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예산군 49

예산...구련사(선원) 석조여래좌상

구련사(九蓮寺). 신양면 차동고개로 60-107금년 봄에 주소를 잘못 알아 네비가 엉뚱한 장소로 안내하여 순례하지 못했었습니다.디지털예산문화대전에는 일제강점기에 창건한 사찰로 소개하고 있습니다.https://www.grandculture.net/yesan/dir/GC06601024대웅전 불단아미타. 지장. 관음을 모셨으며, 내가 답사하기 위해  찾았던 석조여래 2 분, 석조 지장, 소조 보살은 사이사이에 모셨습니다. 국가문화유산청에서 발간한 한국의 사찰문화재에는 조선후기에 조성한 상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석조여래좌상. 조선 후기대좌와 불신이 일석나발, 육계는 미미, 장방형의 긴 상호, 얼굴과 불신의 비례가 맞지 않습니다.변형 우견편단, 수평 승각기, 군의 매듭(?), 상현좌(?), 깍지를 낀 듯 맞잡고 ..

예산...대술면 행정복지센터 석탑 부재

대술면 행정복지센터 정원석탑 기단중석 1매, 옥개석 2매, 기단 갑석 1매, 탑신석 1매가 있습니다.기단 중석우주, 탱주가 있으며, 우주보다 크게 모각된 탱주를 기준으로 한쪽에 신장(?)상을 새겼습니다.이런 유형은 처음 접한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인제 갑둔리 삼층석탑 기단 중석의 한쪽 면은 안상을 새기지 않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485 강릉 관음리사지 석불 대좌로 추정되는 부재에도 한쪽면을 비워 둔 사례가 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437다른 쪽 우주를 함께 모각했습니다.신장상신장상은 대좌 위에 서서  오른손으로 창(?)을 잡고 있으며 두광이 있습니다.본래부터 각 면에 한 구만 조성하여 신장 4분만 새길 목적이었는지 아..

예산...대흥 동헌. 대흥척화비. 태함,아기태비

대흥 동헌대술면 행정복지센터 석탑 부재를 찾아가는 길, 착각하여 대흥면 행정복지센터로 왔습니다. 기왕 들린 길. 대흥 동헌 뒷편에 있는 몇몇 옛님과 오랜만에 다시 해후했습니다동헌 뒷마당태함,태비. 척화비2010년에는 태함, 태비가 담장에 붙어 있었습니다.대흥 척화비양이침범 비전즉화 주화매국 세세만년자손 병인작신미립(洋夷侵犯非戰卽和主和賣國歲歲萬年子孫 丙寅作辛未立) 척화비(글)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55우리나라 척화비(사진)https://cafe.daum.net/moonhawje/MebK/57태비. 전면건륭십팔년삼월 초이월술시생아지씨태실(乾隆十八年三月初二月戊時生翁主阿只氏胎室)비석의 주인이 1753년 3월 2일 출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일제강점기에 서삼릉으로 옮..

예산...삽교 석조보살입상

세심천 온천에 주차 후 10여 분 산길을 걷습니다.보살상 측면 예전에 없었던 나무 계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2010년 글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161방형 보관, 육각 보개, 백호공, 살찐 상호, 반개한 눈, 크지 않은 코, 다소 두툼한 입, 귀는 길어 어깨에 닿았습니다.목 부분에 접합한 흔적이 보입니다.육각 보개 모서리에는 홈이 있으며, 보관 뒤쪽 구름 모양의 장식용 매듭이 눈에 들어옵니다.보발을 동그랗게 묶어 마치 요즈음 스튜어디스의 머리 뒷모습을 보는 것 같습니다.2개 화강암을 이어 새겼습니다.상호에 비해 어깨가 좁고, 통견의 대의, U자형 옷주름이 무릎까지 내려왔으며, 군의는  불단에 가린 발목까지 흘러내렸습니다. 오른손에는 지팡이를 들고 있으며, 아래로 길..

예산...법륜사 마애관음보살입상

옛 기억을 되살릴 수 없었고, 2010년 굴법당과 마애불만 떠올랐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160관음전 불단관음전 향좌측 바위마애관음보살. 마애신장상조명을 비추면 뚜렷하게 보일 텐데2010년 사진두광. 백의관음이 분명합니다.마애약사여래라는 기록이 보이지만 정병을 손에 든 마애관음보살로 추정됩니다. 얼굴만 조성한 우측 상은 사천왕상이라는 설명도 있지만 신장상으로 생각됩니다. 조성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여러 자료에 조선 중기라는 기록이 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법인스님이 사찰을 창건한 1945년 전후로 추정합니다.일제강점기에 창건된 법륜사 이전에 사찰이 운영된 것을 알 수 있는 유물이 마애불 앞쪽에 있습니다.안상이 새겨진 석불입상 방형 대좌와 불두가 있습니다.상호가 훼손..

