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강릉시 44

강릉...등명사지 오층석탑. 석탑부재

2010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231오층석탑2층 기단의 오층석탑으로 이른바 불대좌형 기단부를 갖춘 고려시대 석탑입니다.지대석, 기단부하층기단 중석의 안상, 갑석의 복련, 귀꽃상층기단 중석의 우주는 넓습니다.상층기단의 복련, 1단 굄탑신부, 상륜부초층 탑신석은 별석. 2층 이상은 탑신석과 동일 층 옥개석이 일석입니다. 동일층 탑신석과 옥개석이 일석인 석탑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88 옥개 받침은 아래로부터 3*3*3*3*2단, 절수구가 있습니다.초층 탑신석 문비와 자물쇠양각의 추녀?옥개석 하부 풍탁공사절된 처마선1단 탑신 굄, 탑신석에는 우주 모각노반노반 위에 복련과 귀꽃이 장식된 사례가 또 있는지.앙화..

강원도/강릉시 2024.06.02

강릉...관음리 오층석탑. 석조 대좌

2006년, 영양에 귀촌한 종화 님과 들렸었습니다.아래 글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참 어렵게 찾았던 기억, 마을 촌로와 정겹게 나누었던 이야기가 스쳐갑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770481안국사지.성산면 관음리 774번지 일원"『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 「사찰조」에 ‘안곡사재성산면안곡동 년대미상 당우소실 단석탑고오척삼촌폭삼척 전면각불상석 비고이척 지장존석조잔류 금폐(安谷寺在城山面安谷洞 年代未詳 堂宇燒失 但石塔高五尺三寸幅三尺 全面刻佛像石 碑高二尺 地藏尊石造殘留 今廢)’라는 기록과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에 ‘성산면 관음리사지(觀音里寺址), 강릉 서쪽 약 2리 구산리의 북 약 10정(町) 관음리 전중(田中)에 있다. 초석, 석원(石垣), 파손된 5층석탑 및 석..

강원도/강릉시 2024.05.26

강릉...보광리 석조여래입상

보광리 석조여래입상15년 전 스님의 안부가 궁금했습니다.기우였습니다. 그때 보다 더 젊어진 듯 보였으며, 나와의 일화를 기억하고 계셨습니다.2010년 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228하대석하단석, 상단석팔각 중대석, 상대석광배와 불신이 일석광배화염문, 덩굴문차 한 잔 하고 가라며 붙들었지만타이어 펑크로 자동차 서비스를 기다리는 중이어서...스님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2024.04.04

강원도/강릉시 2024.05.25

강릉...도진산 황장금표

도진산 황장금표 都眞山 禁標강릉시 왕산면 고단리 960번지. 정선과 강릉의 경계지점에 자리한 조선 후기에 세운 봉산 표석입니다.금산과 봉산은 우수한 산림자원이 분포했던 지역을 표시하는 표석으로, 나라에서 필요로 하는 소나무, 참나무, 밤나무 등의 목재 자원 벌채를 막기 위하여 세웠습니다.명문도진산 주백(리)都眞山 周百里북거O고(개)    北距O古介십오 十五 도진산 주위 100리는 소나무를 함부로 벨 수 없는 구역으로 금표가 세워진 곳으로부터 북쪽 O고개에 이르는 15리가 경계구역임을 의미합니다 * 周百里현장 안내문 한글 표기는 주백회(周百回)로 기록되어 있습니다.도진산都眞山현재 도진산 이름은 확인되지 않습니다.다만, 금표가 발견된 위치와 도진이라는 지명으로 미루어 이곳 고단리 일대와 덕우산 일대로 추정합..

강원도/강릉시 2024.05.23

강릉...보현산 보현사

보현사2010년 낭원대사 오진탑비를 목적으로 주마간산식으로 참배하였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7448 오늘은스님의 허락을 득한 후 예전 답사에서 놓쳤던 옛님들을 세세히 보았으며, 문화재에 해박한 스님과 중정의 석조 부재에 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 더욱 의미 있는 답사가 되었습니다. 석조 부재2010년. 석탑 부재와 석등 간주석으로 추정되는 석사자 부재만 있었으나, 대웅전 복원 과정에서 발견된 석불좌상, 소방공사 중에 수습된 석조 연화대좌 등이 있었습니다. 대부분 부재들은 낭원대사가 주석했던 고려 초기에 조성된 성보라고 판단해도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석사자 석등 간주석스님은 쌍사자 간주석을 예로 들면서 단정 지을 수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비슷한 사례는 양평 ..

