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120

부산...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야외전시장

석당박물관 야외전시장 문화유산은 여러 번 포스팅하였습니다.가장 최근의 글, 사진으로 대신하며 사진 몇 장 올립니다. 상하기단갑석 연화문 조식 석탑재(2018년)https://12977705.tistory.com/8725692 석탑, 승탑(2014년)https://12977705.tistory.com/8724270승탑군 부산지역 승탑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21김해 감로리사지 석탑승탑감로사지 승탑. 귀부합천 상천리사지 삼층석탑아미동 오층석탑동성로 오층석탑 2024.12.17

부산...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실내전시장

동아대학교 박물관실외전시장은 자주 답사하였지만, 실내는 오랜만에 다시 관람했습니다.전시된 많은 문화유산 중에 관심 있는 몇몇 점입니다.태화(太和) 13년 명 석조불상. 469년기단 중석의 향로. 공양상(?). 사자. 뒷면에는 명문 135자중국 산시성 원강석굴의 태화13년감 내용과 거의 비슷하다고 합니다.목조보살좌상. 부산 유형문화유산. 조선후기(17세기)중품하생 수인, 불신에 비해 불두가 크고, 보관 중앙의 수정으로 된 장식이 눈에 들어옵니다.상주 상안사지 출토 석조여래좌상. 고려불두 훼손, 수인을 감춘 모습상안사지에는 현재 용화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5951목조동자상. 조선 후기목조나한상. 조선 후기원력으로 호랑이를 굴복시키는 복호(伏虎) 나한..

부산...부산대학교 박물관 실내전시장

여름에는 공사 중이었는데 재개관(2024.10.28) 하였습니다.재개관 특별전명품 수장고를 나서다 展금동십일면관음보살좌상. 부산 유형문화유산우리에게 익숙한 문화유산입니다.조성시기가 누락되었습니다.홈페이지에는 고려 중기로 설명하고 있습니다의흥. 순창. 경산양산. 동래. 김해. 경주내섬(內蟾)왕실 내 관사?9. 내자(內資) 10. 공안부(恭安府) 11. 예빈(禮賓) 12. 선산 장흥 13. 선산 인수아미타래영도. 부산 유형문화유산검은색 바탕. 상호와 불신에만 색을 칠하고 그 외에는 금니(金泥. 금박가루에 아교풀에 갠 것)를 선각으로 표현하였습니다.1813년. 성총(性總)칠성도. 부산 유형문화유산상단치성광여래. 월광. 일광보살. 칠성동자하단 칠원성군. 자미대제... 해운당 익찬대흥사 송광사 선암사 화어사 쌍계..

부산...부산대학교 박물관 야외전시장

부산대박물관작년 여름에 들렸을 때는 공사 중이었는데, 옹색했던 공간에서 벗어나서 넓은 터에 자리 잡았습니다.두어 번 포스팅하여 옛 글을 올립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423https://12977705.tistory.com/8728424 오늘은 동호회 부산 송년회 참석하기 위해 일찍 내려와 잠시 둘러보았습니다.그런데못 보던 부재가 보입니다.갸웃갸웃용도가 뭘까?아랫면입니다. 불현듯 예전에 답사했던 연화문 층급받침 옥개석이 떠올랐습니다.예전 사진예전사진 다시 살펴보니 인연 지었던 옛 부재가 뒤집혀 있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425 제 사진의  연화문이 잘 보이지 않아 동호회 시나브로 님 사진을 가져왔습니다.분명해 보입니다.석탑 ..

부산...선여사지 석탑부재

석탑사. 기장군 정관읍 용수공단2길 70-142014년 어둠이 내린 후 들린 탓에 스님께 인사도 드리지 못하고 대웅전 뒤편 선여사지 석탑 부재를 답사하였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624석탑부재선여사지에서 옮겨온 석탑 기단부, 옥개석 부재가 남아 있습니다. 선여사지船餘寺址 기장군에서 가장 큰 가람으로서 절에 딸린 전답이 300석을 넘었다고 전한다. 『기장현 읍지(機張郡邑誌)』에도 기장현의 사찰로서 제일 먼저 선여사를 적고 있다. 이러한 정황으로 미루어 보아 당시 선여사의 사역(寺域)이 상당히 넓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록 사역을 확인하지는 못하였지만 부산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탑재가 이곳에 있었다는 사실이 지표상에서 확인되고, 1981년에는 부산광역시립..

