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243

서울...청룡사 가사도.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대웅전 불단 아래는 대웅전 불화입니다빛에 반사되어 불화 몇 점은 국가유산청 사진을 가져왔습니다..지장시왕도. 유형문화유산"1868년 정기비구니(正基比丘尼)의 발원으로 현왕도, 칠성도 등과 함께 조성되어 극락전에 봉안되었다고 전해지는 것으로, 금어 응륜(金魚 應嗧)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 작품은 화면의 중앙, 커다란 반원형의 광배 안에 지장보살과 무독귀왕, 도명존자 등 지장보살삼존을 배치하고 그 좌우로 시왕, 그리고 지장삼존의 아래쪽에 사자, 판관 등을 배치한 특이한 구도를 보여준다. 또한 1867년에 경선이 조성한 서울 보문사 지장시왕도와 동일한 초본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광배의 내부를 금색으로 칠한 점을 비롯하여 인물의 상호에 보이는 적극적인 음영법 등 19세기 말~20세기 전반에 서울・경기 지역..

서울...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대웅전 불단개운사는 2014년 인연을 지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499목조아미타여래좌상고려후기에 조성된 여래상으로 국가지정 보물입니다. 첫 인연 이래 2023년 불교중앙박물관 전시에서도 뵈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157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선후기한국의 사찰문화재에는 조선후기 아미타여래좌상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왜 약사여래불?신중도. 서울시 유형문화유산. 1870년사진과 친하지도 않지만 유리관 속에  들어 있어 사진 찍기가 아주 힘듭니다.문화유산청 사진화기에 조성연대는 없지만 양식적 특징과 조성화원으로 미루어 볼 때 함께 봉안되어 있는 지장시왕도(1870년)와 동시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천부중과 천룡팔부를 한 폭에..

서울...보타사 마애보살좌상.금동보살좌상

보타사 마애보살좌상.고려말~조선전기에 조성된 마애보살상으로 전합니다. 오류도 있지만 2014년 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5002014년에는 대웅전 뒤편에 있었으나, 지금은 대웅전을 옮겼습니다.대웅전을 이건하여 우리 곁으로 나투시어 돌계단까지 드러났습니다.(동호회 세종아빠 님 사진) 우리나라 통돌 계단https://cafe.daum.net/moonhawje/MebK/105신중탱 대신에 모셔진 마애신중패 (중앙) 나무금강회상 불보살(우측) 도리회상성현중(좌측) 옹호회상영기등중보타사 마애보살좌상은 서울 옥천사 마애보살좌상과 유사성이 많으며, 거의 동시대 작품으로 이야기되고 있습니다.보도각(옥천사) 마애보살좌상(2024년)https://12977705.tisto..

서울...고려대학교 오층석탑

경기도 남양주 와부면 원당초교에서 1986년 옮겨온 고려시대에 조성된 오층석탑입니다.이층기단의 오층석탑지대석, 상륜부는 망실되었고 옥개석, 탑신석도 훼손이 심합니다.안내문 오류를 찾아보세요.기단부하층기단저석, 중석이 일석이며, 중석 각 면에는 2기 안상이 있고,. 약간의 물매가 있는 갑석 상면에는 2단 받침을 조출하였습니다상층기단중석에는 후보 한 부재가 보이고, 평박한 갑석 하면에는 부연이 생략되었고, 상면에는 2단 받침을 조출하였습니다.탑신부탑신석에는 희미하지만 우주 흔적이 있으며 2층 탑신석은 후보 하였습니다.훼손이 심한 옥개석 상면에는 낮은 1단 각형 받침이 있으며, 절수구가 있고 층급받침은 미처 확인하지 못했습니다.낙수면 물매는 급하지 않고 전각의 반전도 완만합니다.2014년 답사기를 다시 한번 ..

