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46

산청...(傳)구형왕릉.김해 김씨 장보암(藏譜巖)

간만에 다시 찾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7051장보암(藏譜巖)구형왕릉 맞은편 위치, 오늘은 올라가지 않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7056 산청...김해 김씨 장보암(藏譜巖)김해 김 씨 장보암 金海金氏 藏譜岩 산청 구형 왕릉 맞은 편 암벽에 있습니다. 구형왕릉 김해김씨 장보암 金海金氏 藏譜岩 전쟁 등의 유사시에 족보를 보관하였던 장소를 의미합니다. 전쟁 후12977705.tistory.com 우리나라의 족보바위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41 2024.0511

산청...대원사 다층 석탑

대원사는 여러 번 순례하였으나 석탑이 공개되고 첫 방문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353https://12977705.tistory.com/8724998 삼장사지 부도 2기도 대원사로 이건 하였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992대원사 다층 석탑이층 기단, 8층 탑신부, 상륜부를 갖추었습니다. 한때 통일신라 석탑으로 알려졌으나 조선 후기(문화재청, 산청군청 등의 조선 전기 표기는 오류)에 복원한 다층 석탑입니다. 1989년 복원하면서 1784년 중건 때 넣은 사리와 사리함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기단부(라호르 님 사진) 탑구하층기단4 매석으로 결구. 저석. 중석, 갑석이 일석입니다.중석에는 탱주 1주, 우주 모각, 각호 2단 중석 굄..

완주...수만리 마애여래좌상

수만리 마애여래좌상안도암 석탑재 답사 후 2014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286연화좌?항마촉지. 길상좌대의가 대좌를 덮은 상현좌 같습니다.상호는 약간의 양감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선각으로 표현하여 평면적 느낌입니다.소발, 육계가 높고 백호가 있습니다. 반개한 눈 두툽한 코, 꽉 다문 입, 짧은 귀, 삼도는 두 줄로 새겼습니다.옛 답사기에는 통견으로 기록하였지만, 이중착의법으로 보입니다. 옛 답사기는 이렇게 마무리하였습니다."이토록 당당하고 우직한 부처를 새긴 장인 집단은 누구였을까? 문화재청을 비롯 여러 자료에는 통일신라 후기, 고려초기 등으로 각기 달리 묘사되어 있다. 왕조의 레임덕이 만연한 통일신라 후기에 어떤 사람이 이곳 깊은 대부산 골짜기에..

완주...안도암 석탑 탑신석. 기단 중석

안도암수만리 사지 마애여래입상 100여 미터 아래에 위치합니다.주변에서 발굴된 유물로 판단하면 고려중기~조선 후기까지 향화를 피었을 것으로 추정하며, 현재 건물은 한국전쟁 이후 다시 지은 건물이라고 합니다. 암자에는 사람이 거주하는 것 같았으나 오늘은 빈 암자이었습니다.수만리 마애불은 이미 답사하였으나 암자에 석탑 부재가 있는 것은 다녀온 이후에 인지하였습니다.탑신석 2매는 암자 전면 주초로 사용되고 있었습니다.탑신석(1)초증 탑신석으로 추정되는 석조 부재에는 희미하지만 우주가 모각되어 있습니다.탑신석(2)2층 탑신석으로 추정되며 우주가 있습니다.돌확, 기와 조각이 산포 되어 있습니다.산신지위 앞 두 부재는 석탑 기단 중석으로 추정되지만 묻혀 확인 불가합니다.문화재청에서 발간한  한국의 사지에는 암자에서..

