 부도, 부도암 부도, 탑전 부도)

보조국사 감로탑 16국사 부도 https://blog.daum.net/12977705/8725338?category=5193 순천...송광사 16국사 부도.폐사지 1대 보조국사 감로탑 보조국사지눌普照國師 知訥 (1158~1210) 성은 정씨(鄭氏). 호는 목우자(牧牛子). 아버지는 국학(國學)의 학정(學正)을 지낸 광우(光遇)이고, 어머니는 조씨(趙氏)이다. 8세 때 선 blog.daum.net 승탑원(부도암) 승탑원(부도암) https://blog.daum.net/12977705/8727809?category=5193 순천...송광사 부도암 승탑원 부도암 승탑원 승탑원은 방형 담을 쌓고 5단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맨위에는 보조국사비와 송광사사적비와 부휴대사탑이 건립되어 있으며, 하단으로 내려오면서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