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무주군 16

무주...향산사 석조여래좌상.석조나한상

향산사(香山寺)선학원(禪學院)에 등록된 사찰로 『전북 불교 연감』에 따르면 “3·1 운동 당시 민족 대표 중 한 분이었던 백용성 선사가 1918년에 창건하였다. 이후 1936년에는 그의 제자인 선파 스님이 중건하여 포교당으로 사용하여 오다가 향산 선원으로 개칭되기도 하였다”라고 전한다. 그러나 『문화 유적 총람』에는 “1935년에 건립하였는데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 팔작지붕 건물이다”라 하여 향산사의 창건 연대와 전각의 규모만을 전하고 있다. 이후 1975년 당시 주지 혜안이 대웅전을 건립하고, 1983년 주지 보정[김유동]이 부임하여 대웅전 산신각을 개수·보수하는 등 지금의 사찰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디지털무주문화대전)대웅전 불단후불탱. 1940년신중탱불기 2967년.소화14년백용성 스님이 증명 ..

무주....장기리 석조약사여래입상.삼층석탑

2011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479안성면 공정리에서 각각 발견되어 여기저기를 거쳐 면사무소에 자리 잡았습니다.공정리사지에 관한 자료는 전하지 않습니다.석조약사여래입상불두 결실, 통견의 법의, 두 손을 아래위로 받쳐 들고 있는 큼직한 약그릇사바세계에서 고통받는 민초들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화수분이어야겠지만.다리가 짧나요?배면선각으로 새긴 상이 있나요?있는 듯 없는 듯삼층석탑석등하대석 기단 위에 탑신부를 올린 상태입니다.상륜부는 본래 부재인지 불투명합니다.석등기단복련으로 장식하였습니다.탑신부초층탑신석문비, 우주를 모각하였습니다.2,3층 탑신석 망실상하처마 반전이 있는 옥개석, 하부 2단 층급받침은 두터우며, 각형 1단 탑신괴임이 상부에 있습니다.옥..

무주...덕유산 인월암 석탑

삼공리 주차장에서 덕유산 백련사로 향하는 길.인월담(印月潭)에서 칠봉 약수터 방향 400미터 정도 거리에 자리합니다.디지털무주문화대전에는 "신라 때 인월 화상(印月和尙)이 절을 짓고 수도하던 곳이라 하여 ‘인월담’으로 부르게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는 옛터이다. 월곡 이창섭이 1960년대 초반, 세 칸 규모의 인법당을 중창하였으며 후에 요사를 세워 현재의 사찰 도량이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법당, 인법당으로 사용했던 건물, 요사가 있으며 비구니 스님이 계셨습니다.인월암불단배치가 독특합니다.아미타. 약사. 관음약사여래좌상불단 향좌측에 단독으로 모셨습니다.FRP재질로 생각했었는데.목조약사여래좌상1960년대 인월암 창건 때, 덕유산 백련사에서 옮겨 온 목조불이라고 스님이 말씀하였습니다.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