성주...관왕묘

성주 관왕묘고향 친구들 모임에 앞서 잠시 들렸습니다.성주 관운사관왕묘와 나란히 자리 잡고 있으며 관왕묘를 배향하는 원당사찰입니다. 2013년 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939하마비관성전.모의당관성전정료대관성전 내부2001년 박천수 목각장이 조성한 관우. 관평. 주창상입니다.관우주창 장군관평대군모의당모의당 내부 관왕묘를 건립하는 까닭은 오나라 여몽의 계략에 빠져 전사한 관우를 그곳의 무인들이 무신으로 추앙하여 전쟁의 승리와 국가의 태평, 평안을 기원하는 전당을 건립하여 수호신으로 배향하였습니다. 그런 믿음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나라 장군들이 우리나라에도 관왕묘를 세운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관왕묘https://cafe.daum.net/moonhawje/Me..

경산...영남대 야외박물관 석탑부재

2015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4650https://12977705.tistory.com/8724649석탑 부재(1)기단갑석. 탑신석.옥개석석탑부재(2)탑신석 2. 옥개석2석탑부재(3)기단 갑석. 기단 중석석탑부재(4)지대석. 하층기단. 상층기단 중석. 상층기단 갑석. 탑신석석탑부재(5)기단 중석. 기단 갑석석탑부재(6)탑신석 1. 옥개석 32015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4648석탑부재(7)2024.04.28

경산...영남대 박물관 야외전시장 삼층석탑(2)

2015년 글에는 용수사지 삼층석탑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645삼층석탑이층 기단의 삼층석탑으로 많은 부재를 후보 하였습니다.하층기단 중석, 2,3층 탑신석, 3층 옥개석, 노반석은 후보물입니다.지대석기단저석과 중석은 일석으로 탱주 1주와 우주 모각기단갑석에는 약간의 물매가 있으며 각호각 3단 기단중석 굄을 조출상층기단 중석엇물림 결구, 탱주 1주, 우주 모각상층기단 갑석2단 탑신굄, 양각의 추녀, 오목형으로 사절, 부연이 깊습니다.탑신부초층 탑신석개석, 1~2층 옥개석 본래 부재초층탑신석남북면에 문비와 자물쇠 양각, 우주 모각옥개석전층 4단 층급받침, 절수구, 상부  2단 탑신 굄삼층석탑많은 부재가 후보 되었지만 각호각 3단 기단중석 괴임, 탱주..

경산...영남대박물관 야외전시장 삼층모전석탑

2015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4646삼층모전석탑삼층석탑(1)과 박물관 정면에 나란히 자리하고 있습니다. 석탑형 모전석탑의 옥개석을 기준으로 삼아 경주 남산동 동탑, 서악리 삼층석탑, 용장계 못골 삼층석탑의 석괴형(石塊形) 기단부를 모본으로 복원한 것 같습니다.경주 남산동 동탑경주 서악리 삼층석탑경주 용장계 못골 삼층석탑초층탑신석과 옥개석 3기만 본래부재입니다.얕은 감실, 인왕상, 후보한 1단 별석 탑신굄으로 판단하면 서악리 삼층석탑과 유사합니다.감실과 인왕상옥개석 2단 층급받침낙수면은 3단입니다.상륜부 노반석은 복원되었습니다.삼층모전석탑이른바 석탑형 모전석탑입니다.옥개석 층급받침, 초층탑신석 감실과 인왕상을 고려하면 통일신라 시대의 경주 남산동 동탑. 서악리 삼층..

경산...영남대박물관 야외전시장 삼층석탑(1)

영남대 박물관 야외전시장오늘은 천마아트홀에서 진행하고 있는 어린이 뮤지컬 관람하기 위해 딸이랑 외손녀랑 함께 왔습니다.모녀가 입장 후 혼자 옛님들과 봄날을 즐겼습니다.2015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4647삼층석탑많은 부재가 후보한 모습이며 원래 위치 등의 안내문은 없습니다.기단부후보된 하층기단은 통돌, 저석 중석 갑석이 일석이며 탱주 2주, 우주가 모각되어 있습니다.2단 각형 중석 굄을 조출하였고, 우주 1주, 탱주가 모각된 상층기단 중석은 감입식 결구로 일부 후보하였습니다.상층기단 갑석 하부에는 부연이 있습니다.상층기단 갑석약간의 물매가 있고 각호 2단 굄이 있습니다.탑산부옥개석 3기는 본래부재, 우주가 모각된 탑신석은 본래부재 여부가 모호합니다.전층 4단 층급받..

