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사천시 26

사천...다솔사 보안암

2008년 이후 다시 들렸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802345 사진 몇 장 첨부합니다.예전에는내부 참배가 가능했으나 지금은 안전을 고려하여 출입을 금했습니다.2008년에는 석굴에서 예불을 했었는데...석조나한상은 뵐 수 없고...지장전산행객들의 산행기에 등장하는 바위를 찾았습니다시루떡 바위전망 바위이제는옛인연이겠지요 다시 찾을 길없는... 2024.04.14

사천...봉명산 다솔사

대양루. 경남 유형문화재 2008년 다녀온 글이 있으며 이후 부도전, 금혈비 답사도 있었습니다.오늘은 보안암 순례 목적으로 먼저 다솔사를 참배하였으며 옛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802342중건비.  1704년(숙종 30). 채팽윤(蔡彭胤)이 글을 짓고 이진휴(李震休)가 썼으며, 제액(題額)은 권규(權珪)가 썼다적멸보궁불단와불. 대웅보전 뒤편에 진신사리를 안치하였습니다.진신사리탑신중도. 1919년. 종무소응진전. 16나한응진전 목조여래좌상(조선 후기?)극락전삼장보살도. 1920년현왕도 1920년칠성도 1920년독성도.산신도. 1920년무량수각, 완당석탑 부재https://12977705.tistory.com/8725833어금혈봉표 (御禁穴封表  고종22年1885..

사천...본촌리사지 석불좌상. 석탑 부재

본촌리사지 시천시 곤명면 본촌리 6l5번지 일원으로 사찰의 창건 폐사 시기는 전하지 않습니다. 사지에는 사진처럼 옥개석 2기, 석불좌상이 있었으며, 현재 진주 국립경상대학교 박물관 수장고에 있습니다. 옥개석(1) 1단 탑신 굄 낙수면 물매는 급합니다. 각형 3단 층급 받침. 석탑(2) 석탑(1)과 동일하며, 밀폐 보관하고 있습니다. 문기둥 홈?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밀폐된 박스 안에 있어 사진 찍기가 쉽지 않습니다. 지권인? 본촌리사지에서 수습된 동제 유물 비로자나불 문화재청 한국의 사지에는 비로자나불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소탑 보주 청동 소탑 부재 본촌리사지 사찰 이름과 전하지 않으나 발굴된 석탑, 석불, 기와 조각 등을 기준으로 통일신라~고려 시대에 사찰이 운영되었음을 알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폐사 시기는..

사천...천성산 관음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천성산 관음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백천사 주차장 근처, 카페와 동일 건물인 성보박물관에 전시중입니다. 부산 원광사에 봉안되어 있던 보살상으로 2008년 9월에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보관및 대좌 제작을 의뢰 받아 불상 상태 조사 과정에서 복장 유물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복장의 발원문과 개금문에 따르면 1364년 천성산 관음사의 아미타여래삼존상으로 조성되었고 이후 1502년 전 흥교사 주지 道裕의 후원으로 관음과 대세지보살상을 다시 만들었다고 하며 이 보살상은 1502년에 만든 협시보살상으로 원래는 평안남도 순천군 천성산 관음사에 봉안되었던 상입니다. 보살상의 얼굴과 몸체는 소나무, 팔과 다리는 은행나무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또한, 복장 유물은 총 47종으로 황동팔엽합(黃銅八葉盒)과 여러 가지 종류의 직물조각..

사천...용산리사지(서봉사지)

더위가 기승을 부렸던 작년 여름 다녀왔었습니다. 더위, 잡초 언감생심 석탑재 등은 꿈꾸지 못하고, 부도만 뵙고 발길 돌렸습니다. 폐사지? 정녕 폐사지인가요? 쪽진 머리의 고운 여인을 떠올렸다면 불경일까요? (차밭 주인의 정갈한 심성이 그려집니다.) 맨 위에서 바라본 사지 사진입니다. 사진 아래로부터 금당, 탑지, 전각지... 2,020년 8월 작년 여름 답사기(2.020년 8월) http://blog.daum.net/12977705/8726901?category=5241 석축 전체적으로 5단으로 추정되며, 확연하게 들어옵니다. 석축 중심 석축으로 전각, 요사가 있었을 것 같습니다. 맷돌 석축 속에. 괘불지주 괘불지주와 석탑 기단석(?) 등의 많은 부재가 묻힌 터 석탑지로 추정되며 좌우에 전각이 있었던 것..

사천...흥양리 매향비

사천 흥양리 매향비 답사객이라면 모두 인연 지었을 것이고 사천 매향비(2,008년) http://blog.daum.net/12977705/4802360 우리나라의 매향비 http://cafe.daum.net/moonhawje/MebK/54?q=%EC%9A%B0%EB%A6%AC%EB%82%98%EB%9D%BC%EC%9D%98%20%EB%A7%A4%ED%96%A5%EB%B9%84 매향비 명문 1행. 千人結契埋香願王文 2행. 夫欲求无上妙果必須行願相扶有行无願其行必/ 3행. 孤有願无行其願虛設行孤則果喪願虛則福劣二業/ 4행. 双運方得助○妙果貧道與諸千人同發大願埋/ 5행. 沉香木以待 慈氏下生龍華三㞧持此香達/ 6행. 奉獻供養弥勒如來聞淸淨法悟无生忍/ 7행. 成不退地願同發人盡生內院訂不退地慈氏如/ 8행. 來見爲我訂預生此國預在礿..

사천...용산리사지(서봉사지) 승탑. 서봉암 목조대세지보살

사천 용산리사지. 경남기념물 제178호입니다. 그러나. 사천시사, 곤양면지 등에는 서봉사지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서봉사지(栖鳳寺址) "사천시 곤명면 용산리(龍山里)에 주산(主山)인 봉명산록(鳳鳴山麓) 북쪽에 서봉사의 옛 절터가 아직 남아 있다. 서봉사가 언제 누구에 의해 창건되고 또 언제 폐허화 됐는지를 모르고 있었는데 근래에 묻혀 있던 서봉사기(栖鳳寺記)를 찾아냄으로써, 역사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사찰이었는지를 알게 되었다. 사찰에 관한 기록으로는 먼저 영봉산(靈鳳山) 용암사(龍岩寺) 중창기(重創記), 서봉사사적( 事蹟) 등이었다. 서봉사 사적은 서기 1726년(영조 2년)경에 이뤄진 목판본 사지(寺誌)로 현재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서봉사적은 1336년 즉, 고려 충숙왕 복위 2년에 가정(..

사천...와룡동사지 석탑부재

와룡동 사지 (臥龍洞寺址) 와룡산의 남쪽 산자락 와룡골에 있었다고 전하는 절로, 삼한갑찰(三韓甲刹)의 하나였다고 합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고문헌에 고려 현종(1,009~1,031)이 왕위에 오르기 전 유배 온 아버지(왕욱)지냈던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왕욱은 왕건의 여덟번째 아들이며, 민가 주인은 그 외에도 민간에 전하는 이야기를 길게 말씀해주었습니다. 그리고 자운사 진명국사비(1,272)에는 진명국사의 하산소로 새겨져 있다고 합니다. 이후 조선 숙종 재위 시에 다솔사(多率寺)의 전신인 영악사(靈嶽寺)를 중창하고 세운 중건비(1,704)에 영호남 고을의 여러 절과 더불어, 와룡사도 참여한 기록이 있습니다. 또한, 조선 후기의 영남지도, 해동지도 등에 사찰 표시가 남아 있어 18~19세기에도 향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