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목포시 10

목포...목포 객사

목포진지(木浦鎭址) 세종 때인 1439년 주변 바닷길을 지키기 위해 설치하였습니다. 1501년 연산군 때 성벽이 지어졌으며. 1895년 군사 제도 개편에 따라 폐지되었으나 1897년 목포 개항과 더불어 주요 시설들이 대한제국의 관청으로 활용되었습니다. 2014년 역사공원으로 복원되었으며, 조선시대 만호가 주둔해있었던 수군진이어서 이곳의 행정명이 만호동이 된 것 같습니다. 목포 객사는 목포진 터에 복원되었습니다. 목포 객사 삼문 객사 익히 아실 테고... 우리나라의 객사 https://blog.daum.net/12977705/8726107 전패(殿牌) 망궐례(望闕禮)를 올릴 때 봉안한 패 직접 본 것은 처음이었습니다 수군절도사 신광익 선정비(1763년), 만호 방대령 선정비(1714년) 목포진 유적비 객사..

목포...약사사 일제강점기 석불

만호동 복원한 목포진 아래에 위치 대웅전 일본 사찰의 형태입니다. 스님이 계시지 않아 중정의 지장보살상, 수조, 88 야불만 참배하였습니다 지장보살입상.1935냔 명문 西宗兵衛 坡木 昭和十年十月 석조 향로. 1930년 명문 昭和五年四月 西寶丸 西宗兵衛 松田六平 坂本吉三郞 88 야불 우리나라의 88야불 http:// 우리나라의 88 야불 https://blog.daum.net/12977705/8727086 약사사에는 1947년에 조성된 칠성도가 있으나, 대웅전과 전각 참배는 하지 못했습니다 스님이 부재중인 사찰, 예전에는 자유롭게 답사했는데, 이제는 매우 조심스러은 세태가 되어 버렸습니다 2021.09.03

목포...보광사 석조석가여래좌상

보광사 목포 유달산에 위치, 1928년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습니다 석조여래좌상 호분을 입혔습니다. 소발, 장방형의 상호, 백호가 있습니다. 우견편단의 법의, 승각기는 수평으로 매듭지었으며, 항마촉지인입니다 대의 자락이 무릎을 덮고 있으며, 길상좌입니다. 불신에 비해, 불두가 큰 편이며, 무릎이 높아 안정감이 있습니다. 수미단은 후보물로 추정되며, 마애불을 떼어 냈다는 자료도 보입니다. 조성시기는 일제강점기, 그 이전인 조선 후기 등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고 합니다. 측면 본래 마애불이었다는 이야기의 진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2021.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