부산...송공단(宋公壇) 관노 철수 매동비. 금섬 순란비

송공단 외삼문동래시장과 접하고 있습니다.송공단(宋公壇) 1742년 동래부사 김석일이 임진왜란 당시 동래부사 송상현이 순절한 장소인 정원루(靖遠樓)의 옛터에 설치한 단으로 송상현을 비롯하여 왜란 때 순절한 여러 선열들을 모신 곳이다. 송공단이 건립되기 전에는 동래읍성 남문 밖의 조그마한 야산 농주산(지금의 동래경찰서 자리)에 임진왜란 때 순절한 선열들을 추모하는 농주산 전망 제단을 세워 동래부사 송상현, 양산부사 조영규, 동래교수 노개방을 비롯한 순절의사들을 모시고 있었다.그러다가 1742년(영조 18)에 지금의 위치에 송공단을 옮겨 세웠다. 1760년에는 동래부사 홍명한이 유림의 여론에 따라 부산첨사 정발과 함께 싸우다 전사한 부사맹 이정헌을 모셨으며, 1766년에는 다대첨사 윤흥신, 유생 양조한을 추가..

부산...정공단(鄭公壇) 충노 용월비. 열녀 애향비

정공단 외삼문내삼문정공단1592년 임진왜란 당시 부산진성을 지키며 군민과 함께 일본군과 싸우다 성과 운명을 같이한 부산첨사 정발(鄭撥)과 그를 따라 순절한 군민들의 충절을 기리는 제단이다. 단의 중앙에는 ‘정공단(鄭公壇)’이라고 새긴 비를 세우고, 서쪽에는 정발의 막료였던 이정헌(李庭憲), 동쪽에는 정발의 첩인 애향(愛香), 남쪽에는 군민들을 모셨으며, 남쪽 층계 밑에는 충직한 노복이었던 용월(龍月)의 단이 마련되어 있다. 1766년 부산첨사 이광국이 이들이 순절한 장소인 부산진성의 옛터에 이 제단을 만들었다.(다음 백과사전)충장군 정발 장군비.1766년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17839&cid=55777&categoryId=56135증 좌승지 이공정..

부산...부산대 연화문 층급받침 옥개석

박물관 내부 공사 중이어서 촬영하기 쉽지 않았습니다.옥개석낙수면 물매가 급합니다.2단 받침이 있습니다.상부가 훼손된 노반석처럼 보입니다.층급받침연화문이 새겨져 있습니다.장애물 때문에 사진 찍기가 어려웠지만 연화문이 있습니다.연화문이 새겨진 석탑 층급받침https://cafe.daum.net/moonhawje/MebK/4142024.03.28

부산...반고사지 석불좌상. 석탑 부재

울주군 반고사지에서 반출된 석불로 전합니다. 2008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6386409대좌는 후보백호공, 나발, 상호는 훼손이 심합니다이중착의?, 삼도가 있으며 선정인 스인?처럼 보입니다.9세기 후반 즈음일까요?탑신석반이 잘린 상태이며, 반고사지에서 옮겨온 부재로 알려져 있습니다.길쭉한 안상 속에 사천왕상으로 추정되는 상을 새겼습니다.2024.03.28 참고로 반고사지에는 다른 석탑재가 남아 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905

부산...부산대박물관 오층석탑

부산대 박물관 야외전시장아직 답사하지 못한 실내를 둘러보기 위해 2008년 이후 다시 들렸으나 공사 중이었습니다.2008년 사진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375-1번지 일원에 있는 사지에서 옮겨온 석탑입니다.사지에 관한 연혁은 알려지지 않으나 대곡사지로 전합니다.기단부. 4층 옥개석과 탑신석, 상륜부는 후보한 부재 같습니다.단층 기단부후보하였습니다.초층탑신석. 사천왕상사천왕상북방 다문천왕만 보탑을 들고 있고, 다른 사천왕은 모두 칼(?)을 지물로 들고 있는 것 같습니다.서방(?). 칼북방 다문천왕. 보탑탑신부탑신부 구성이 흥미진진합니다. 초층탑신석. 초층 옥개석, 2층 탑신석은 별석2층 옥개석과 3층 탑신석 일석 3층 옥개석 별석4층 탑신석과 4층 옥개석 일석(후보물로 추정)5층 탑신석과 5층 옥개석  일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