강원도/강릉시 2021.07.28

강릉...보현사 낭원대사 오진탑. 탑비

낭원대사 부도 2010년에 없었던 데크가 담장을 따라 설치되어 있습니다. 낭원대사(朗圓大師) 낭원대사 개청(開淸)은 범일국사의 제자로 사굴산문의 2대 종주입니다. "개청(開淸, 835〜930년)은 사굴산문 승려이다. 속성이 김 씨, 경주에서 출생했다. 8세부터 수재로 알려졌으며, 유학을 공부했다. 출가해 화엄사의 정행(正行)에게 배우고, 강주(康州) 엄천사(嚴川寺)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충청도 금산(錦山)으로 가서 암자를 짓고 3년 동안 경전을 열람하며, 참선했다. 후에 선지식을 찾던 중 법력을 듣고 범일을 찾아가 그의 문하에 머문 지 얼마 안 돼 심인을 받았다. 범일의 입적 후 사굴산문을 지켰지만 이후 여러 차례 위험한 상황이 발생해 강릉 보현사(지장선원)로 옮겨가 사찰을 중창하고, 선풍을 펼쳤다. 개..

강원도/강릉시 2021.07.28

강릉...보현사 부도전

보현사 2010년 답사 후 후 10년이 지나 부도 순례 길에 다시 젖어 들었습니다. 부도전 20여 기 차렷 자세로 2열 종대( 2열 횡대)로 도열한 모습이 주변에 흩어진 부도를 수습하여 자리를 잡은 것을 암시합니다. 지붕을 갖춘 1기를 제외하고 약간 갈쭉한 장타원형의 조선 후기 종형 부도입니다. 탑신과, 보주가 일석, 대좌는 정치하지 않으며 상부에 돋을대를 두르고 홈을 만들어 탑신을 끼운 유형이 대부분이며, 탑신석과 보주 사이 굄과 연주문 돋을대만 차이가 있을 뿐으로 동일 계열 그룹의 장인 작품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해계당 대사 유섬지탑(海溪堂大師 有暹之塔) 오암당 유삼탑(五岩堂 六森塔) 월암당대사 사리탑(月岩堂大師 舍利塔) ㅁ암당 법종 (ㅁ巖堂 法宗) 하월당(荷月堂) 당호 새기지 않음 월ㅁ당대사(..

강원도/강릉시 2021.07.27

강릉...청학사 석조관음보살좌상. 청동보살입상. 청동여래입상 외

개인적으로는 3번째 순례입니다. 2017년 첫 번째 답사에서는 스님께서 석불좌상 외에는 공개하지 않는다고 말씀하셨습니다. 2018년 우리 카페 강릉 답사에서 스님께서 석조관음보살 발원문과 청동보살입상, 청동보살입상을 보여주셨습니다. 그리고 오늘 처음으로 스님께서 석조관음보살을 공개하였습니다. 청학사(2017년) https://blog.daum.net/12977705/8725481 석조관음보살좌상 어제 속초 보광사 주지스님의 배려로 금고 속에 계신 내시 부인의 발원으로 조성한 목조지장보살을 배관하였습니다. 그 감흥을 이어 동행한 노마드님이 청학사 주지 스님께 전화를 하더니 개인 답사 때 뵙지 못했던 청동보살입상을 뵐 수 있다고 힘이 실린 목소리로 말합니다. 이어서 세종아빠님이 아직 미공개인 유희좌의 석조관..

강원도/강릉시 2021.07.27

강릉...대관령 박물관 미륵불과 진천 금암리 석불입상

석불입상(미륵불) 전시 위치로 판단하면 대관령 박물관에 전시 중인 불교 성보의 상징입니다. 예전 답사에도 그랬듯이 낯이 익다는 느낌을 지을 수 없었지만 미륵불 설명문만 하염없이 바라보아야만 했습니다 박물관 홈페이지에는 미륵불입상이라는 존명과 통일신라시대라는 내용 외에는 어떤 설명도 없습니다 이 사진은 2016년 답사 사진입니다. 답사 이틑 날 세종아빠님과 대관령 박물관 미륵불을 뵈러 가면서 노마드 님이 찍은 사진을 보더니 낯이 익은 불상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는 진천의 금암리 석불입상을 떠올립니다. 대단한 기억력이 아닐 수 없으며, 높은 안목의 발로이겠지요. 진천 금암리 석불입상(2012,06.16일 사진) 대관령 박물관 석불입상(미륵불)과 진천 금암리 석불입상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문화재청 발간, ..

강원도/강릉시 2021.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