청도...대산사 삼층석탑

대산사대부분 답사객이 주지하듯 암반형 지대석에 비보 목적으로 돼지상을 새긴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2012년 글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718자연석 지대석하층기단상층기단 중석상층기단갑석탑신부복발암반에 새겨진 돼지 얼굴건너편 산세가 뱀 형국이어서 비보책으로 조성 풍수 비보책으로 조성된 동물상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36측면측면이러한 사례는 창원 성주사에도 있습니다.창원 성주사 계단 끝에 조성창원 성주사기단부통돌의 하층기단(별석 굄?, 기단 저석?)상층기단 중석 우주 모각상층기단 갑석 부연 생략, 낙수면 물매 급하도 전각의 반전탑신부와 기단 갑석, 상륜부탑신부초층 탑신에 비해 상층 탑신서 체감이 심함탑신석에 우주 모각, 1층 ..

밀양...소태리 오층석탑

이상하다여러 번 다녀왔는데 2006년 글만 남아 있습니다.https://cafe.daum.net/moonhawje/DjZP/466단층기단 오층석탑1109년 조성기단부(작은나무 님 사진 20210620) 높은 기단 저석 겸 지대석기단 중석의 보조 우주와 보조 탱주탑신부에 비해 넓은 기단부를 좁게 보이려는 시각적 고려라고 했던가요?기단 갑석 전각의 상하 반전, 내림마루 표현, 부연이 있습니다.별석 2단 탑신 굄아래 별석 굄에는 안상을 새겼습니다. 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이 기억납니다.망탑봉 삼층석탑망탑동 삼층석탑 굄의 안상탑신석 우주에 면석이 물려 있습니다.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41화문이 장식된 풍탁공서천 지현리 삼층석탑, 성주 동방사지 칠층석탑에도 나타납니..

대구...대구 향교 석탑부재, 석불대좌, 광배

대구 향교옛글(2013년)이 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081 오늘은 연구산 거북바위 답사 후 모임 장소로 가면서 향교 석탑부재를 찾았습니다.석탑 옥개석(1)2013년 글에는 옥개석 2기가 대웅전 주초로 활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4단 층급 받침. 뒤집힌 상태입니다옥개석(2)2단 각형 탑신 받침2024년 4월 18일명륜당에서 예전에 알지 못했던 석탑 탑신석 1기를 찾았습니다.탑신석우주 모각, 통돌이며 초층 탑신석으로 추정됩니다.그리고 석불대좌로 추정되는 부재와 중앙에 홈이 있는 석조부재가 있었으나, 광배로 추정되는 부재는 장애물이 있어 사진에 담지 못했습니다.팔각대좌저석,중석, 갑석 일체형각호각 3단 굄, 내림마루, 중석에는 안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대구 ..

대구...옥련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外

옥련암2014년에 순례하였습니다.오늘은 지인의 이모 님이 큰스님이라고 말씀하여 인사 여쭙고, 불화 몇 점 살펴보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349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선후기 추정석조여래좌상. 조선후기 추정소조관음보살좌상. 근대 추정백의관음도.1936년今此佛事緣化 所秩 比丘尼敬念 乾命 丁巳生崔千奉 乾命乙卯生全東爀 乾命乙亥生 金海吉 乾命 癸酉生柳長煥 乾命甲午生吳桂淳 坤命 甲申生金氏 乾命丙戌生崔氏 乾命戊 戌生申氏 比丘尼敬覺 亡江陵劉氏證明比丘 朴漢永 畵師比丘 金春澤 佛紀二九六三年四月 八日  乾命:남자 신도, 坤命:여자 신도칠성도. 1952년世尊應化二九七九年 壬辰九月二十日 大邱市鳳山洞玉蓮庵 奉安 緣化秩 證明無佛 性觀 誦呪平山宗秀 持殿 道鎬 金魚 漢宗 別座 供司 住持 基澤 施..

