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함안군 38

함안...충노 대갑비

무진정서너 차례 답사하였으나 충노 대갑의비를 이제야 알고 다녀왔습니다.무진정https://12977705.tistory.com/8728020無盡亭無盡亭潭효자담(孝子潭) 비석부자 쌍절각(父子雙節閣).숙종 32년(1706년)조삼의 증손인 조준남과 그의 아들 조계선의 효와 충을 기려 세운 전각이다.  "조준남은 1597년 정유재란 때 왜적이 쳐들어와 증조부 조삼의 묘를 파헤치자 왜적들을 뚫고 들어가 흙으로 관을 덮고 저항하였다. 왜적이 그를 위협하자 조준남은 "네놈들이 내 선조의 묘소를 무단 훼손하니 너희는 나의 불공대천의 원수다."라고 분노하며 자결하였다고 한다. 그의 아들 조계선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1627년 정묘호란 때 나라를 지키기 위해 출전하였다가 의주에서 전사하였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함안...방어산 마애약사여래삼존불입상

2019년 글입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4496 현장에 설치된 도상 월광보살. 약사여래. 일광보살 월광보살 옆의 명문 成人彌刀秦貞元十七年辛巳三月十六日 성인미도태 정원십칠년신사삼월 16일 鴻巖佛 成記願旨 홍암불 성기원지 O父O不O OO日彌 O부OQ불O OO일미 二O母彌叉 一切衆生O 이O모미차 일체중생O (정원은 당나라연호이며, 801년) 미도태라는 사람이 801년 부모와 중생을 위해 발원한 명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약사여래 월광보살 일광보살 2022.11.06

함안...대산리 석조삼존상

대사(大寺) 사명과 관련하여 기존 조사자료는 본 사지를 大寺址로 추정하고 있다. 大寺는 여지도서, 범우고, 경상도읍지 등에서 확인되나 당시 이미 폐사된 상태로 여항산 남쪽의 향교 밭 일원을 사지로 언급하고 있어 위치 상 차이가 있다. 본 사지가 위치한 동지산과 관련하여 1587년 한강 정구가 편찬한 함주지에 北寺라는 사찰이 동지산 남쪽에, 석미륵 4구와 육층탑이 있다고 하여 본 사지 위치와 사지 내에 있는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과 석조보살입상, 석탑재와 내용상 일치하므로 원 사명이 ‘북사‘일 가능성이 높다(문화재청. 한국의 사지) 2019년 사진, 글은 그 이전 모신문사에 연재했던 내용으로 오류가 발견되지만 수정하지 않고 가져왔습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4..

함안...무진정(無盡亭)

무진정(無盡亭) 누가 언제 지은 정자일까요? 현장 문화재 안내문 무진정은 1542년 조삼 선생(1473~1544)이 후진을 양성하고 여생을 보내기 위해 지은 정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47년(명종 2) 후손들이 그를 기리기 위하여 정자를 세워 그의 호를 따서 무진정이라고 하였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명종 22년(1567)에 무진(無盡) 조삼(趙參)선생의 덕을 추모하기 위해 그의 후손들이 세우고, 선생의 호를 따서 무진정(無盡亭)이라고 하였다. 위키백과 조삼(趙參)선생이 후진양성과 남은 여생을 보내기 위해 지금의 자리에 직접 지은 정자로서 자신의 호를 따라 무진정(無盡亭)이라 명명하였다 무진 조삼(無盡 趙參, 1473~1544) 생육신 어계 조려(漁溪 趙旅, 1420~1489) 선생 손자인 무진은 조선 ..

함안...백암사(중산사지) 석조여래좌상

10년 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오류가 있지만 옛글을 올립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1906 중산사지에서 옮겨온 불상으로 전합니다. 2010년 당시에는 금분, 호분을 걷어낸 흔적이 많이 남아 있었습니다. 광배는 남아있지 않습니다 하대석 하단석의 안상 상단석의 복련 3단 중대석 굄 팔각 중대석 상대석 상호, 불신, 팔 등에 보수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나발, 육계, 백호공이 있으며, 귀는 짧은 편입니다. 전성기에 비해 어깨에 힘이 빠졌습니다. 편단우견의 대의, 사선의 승각기, 항마촉지 수인, 길상좌, 무릎 사이로 흘러내린 대의자락이 형식적이며 시대 하강을 암시합니다. 대부분 자료에 9세기 경 작품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고려시대 느낌도 없지 않습니다. 2022.11..

함안...만추의 함안 향교

2022년 11월 05일 동호회 함안 답사 사진 몇 장 올립니다. 함안향교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3491 풍화루 외삼문입니다. 전학후묘 즉, 강학공단인 명륜당을 전면에 배치 동재 서재 대성전 외삼문 없이 계단으로 이어집니다. 공간의 제약 때문에 대성전과 동, 서무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습니다. 정료대 명륜당 뒤 대성전으로 오르는 계단에 어정쩡하게 자리합니다. 석조 부재 2022.11.05

함안...함안박물관 야외전시장 석탑, 마애불

함안 박물관 야외전시장에는 석탑, 선각마애불, 옥개석, 석조 부재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2012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1905 조곡사지 삼층석탑 기단 갑석 3층 탑신석 결실 상륜부의 노반석 고려 중기 이후 작품으로 추정됩니다. 기단 갑석 약간의 물매가 있고, 내림마루를 새겼으며, 각호형 2단 굄 조출, 하부의 부연 탑신부 탑신석의 우주 모각 옥개석 낙수면 물매가 급하고, 마모되었지만 전각의 반전은 경쾌했을 것 같습니다. 전층 3단 층급 받침, 1단 탑신 굄, 절수구는 넓습니다. 층급받침, 절수구 3층 옥개석과 노반석은 한돌입니다 노반석 상부의 찰주공 외암리 사지 함안군 여항면 외암리 73번지 일원 본 사지는 ‘朝谷寺’로 보고되었으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