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옥천군 34

옥천...용암사 죽량당 마애부도

오늘이 세 번째 순례입니다. 2019년에 다녀온 글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6264목각후불탱목조아미타여래좌상대웅전에 주불로 봉안된 불상입니다. 복장(腹藏)에서 1651년(효종 2)경상도 문경 오정사에서 제작된 다라니경이 발견되었으나, 불상은 그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합니다.마애여래입상마의태자상으로 회자되는 불상입니다. 우리 민속신앙에서는한을 품고 죽은 인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모신 사례가 도처에 있습니다. 마의태자, 최영 장군, 단종대왕, 신립 장군, 임경업 장군... 이제는햇볕에 드러난 정사 보다 달빛에 물든 야사가 더 좋아지는 연배가 되었습니다.추억 반추가 잦은 것도 그러하고.바위군마애여래입상에서 동서삼층석탑으로 향하는 길지금은 데크가 설치되어 있어, 예전과 다..

옥천...금암리 삼층석탑

12년 만의 재회 천지개벽 느낌이었습니다. 가시덤불, 좁은 공간이었는데 진입로도 정비되고 말끔하게 주변 정리가 되었습니다 2011년 2월 2011년 2월 금암리 삼층석탑(2011년)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1627 주변 정리에 약간은 흥분되어 내내 웃음을 감출 수가 없었습니다 하층 기단 중석 (하층 기단 갑석 결실) 상층기단 중석. 갑석 1,2층 탑신석 옥개석 (3층 탑신석 망실) 3층 옥개석과 노반 상륜은 탑 부재가 아닙니다 하층 기단 갑석 부재 약간의 물매가 있고 1단 굄이 있습니다 하층기단 중석의 안상 정면 3개 예전에는 매몰되어 눈에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측면 2개 현장에서는 주목하지 못했는데 사진상으로는 하층기단 중석과 지대석이 일석 같으며, 물매가 보입..

옥천...선사공원

옥천군 옥천읍 지용로 340 고인돌. 입석. 솟대 등 선사시대 유물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여유가 있다면 주변 대청호를 둘러보면 더욱 알찬 답사가 될 것입니다. 아쉽게도 모조품이 많아 몇몇 점만 사진에 담아왔습니다. 청마리 탑신제당(2007년) 선사공원에는 모조품이 있었습니다. 청마리 솟대(2007년) 청마리 장승(2007년) 청마리 탑신제당.솟대(2007년)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535 석탄리 지석묘 석탄리 지석묘(2007년) 석탄리 선돌(2007년) 선사공원에는 모조품이 있었습니다. 옥천 동이면 선돌. 지석묘(2007년)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534 옥천읍 수북리 동정 선돌 줄무늬 의미는 무엇인지? 남곡리 선돌 ..

옥천...죽향리 사지. 삼층석탑. 석사자

죽향리 사지 2018년 발간된 문화재청, 한국의 사지를 검색 중에 흥미로운 사진을 접했습니다. "죽향리사지는 현 옥천군청 북동쪽 900m 지점에 있는 죽향초등학교 뒤쪽에 있다. 이곳은 현재 죽향초등학교로 이동된 죽향리 삼층석탑(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1호) 원 위치로 알려져 있으나, 지금은 민가와 도로, 학교 등이 건 설되어 유구와 유물 등 사지 흔적을 찾을 수 없다. 그러나 『문화유적분포지도』에는 이곳 지명이 ‘탑산이골’이라 하고, 현재 죽향리 239-3번지 바로 옆 도로변에 옥개석 과 기단석이 남아있어 이 일원이 사지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석조물들은 기존에 ‘옥천 죽향리 장승’으로 보고되 었고, 마을에서 장승으로 인식하여 매년 정월 14일에 고 사를 지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형태 및 인근 사지와 ..

옥천...죽향 초교.황국신민서사비

지용 생가 2,007년 글이 있습니다. http://cafe.daum.net/moonhawje/DjZP/528?q=%EC%98%A5%EC%B2%9C...%EC%A0%95%EC%A7%80%EC%9A%A9%20%EC%83%9D%EA%B0%80 오늘은 지용생가와 문학관 사이의 다리 상판으로 사용 중인 일제 강점기의 죽향 초교 교정에 있었던 황국신민서사비를 찾아왔습니다. 황국신민서사비 뒤집힌 상태로 다리 상판으로 사용 중입니다. 대구. 현풍초교 교정의 황국신민서사비에는 글씨가 남아 있습니다. http://blog.daum.net/12977705/8726663?category=5257

옥천...청석교

옥천 향토전시관 옥천군 안내면 장계 국민관광단지에 위치 청석교(靑石橋) 향토자료전시관 앞에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본래는 군북면 증약리 찰방역 부근에 가설되어있었으나, 경부선 철도 부설로 증약 마을로 이설 했다고 합니다. 그 후 수해로 인하여 2,001년 현재 위치로 이건 했으며, 통일신라 문무왕 때 건립된 교각이라는 설도 있다고 합니다. 표지석 청석교 푸른 빛갈의 암질 때문에 유래한 다리 이름으로 생각됩니다. "다리의 구조는 하천 바닥에 넓적한 판석을 깔고 그 위에 4각 돌기둥을 2개 세워 교각을 만들고 1자 정도의 치석(治石)한 4각돌 귀틀을 걸쳐 댄 위에 9∼10자씩 되는 넓고 긴 판석을 다리 상판으로 걸쳐 대었다."라고 다음 백과사전에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교각 본래는 3~4개 정도로 추정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