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합천군 80

합천...대동사지 석조여래좌상. 백암리 석등

2007년. 2018년 이후 다시 들렸습니다.오류도 보이지만 옛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6124석조여래좌상. 경남 유형문화재. 통일신라석조여래좌상광배를 제외하고 대좌와 불신이 남아 있습니다.상호는 훼손이 심합니다.나발, 높은 육계, 삼도, 통견, 승각기, 군의 매듭, 손은 훼손이 되었으나 항마촉지인 같습니다.하대석 중대석연화대좌와 두광을 갖춘 입상입니다.각 면에 새겨진 상은 신장상(국가유산청. 합천군청), 보살상(한국의 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등으로 다르게 기록되어 있습니다.상대석연화문이 3중으로 장식백암리 석등. 보물. 통일신라사지에 흩어져 있던 부재를 조합하여 현 위치에 세웠다고 합니다.하대석복판단엽, 화문이 새겨져 있습니다.2단 받침. 팔각 중..

합천...영창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석조약사여래좌상

2012년 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635비로자나불좌상나발입니다.대좌본래 대좌인지, 석탑 부재인지 모호합니다.약사여래좌상탑신석을 대좌 삼아...불신과 광배가 일석입니다.탑신석우주를 새겼습니다.상부에 사리공이 있습니다.초층 탑신석으로 추정되며 약사여래좌상과 동시대에 조성한 석탑부재로 생각됩니다.진주박물관 수장고 석탑부재 확인하고 돌아오는 길에 들렸습니다.지금도 예전처럼 깨끗하게 관리되고 있어 흐뭇했습니다. 2024.03.04

합천...해인사 원당암

옛글로 대신합니다 2011년 해인사 원당암 https://12977705.tistory.com/8723465 2016년 원당암 마애부도 https://12977705.tistory.com/8725046 보광전 기단 우리나라 사찰의 대표적인 가구식(고식) 기단 지장. 아미타. 관음 다층청석탑. 석등 통일신라 하대 조성. 우리나라 다층청석탑의 시원으로 전합니다. 몸돌 결실 배례석 기단부 하대석.중대석.상대석 탑신부와 상륜부 옥개석 층급받침의 연화문 석탑 연화문 층급받침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414 우리나라의 다층청석탑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53 육각원당형 석등 화사석 결실, 간주석만 화강암, 하대석, 상대석, 옥개석은 ..

합천...거덕사지 석탑부재

개인적으로는 2017년에 다녀왔습니다. 옛 사진과 비교해 보니 석탑부재(기단 중석 부재. 하층기단 부재 외)를 수습하여 모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 주면 나무를 정리한 흔적과 인적이 남아 있었습니다. 2017년 글입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5638 2017년에는 흩어져 있었습니다. 하층기단 상층기단 갑석 탑신석과 옥개석 2017년에는 흩어져 있었습니다. 옥개석 하나는 뒤집혀 있었고. 옥개석 한 기를 뒤집어 보았습니다. ??? 2017년 글에는 절수구가 없다고 기록했는데. (2017년 사진) 한 기는 절수구가 있고, 다른 옥개석은 절수구가 없었다는 이야기인데, 미처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뒤집어 본 옥개석은 다시 바로 놓았습니다 하층기단 갑석 상층기단 중석 면석 1기는 ..

합천...화양리 소나무

해인사 순례 후 불현듯 떠올라 달려갔습니다. 2007년 이후 16년 만의 해후!!!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493 구름도 쉬어 갈 것 같은 외진 산골마을이었는데, 지난 일을 떠올리는 것은 감정이 사치겠지요. 살아가는 사람들을 고려하지 않은... 민초들의 수호신이며 동반자입니다. 풍농, 마을의 안녕, 아들 점지 군대 간 아들의 무사한 귀환 쌀밥 한 그릇 제대로 못 먹이고 시집보낸 딸의 무탈한 시집살이 그런 간절함을 품고 금줄을 걸어 당산제를 올리고 막걸리 한 잔 올린 동민들의 소박한 기원 지금은 사라진 마을 신앙 금줄 민초들의 소박한 바람입니다. 우리들이 잊고 사는... 광해군, 영창대군, 인목대비, 김제남 500 년 저편의 이야기 100세 인생이라지만 아직도 청..