서울...고려대학교 삼층석탑

삼층석탑고려시대에 조성된 이층기단의 삼층석탑으로, 지대석과 상륜부는 망실되었습니다.아쉽게도 원래 위치를 표기하지 않았습니다.하층기단저석,중석,갑석이 한 돌이며, 약간의 물매가 있는 갑석 상면에는 각형 2단 중석 괴임 조출상층기단중석에는 우주 모각, 갑석 하면의 부연이 상면에는 2단 각석 괴임이 있습니다.탑신부전층 탑신석에는 우주 모각, 초층탑신석은 후보 느낌입니다.옥개석낙수면 물매가 급하고, 전각 반전이 있으며, 내림마루가 돌출되었습니다.(개인적으로 이런 유형의 석탑을 백제계열 석탑 특징으로 분류합니다). 전각에는 풍탁공이 남아 있습니다. 옥개석 내림마루가 돌출된 석탑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40상면에는 2단 각형 받침이 있으며, 위 받침이 높습니다.상륜부는 망..

서울..고려대학교 모사리 삼층석탑

2025년 1월 동호회 첫 정기답사개인적으로는 두서너번 답사했던 고려대학교 야외박물관을 찾았습니다. 평일에는 박물관 옥상도 둘러보기를 권합니다.모사리 삼층석탑2층기단의 삼층석탑으로 고려 중기 이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석탑은 1962년 충남 예산군 덕산면 모사리에서 옮겨온 탑이라고 합니다. 아쉽게도 모사리사지에 대한 자료는 문화재청에서 발간한 한국의 사지, 사지총람 어디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2014년 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498안내문의 오류(?)이겠지요?기단부국내 유일의 암괴형 통돌 하층기단으로 각 면에는 안상이 있으며 그 속에 화문을 장식하였습니다. 상면에는 2단 상층기단 중석 받침을 조출하였습니다.상층기단중석은 1 매석으로 탱주 ..

서울...국립중앙박물관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

동서삼층석탑. 국보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오봉리금오산 서쪽 기슭의 갈항사터에 동서로 세워져 있던 탑으로, 1916년 경복궁으로 반출되었다가 다시 이곳으로 이건 되었습니다.. 갈항사지 여러 번 순례하였으며 가장 최근에는 2024년 11월 동호회원들과 답사하였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613 김천...갈항사지 석조여래좌상앞선 서너 차례 답사는 혼자이었는데오늘은 동호회 30명이 넘는 회원들과 함께 했습니다.갈항사지는 익히 아실 테고, 사진 몇 장으로 대신합니다.석조여래좌상. 보물등에는 광배홈이 있습니다12977705.tistory.com 갈항사지(출처. 국립중앙박물관)갈항사지 동탑2층 기단, 삼층석탑, 758년에 조성했다는 석탑기가 발견되어 편년 연구에 귀중한 석탑입니다..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

보제존자 사리탑. 보물원주 영천사에 조성했던 보제존자 사리탑으로 1388년(우왕 14)에 조성하였으며, 1915년 경복궁으로 반출 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건 하였습니다. 탑을 옮길 당시에 각 각의 탑에서 사리 장치가 발견되었는데, 그 중 한 탑에서 지석(誌石)이 발견되어  탑을 세우게 된 과정을 알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보제존자 사리탑은 입적한 여주 신륵사와 양주 회암사지, 문경 묘적암에도 남아 있습니다.여주 신륵사(1)https://12977705.tistory.com/8728088여주 신륵사(2)https://12977705.tistory.com/8728089양주 회암사지(1)https://12977705.tistory.com/8723323양주 회암사지(2)https://12977705.tist..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안흥사 오층석탑

안흥사 오층석탑安興寺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경기도 이천 갈산동과 안흥동 경계지역에 위치하였다고 전합니다. 신동국여지승람에는 이천도호부 동서 쪽 4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1757년 여지도서와 1799년 편찬된 범우고에는 이미 폐사되었다고 실려 있습니다.경복궁(출처. 국립중앙박물관)오층석탑은 1916년 경복궁으로 반출되었으며, 2005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겼습니다.이층 기단의 오 층 석탑으로 대부분 부재가 남아 있으며, 나말여초에 조성된 석탑으로 전합니다.지대석하층기단 저석처럼 느껴집니다.하층기단면석 갑석이 1석으로, 면석에는 탱주 1주, 우주 모각, 4 매석으로 결구된 갑석은 평박하며 1 단 각형 중석받침을 조출하였습니다. 상층기단중석은 감입식 결구, 탱주 1주, 우주 모각, 우주에 면석인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