예산...서원산 보덕사

2010년 마지막 답사었으나, 법당은 참배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163석탑. 석등. 불상대좌. 승탑 부재. 석탑부재.석탑부재보덕사 삼층석탑이 본래는 오층석탑이었다고 전합니다. 2 개 부재가 옛 석탑부재이었을까요?석탑재. 승탑재부도 탑신석 아래 방형부재는 석탑 탑신석으로 우주가 모각되어 있습니다.문석인.불상 대좌로 추정되며, 서로 다른 용도의 부재불상 대좌로 추정되는 위쪽 부재는 안상 안의 귀꽃이 뒤집힌 상태입니다.팔각원당형 석등화사석만 본래 부재로 추정화창에 창문을 단 흔적화창에 단이 있어 초, 등잔 등을 놓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흔치 않은 유형입니다. 생령좌의 사천왕상이 있으나 육안 식별은 곤란삼층석탑본래는 가야사지에 있었으며 일본인 반출하려다..

예산...팔봉암 소조여래좌상

팔봉암팔봉사지 옛 터에 자리한 사찰입니다.예산군 문화유적 분포지도에서 확인하고 찾았는데 뒤쪽으로 진입한 탓에 무척 긴 산길을 넘었습니다.친절하게 맞이해 준 보살님은 불상 존재를 모르셨으며 스님과 통화 후 뵈었습니다. 예산군 문화유산 분포지도. 팔봉사지(후사리사지)에서 발췌"후사리 마을 북서쪽에 팔봉산이 있는데 사지는 후사리 마을로 뻗어 내려온 팔봉산의 줄기 남향사면 중단부에 위치한다.(중략) 현재 사지로 추정되는 곳에 민묘가 2기 있다.(중략) 현재 사지는 모두 파괴된 상태이고 사지에서는 백자와 기와 편 등이 수습된다." 위와 같이 팔봉사지를 설명하면서 석불좌상이 남아 있다고 사진이 실려 있어 찾아들었습니다.육계가 낮고 중간 계주가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나발을 정방형에 가깝게 표현했습니다. 불신에 비해 ..

예산...오서산 화암사, 추사 글씨 암각문

오랜만에 찾았습니다.요사는 공사 중이어서 대웅전, 석탑, 추사 마애암각문만 둘러보았습니다. 2010년 화암사https://12977705.tistory.com/8723168삶과 죽음그런 것인가요?오층석탑흩어진 옛 부재를 수습 복원하였습니다.2~4층 옥개석. 초층, 5층 탑신석은 본래 부재처럼 생각됩니다.초층탑신석. 상층기단갑석탑신석의 우주. 기단갑석의 받침부연이 없습니다옥개석 낙수면 물매는 급합니다.전층 옥개석 하처마선은 들리지 않고, 상처마선은 반전이 있습니다.층급받침은 5층 2단, 2~4층 3단입니다.복원한 초층 옥개석도 3단 층급받침이었으면 좋으련만.화암사 오층석탑수습된 부재로 복원한 고려시대 오층석탑입니다. 이제 옛 답사 때에 건너뛴 소봉래를 비롯 추사 글씨를 찾아갑니다.추사 글씨는 충남 기념물로..

예산....상성리 석불입상

예산군 삽교읍 상성리 미륵벌석조여래입상주민들은 미륵불로 모십니다.2010년 경 두어 차례 찾아왔으나 탐문에 실패했던 경험이 있습니다.어깨 위는 결실되었고, 무릎 이하도 매몰되어 1미터도 안 되는 크기로 남아 있습니다..우견편단?시무외인 여원인일까요?존상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새참을 먹기 전 고수레라고 외치며 음식을 건내주던 농부와 동고동락하는 일상이 극락이지요.가끔은 그리우시죠?참새를 쫓던 코흘리게 아이들과 논둑을 오고 가며 자식 잘 되기를 빌고 빌던 주름진 얼굴의 할머니들이...뒷면측면오래전 다른 곳으로 반출했으나반출한 집안에 우환이 계속 발생하여 다시 원자리로 모셨다고 마을 어르신이 말씀하셨습니다. 2024.02.03 *도난 위험이 있어 상세 위치는 밝히지 않습니다

예산...성리 미륵

성내 미륵.삽교읍 성 1리 목시마을 바위에 미륵을 새긴 줄 알았는데 바위를 미륵으로 봉안하고 있었습니다.마을 중앙 보자암 전각에 모셔져 있습니다.예산군 문화유적분포지도에 의하면 처음에는 초가에서 시멘트 전각으로 다시 현재 모습으로 세웠습니다.돌장수가 떨어뜨린 돌 하나가 땅에 달라붙어 무럭무럭 자라서 마을 사람들이 미륵으로 모셨다는 일화가 구전되고 있다고 합니다. 음력 보름 즈음에 날을 잡아 제관으로 추대된 4 명이 중심이 되어 제를 봉안했다고 합니다.전국 여느마을 처럼 성내마을 제관도 집안에 큰 허물이 없는 사람이 추대되며, 제를 올리기 전 금줄을 치고 붉은 황토 3 무더기를 쌓았다고 합니다.(예산군 문화유적분포지도 발췌)음력 정월 보름까지 이어지던 마을 잔치, 지신밟기, 동제농사 대풍과 마을의 안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