합천...금강암(굴) 석불입상. 삼층석탑

해인사 산내 암자를 순례한 분의 답사기에 희미하게 실린 삼층석탑과 석불을 보는 순간 고탑, 고불 느낌이 들어 찾았습니다. 법당에 혼자 계신 스님께 인사 여쭙고 삼배를 올렸더니 어디서 오신 분이냐고 묻습니다. 그리고 제가 성철 스님 따님이신 불필 스님이 창건한 암자로 알고 있는데라고 말씀드렸더니 밝은 표정을 지었습니다. 그래서 바로 알아보고 인사드리며 '1978년 성철 스님을 뵌 적이 있다'라고 했더니 "큰 인연입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석불과 불탑이 오래된 것인데...라고 말을 건네었더니 삼성 이재용 회장이 몇 년 전 기증하였다고 알려주었습니다. (몇 년 전 서울 진관사 오층 석탑 답사 때 만난 고미술품 전시장 사장님은 삼성에서 석탑 5기를 사찰에 기증하였다고 합니다. 그분 말씀으로는 통도사,..

합천...고불암 동조보살좌상

고불암 해인사 산내 암자입니다. 해인사 경내로 진입하지 않고 사하촌을 경유하여 갈 수 있으며 차량 출입이 가능합니다. "해인사 고불암은 가야산 자락의 해인사 부지 내에 있으며 해인사 말사 중 가장 높은 해발 900m에 법당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해인사 고불암 건축불사는 불사를 하겠다는 불자 10여 명이 뜻을 함께하여 약 1년간에 걸쳐 한국의 유명사찰의 가람을 두루 섭렵한 후 이를 참고로 하여 부지 약 1만 평, 건평 725평으로 2003년 7월에 토목기초를 착공하고 2004년 3월부터 본격적인 건축공사를 하여 같은 해 10월에 준공하여 해인사에서 공찰로서 운영하도록 해인사에 기부하여 해인사 재산으로 등록하였습니다. 본 사찰은 전통사찰식 목조건축물과 현대식 건축물이 함께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전통사찰식..

합천...해인사 성보 박물관

최송설당 각자 답사 후 찾았습니다. 2011년 관람 후 처음이며, 청곡사 성보가 많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사진 몇 장 올립니다. 해인사 성보박물관 건칠희랑대사 상. 고려 뒤편 불화는 1892년에 조성한 삼화상(이정 대사. 희랑대사. 순응대사) 진영 학조대사. 조선 후기 범운당 취견. 조선후기 해인사 영산회괘불도.1892년 6월 11일 까지 전시 목조 동자상. 조선 지장시왕도. 일제강점기 해인사 국일암 지장시왕도. 1904년 업경대 시왕도. 1대 진관대왕. 1739년 시왕도 3대 송제대왕. 1739년 시왕도 5대 염라대왕. 1739년 홍치 4년명 동종. 1491년 청동 소종. 고려 후기 하대에 해인사 상소리암 명문이 있습니다. 소리암은 1449년 相國 권총의 보시로 중건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가야산 유..

합천...해인사 조산대 각자

사자문 석주 해인사 자동차 진입로 룸비니 동산 입구 1929년 임환경(林幻鏡·1887∼1983·해인사 주지 역임·서예가) 스님의 글씨 법찰대본산가야산해인사(法刹大本山伽倻山海印寺) 해인사가 법보 사찰임을 알려주는 석주 불기 2956년 기사 9월 일 선교양종대도량(禪敎兩宗大道場) 팔만장경독차방(八萬藏經獨此方) 팔만대장경이 있다는 의미 같습니다. 사자문 각자. 조산대 각자가 새겨진 바위 조산대(造山臺) 이호윤이 쓴 〈유가야록〉에는 “이 물은 서쪽으로는 말정령末丁嶺으로부터 오고, 북쪽으로는 절의 뒷산으로부터 와서 조산대造山臺에서 합쳐서 흘러가 홍류동이 된다(此水 西自末丁嶺 北自寺後山 合于造山臺 而流爲紅流洞).” 말정령은 마장이니 마장에서 내려오는 계곡과 가야산에서 내려오는 계곡의 합수지점이 바로 조산대이다.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