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삼척시 26

삼척...태백산 신흥사 부도전

일주문 예전에도 있었나? 시대에 맞게 하마가 아니라 하승(下乘)입니다. 우리나라의 사찰 하마비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72 2017년 글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3923 오늘은 부도전 귀부 사진 몇 장 찍으려고 들렸습니다 부도전 부도 4기, 부도비 2기, 중건원답비 1기 화운당현진대사부도비花雲堂玄辰大師 浮堵碑 화운당현진대사花雲堂玄辰大師 .1771년 영조 46년(1770)에 화재로 인하여 모든 전각이 소실된 후 신흥사를 중건한 스님입니다 귀부 꼬리 주운당대사珠雲堂大師 주정당대사珠正堂大師 송파당대사松坡堂大師 영담대사비影潭大師碑. 1860년(철종 11) 법손 도유道裕, 일홍日弘 스님이 세웠습니다 귀부 가선대부등계대사석원답비..

강원도/삼척시 2022.10.29

삼척...두타산 천은사 부도전

2010년 이후 첫걸음오늘은 먼발치에서 보았던 부도전을 찾아왔습니다. 영월루 2010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3234육화료 육화료 기둥 목조아미타삼존. 조선  아미타여래 지장보살 관음보살 삼성각 약사전 동안사(動安祠)동안 이승휴 사당 물레방아 부도밭 인담당대선사(仁潭堂大禪師) 仁潭堂大禪師永淳之圖 壬○二月初六日○○時 용파당(聳波堂碑). 1829년 崇禎紀元後四己丑仲秋澣 眞珠 金應魯撰延日鄭益新 書당호를 새기지 않았습니다 탑신 상부, 연화보주바로 옆 해운당 대사와 비슷하거나 늦은  시기로 추정됩니다 海雲堂. 1746년 탑신석 상부. 연화보주바로 옆 당호를 새기지 않은 부도와 흡사합니다 기단부 해운당대선사 탄숙(海雲堂大禪師坦淑之圖) 乾隆十一年丙 寅閏三月○九日入寂… 壬辰六月二十..

강원도/삼척시 2022.10.26

삼척...흥전리사지 석탑 부재

눈에 익은 장면입니다 2010년에는 입구에서 발길을 돌렸고 2017년 발굴 중이어서 아쉬움으로 남아 있던 절터입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3922 서원(신앙 영역) 흥전리사지는 창건과 폐사에 관한 사적이 전하지 않습니다. 다만, 발굴된 유적을 통하여 통일신라 하대에 창건되어 조선시대에는 여러 문헌에 돈각사, 한산사 사명으로 실려 있습니다. 몇 차례의 발굴을 통해 신앙 영역인 서원과 생활공간인 동원으로 크게 구획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서원에는 주불전지와 탑지, 건물지, 동원에는 많은 건물지가 발굴되었습니다. 또한 발굴조사에서 삼층석탑, 석등 부재, 배례석, 國統’명, 大藏經’명 등 비 편과 청동정병, 청동 관인, 향로 손잡이 등이 발굴되었습니다. 동원(생활 ..

강원도/삼척시 2022.10.25

삼척...사금산 황장 금표

사금산 금표 원덕읍 이천리 이천 폭포 들머리의 삼거리에 위치 현재는 제의의 흔적이 없지만 마을의 당산목처럼 보이는 노거수(갈참?) 아래 시멘트 단위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금표가 삼척 어느 산의 황장목 벌목을 금지하기 위해 세운 것은 명확지 않습니다. 우리 카페 여름날(홍하일)님이 정리한 블로그에 의하면 울진에는 황지산(黃池山), 소달산(所達山), 마읍산(麻邑山), 궁방산(宮房山), 가곡산(可谷山), 적전개산( 狄田庎山) 등 5곳에 황장금표가 있었다고 합니다. 강원도의 황장 금표(홍하일 님) http://blog.naver.com/dvmhong/70129667970 그리고 동행한 김희태 님은 관동지에 등재된 황장금표와 현재 지명을 대조하여 지금의 사금산을 마읍산으로 추정하며 이천리의 금표는 사금산(마읍산)..

강원도/삼척시 2020.11.28

삼척...역둔리 철비

금옥각金玉閣. 하장면 역둔리 산 2-1 역둔리易屯里 조선 숙종조에 군인 들의 경작지인 역둔에서 유래하였으며, 마을에 나라의 공공창고인 역둔창易屯倉이 있었으나, 철종 때 화재로 없어졌다고 한다. 금옥각金玉閣 삼척부사 이규헌 철비와 금옥첨원 철비가 보호각 속에 있다. 처음에는 역둔초등학교부근에 건립되었다고 하며 1936년,1956년 2번쳐 이건되고, 1995년 도로공사로 현재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부사이규헌휼민청덕영세불망비(府使李奎憲恤民淸德永世不忘碑) 도광무술오월 일(道光戊戌五月 日). 도광 18년으로 1838년 이다. 헌종 3년(1837) 극심한 한발과 홍수 피해로 주민들이 기근에 시달리자 삼척부사 이규헌(李奎憲)이 역둔창(易屯倉)의 양곡을 풀어 구휼하였다. 주민들은 부사 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헌종 4년..

강원도/삼척시 2017.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