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양양군 19

양양...상월천리 금표

상월천리 금표. 현남면 상월천리 297민가 뒤편 밭 옆으로 흐르는 개울 축대에 박혀 있습니다.2002년 태풍 루사 때 피해를 입어 제방을 쌓았다고 합니다.2021년 상월천(윗달내) 정비 공사를 시행 중이던 업체 관계자가 발견하여 양양군청에 신고하여 알려진 금표입니다.따오기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다듬은 돌이 아니라 큰 바위의 일부가 하천 정비에 활용되었으며, 산으로 들어가는 입구이었을 것입니다.세로로 새긴 禁標가 눈에 들어옵니다.상월천리 금표https://blog.naver.com/mckhan01/222401770777정보를 공유해 준 김희태 님에게 감사드리며, 심도 있는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더불어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금표 답사 등의 관광 자원으로 연계하는 방안도 모색하면 좋을 것 같습..

강원도/양양군 2024.05.31

양양...시변리 태함(胎函)

현남면 시변리 12-3죽도해수욕장 공영주차장 옆 작은 공원7번 국도변에 세워진 강원도 관찰사 선정비군 한쪽에 덮개돌이 망실된 태함이 있습니다.태함일전에 김희태 님으로부터 이야기를 들었지만 이번 강원도 답사길에 인연 지었습니다.본래 위치는 아니며 주민들이 기우제를 올릴 때 사용했다고 합니다.  " 을 보면 기우제 의식과 관련한 내용이 잘 남아 있는데, 먼저 해변에 있던 탯돌에 사람들이 모여 기우제에 바칠 개를 잡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후 잡은 개의 피를 탯돌에 묻히고, 마을 사람들이 양쪽으로 늘어서 밧줄에 탯돌을 끼워 바닷물에 담가두었다고 한다. 이러한 탯돌 기우제는 1990년대까지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인천일보. 김희태. 2022.06.17)태함 내부덮개돌은 망실되었으나, 내부 태지석과, 태항아리를 담..

강원도/양양군 2024.05.30

양양...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 부도전

낙산사마지막 순례가 산불 후이었으니 어언 10년이 넘었습니다. 2010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3221 하지만, 동호회 이계재 님의 포스팅 이전에는 까마득히 존재를 인지하지 못했습니다.이후에도 근처 답사는 이어졌으나, 이번 영동 지방 부도 순례길에 인연 지었습니다. 해수공중사리탑(海水觀音空中舍利塔)공중사리(空中舍利)는 바다의 관음께서 하늘에서 내려주신 사리라는 의미입니다숙종 9년(1683) 홍련암 불상을 개금 후 봉안할 때 공중에서 밝은 구슬 한 알이 떨어져 10여 년 후  석겸(釋謙) 스님은 이 구슬을 봉안하기 위해 숙종 18년 (1692) 공중사리탑을 세웠다고 합니다. 그 이전에도 광해군 11년(1619), 관음굴(홍련암) 중건을 마치고 상량하는 날 파랑새가 날아..

강원도/양양군 2021.07.26

양양...영혈사 부도전

10년이 지나 다시 찾았습니다.그때 뵈었던 동안의 사미승은 어디에 계시는지... 오늘은영동지방 부도 순례 길에 들렸습니다 영혈사(2010년)https://blog.daum.net/12977705/8723220 수조 오층석탑 우리나라의 일제강점기 석탑https://blog.daum.net/12977705/8726617 부도전영혈사 주차장 200여 미터 직전 임도 옆 약간 높은 모룽이 위에 위치합니다 조선 후기 종형 부도 3기부도비 1기가 유존합니다 영암당묘잠선사(靈庵堂妙岑禪師) 탑비1760년 비문"영암당묘잠선사(靈庵堂妙岑禪師)는, 관동지방 양양의 정암리에서, 김신용(金信龍)의 막내아들로서. 13세에, 출가하여 설악산영혈사에 들어와, 성률 장로(性律長老)의 수제자가 되었다. 제오세(第五世) 관암당 설우(寬庵..

강원도/양양군 2021.07.26

양양...휴휴암 삼층석탑

휴휴암(休休庵) 쉬고 또 쉬고... 내려놓아라는 의미 같습니다. 아직 번뇌 망상에 서로 잡힌 중생 전국을 숱하게 헤매이고 다녔지만 첫 인연입니다. 그것도 내려 놓지 못하고 붙잡고 확인하려고... 용왕, 지혜관음보살, 남순 동자 삼층석탑 휴휴가 아니라 집착 또 집착에 사로 잡혀 찾아왔습니다. 오래전 우리 카페 무애 님 포스팅으로 인지했지만 바로 달려오지 않았습니다 설마?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제 판단이 크게 잘 못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옥개석을 비롯하여 일부 부재라도 옛 부재일까요? 저는 옛 부재는 없다고 감히 말하고 싶습니다. 이렇게 거의 완전한 석탑이 하늘에서 떨어질 리도 땅에서 솟을 리도 없겠지만, 최근 5여 년 동안에 여기저기로 옮겨 다니는 비슷한 작례의 떠돌이(?) 석탑을 빈번하게 ..

강원도/양양군 2021.07.20

양양...오위장 정원기 철비

보호비각. 양양읍 조산리 485번지. 도로변 흥부네밥상 식당 향우측 뒤편에 위치한다. 보호각 앞 1972년 증손 정주화님이 세운 석비가 눈에 들어 온다. 가선대부 중추부사 겸 오위장 정원기불망비嘉善大夫 中樞府事 兼 五衛將鄭元基不忘碑 가선대부 오위장 정원기불망비嘉善大夫 五衛將鄭元基不忘碑 양양문화원 자료에는 철비 조성 내력을 디테일하게 기록하고 있다. 정원기(鄭元基)(1801~1863) 관향은 연일이며 자는 여경(汝經)이다. 강현면 석교리에서 생활하였으며 시문에 남달리 재능이 있고 풍류를 즐기었다. 철종 10년 기미 10월(1859년) 설악산 동쪽 동해안 일대에 불의의 대화재가 발생하여 양양부(襄陽府)에 551호. 통천군(通川郡) 472호, 간성군(杆城郡) 486호가 전소하니 수천 명의 이재민이 집을 잃고 ..

강원도/양양군 2017.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