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393

안성...서운산 청룡사

칠장사올봄에도 은적암지 승탑 한 기를 답사하며 스쳐지나왔지만, 마지막 답사는 마지막 답사는 2018년이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59612018년 보수 공사 중이었는데 불사가 완료된 대웅전과 중정고풍스러운 맛은 사라지고 낯설고 따뜻한 느낌도 없었습니다.소조석가여래삼존 만력 31년(1603). 금어 광원(廣圓) 외대웅전 후불도를 비롯 대부분 불화는 모사본이며, 원본은 유물전시관(?)에 보관 중입니다.유물전시관은 관람을 요청하였으나 개방하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동종1674년에 제적된 사인 비구 작품입니다.복제? 사인 비구 제작 동종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37명부전목조지장보살 외. 조선 후기불화는 모사본삼층석탑하층기단 갑석 이..

경기도/안성시 2024.08.03

안성...석남사 오층석탑

오늘은 마애여래입상을 찾아왔지만, 보수공사 중이어서 사진에 담지 못했습니다.오류가 있지만 옛글(2009년)로 대신하며 오층석탑 2기 사진만 올립니다. 석남사(2009년)https://12977705.tistory.com/8722820 석남사 승탑원(2018년)https://12977705.tistory.com/8725962오층석탑예전 글에는 단층기단이라고 기록했으나 동탑은 하층기단 갑석 이하가 매몰된 2층 기단으로 추정되며, 서탑은 기단갑석이 망실된 단층 기단 같습니다. 두 석탑은 고려말~조선초에 조성된 석탑으로 전하며 본래자리 여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동오층석탑하층기단 갑석 이하 매몰기단중석과 부연이 생략된 갑석은 본래 부재가 맞는지.탑신부몸돌과 옥개석 하나가 결실된 상태이며 비례로 보면 3층석탑과 옥..

경기도/안성시 2024.08.03

안성...약사사 석조약사여래좌상. 석조보살좌상

약사사안성시 서운면 동양촌길 172다른 절집 대웅전과 다르게 독특한 전각입니다.스님도 계시지 않았고, 다른 자료를 검색해도 사적을 찾을 수 없었으나, 2005년 발간된 '안성시 문화유적분포지도'에 간략히 소개되어 있습니다."창건시기. 근대. 예전부터 있었던 절터에 세웠으며, 요사 주변에 기와 편이 산재해 있다. 가람으로는 법당. 산신각. 용왕전. 요사 등이 있다. 현재 법당에 불상이 모셔져 있는데 중창 때 주변에서 발굴되었다고 한다. 호분을 두텁게 칠을 해놓아 원래의 모습을 알기가 어려운 상태이다."대웅보전 불단약사.석가.아미타석조약사여래좌상문화유적분포지도에 기술된 내용처럼 호분을 두텁게 입혔습니다.소발. 육계가 높습니다.원만 상호, 삼도는 불분명하며, 우견편단, 왼손에 정병을 들고 있습니다.길상좌, 무..

경기도/안성시 2024.08.01

안성...동천리 석불입상(미륵)

2009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서원면 동촌리 마을회관 앞 넓은 포도 비닐하우스 안에 계십니다.여기저기 하우스 실내를 기웃거리는 저에게 순을 치던 아주머니가 반가운 목소리로 안으로 들어와서 보고 가라고 합니다.2009년 글"유란자방님은 동선에도 없었던 동천동 미륵으로 안내했다. 넓은 들판 비닐하우스 가운데에 서 있었다. 안성 지방 다른 미륵처럼 한 쌍으로 모셨다. 본래에는 지금보다 높은 기단 위에 조성된 듯했다. 작은 미륵은 머리가 멸실되었고 피곤한 듯 어깨를 숫미륵에게 기대고 있다. 미륵이지만 장승처럼 마을을 수호하는 비보책으로 조성한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다. 마음씨 고운 유란자방님은 하루종일 땀 흘리는 '일하는 미륵'으로 부른다고 하였다. 모를 찌고 심고 김을 매고 거름을 뿌리고 그런 미륵이라고 했다..

경기도/안성시 2024.07.31

안성...용화사 석불입상

용화사.미양면 법전길 260-3115년 만에 다시 찾은 까닭에 전혀 기억에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축대가 있었는지?석조여래입상절집 환경은 기억하지 못해도 석불은 여전하십니다.2009년 사진 예전에는 불단 때문에 하복부 이하는 볼 수 없으며 숫미륵이 우측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09년 글(서울 사는 노을누리랑 함께 동행했는데 이후 연락은 되지만 한 번도 만나지 못했다.) "용화사 초입. 넷상에서만 알고지냈던 예쁘고 목소리 고운 유란자방님이 기다리고 계셨다. 만남의 즐거움은 물론 덤으로 선물하신 귀중한 자료도 평생 잊지 못할 것 같다. "용화사(龍華寺)는 지소현 스님이 불교 포교를 위해 고향으로 내려오던 중에 용이 하늘로 오르며 자신이 솟아난 땅을 내려다보는 꿈을 꾼 후 그곳에 사찰을 건립하였다." 유란자방..

경기도/안성시 2024.07.30

안성...유명건 묘갈

유명건 묘갈. 경기도 문화재 자료고삼면 삼은리 산 2-1 고삼저수지에 인접해 있습니다.묘 답산은 관심 분야가 아니지만 특이한 비머리를 찾아왔습니다. 유명건 묘갈유명건의 조카 유척기가 영의정으로 재직 때인 1758년에 세웠다고합니다.(문화재청 자료. 묘갈은 1758년에 건립했으나 개석이 비신과 크기가 맞지 않는다. 개석의 양식은 1720년대로 추정된다.)영조 때 유학자 도암 이재 (李縡:1680~1746 )가 찬하고, 장인 곡운 김수증( 金壽增:1624~1701) 글을 집자하였으며, 제액은 유척기(兪拓基:1691~1767)의 글씨입니다. 유명건1664년(현종 5)∼1724년(경종 4). 조선 중기 문신‧유학자. 자는 중강(仲强)이다. 본관은 기계(杞溪)이다.예조판서(禮曹判書) 유여림(兪汝霖)의 후손으로,..

경기도/안성시 2024.07.29

안성...칠현산 칠장사

2011년 이후 첫 순례입니다.옛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443철당간. 고려유형문화재철당간은 청주 용두사지. 계룡산 갑사에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당간, 당간지주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31칠장사 사적비. 1671년소조사천왕상. 유형문화재1726년(사천왕문 건립 년) 추정 동방 지국천. 남방 증장천서방광목천. 북방 다문천대웅전. 보물 1790년(정조 14년) 중창. 1828년(순조 28년) 이건목조석가삼존불. 1685년康熙二十四年乙丑六月日造成 혜희(慧熙) 스님의 계보인 마일(摩日)과 천기(天機) 스님을 비롯한 모두 8명의 조각승의 작품불단 측면불단 측면불단 정면목조석가여래목조미륵보살목조제화갈라보살영산회상도 金谷永煥..

경기도/안성시 2024.07.29

안성...칠장사 삼층석탑. 칠장사 석탑

칠장사삼층석탑을 기술한 글은 2011년이 마지막입니다삼층석탑죽산면 여기저기에 널려 있는 몇 개의 부재를 모아서 일죽면 죽림리 460번지 성원목장에 복원했던 석탑으로 전합니다.기단부하층기단 갑석이하는 매몰되었습니다4매석인 갑석에는 약간의 물매가 있고 호각 상층기단 중석 굄이 조출되었습니다.상층기단 중석은 감입식 결구, 갑석 하부에는 부연 생략, 상부에는 각호 2단 탑신 받침을 새겼습니다탑신부노반석 이상을 제외하면 온건히 복원되었습니다.초층 탑신석 2매석, 초층탑신석 이상의 급격한 체감, 우주 모각옥개석 낙수면 물매가 급하고, 전층 4단 각형 층급받침, 상부 1단 탑신 굄 조출상륜부, 노반석 이상 망실초층 탑신석2매 부재 조합입니다. 이러한 탑신석을 가진 석탑은 여러 사찰에서 확인됩니다.https://caf..

경기도/안성시 2024.07.28

안성...장원리 석탑

장원리석탑안성시정 문화유산으로 지정명칭은 일죽 죽림리 삼층석탑입니다. 2011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34412층 기단, 옥개석 3, 탑신석 4기즉 삼층이상의 석탑이었을 것입니다.탑구하층 기단 저석 겸 지대석이 하층기단 중석, 갑석과 일석입니다(옛글에는 단층기단으로 표기했지만 오류입니다)상층기단면석에는 우주 모각,  중석 일부와 갑석은 후보하였습니다. 탑신부본래 부재 여부도 불분명합니다.탑신석에는 우주모각, 옥개석 전층 4단 층급받침3층 옥개석과 4층 탑신석은 일석입니다.2~3층 탑신석, 옥개석옥개석 낙수면 물매가 급하며, 탑신굄은 생략되었습니다.두 기 이상 석탑 부재로 추정되며, 최소 오층 이상의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탑으로 추정합니다. 참고로 장원리에는 다른 석탑부..

경기도/안성시 2024.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