합천...대동사지 석조여래좌상. 백암리 석등

2007년. 2018년 이후 다시 들렸습니다.오류도 보이지만 옛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6124석조여래좌상. 경남 유형문화재. 통일신라석조여래좌상광배를 제외하고 대좌와 불신이 남아 있습니다.상호는 훼손이 심합니다.나발, 높은 육계, 삼도, 통견, 승각기, 군의 매듭, 손은 훼손이 되었으나 항마촉지인 같습니다.하대석 중대석연화대좌와 두광을 갖춘 입상입니다.각 면에 새겨진 상은 신장상(국가유산청. 합천군청), 보살상(한국의 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등으로 다르게 기록되어 있습니다.상대석연화문이 3중으로 장식백암리 석등. 보물. 통일신라사지에 흩어져 있던 부재를 조합하여 현 위치에 세웠다고 합니다.하대석복판단엽, 화문이 새겨져 있습니다.2단 받침. 팔각 중..

사천...다솔사 보안암

2008년 이후 다시 들렸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802345 사진 몇 장 첨부합니다.예전에는내부 참배가 가능했으나 지금은 안전을 고려하여 출입을 금했습니다.2008년에는 석굴에서 예불을 했었는데...석조나한상은 뵐 수 없고...지장전산행객들의 산행기에 등장하는 바위를 찾았습니다시루떡 바위전망 바위이제는옛인연이겠지요 다시 찾을 길없는... 2024.04.14

사천...봉명산 다솔사

대양루. 경남 유형문화재 2008년 다녀온 글이 있으며 이후 부도전, 금혈비 답사도 있었습니다.오늘은 보안암 순례 목적으로 먼저 다솔사를 참배하였으며 옛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802342중건비.  1704년(숙종 30). 채팽윤(蔡彭胤)이 글을 짓고 이진휴(李震休)가 썼으며, 제액(題額)은 권규(權珪)가 썼다적멸보궁불단와불. 대웅보전 뒤편에 진신사리를 안치하였습니다.진신사리탑신중도. 1919년. 종무소응진전. 16나한응진전 목조여래좌상(조선 후기?)극락전삼장보살도. 1920년현왕도 1920년칠성도 1920년독성도.산신도. 1920년무량수각, 완당석탑 부재https://12977705.tistory.com/8725833어금혈봉표 (御禁穴封表  고종22年1885..

여주...원라리사지 삼층석탑

삼층석탑여주시 나인브리지 골프장에 있습니다. 사지 현황골프장 조성을 위한 발굴 공사에서 발견된 석탑이며 사지에 관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습니다.그리고 발굴보고서에 의하면 고려~조선시대에 걸쳐 다양한 유물이 발굴되었다고 합니다.삼층석탑이층 기단의 삼층석탑지대석, 하층기단, 상층기단 갑석을 제외하고는 후보 하였습니다.발굴보고서에는 3단 각형 층급받침을 갖춘 옥개석과 일석으로 조성된 탑신석도 있었으나 현재는 보이지 않았습니다.고려시대에 조성된 소형 석탑으로 추정되며 삼층석탑으로 복원하였습니다.기단부하층기단높은 하대저석은 통돌이며 상부에 3단 각형 받침이 있습니다.이러한 하대 저석은 이례적인 유형이며 근처 여주 신륵사 강변의 삼층석탑에서도 확인됩니다.여주 신륵사 삼층석탑하층기단저석, 중석, 갑석중석과 갑석은 일석..

경기도/여주시 2024.06.12

서울...불교중앙박물관 수보회향 展

송광사 불조전 오십삼불도는 칠불도 1폭, 구불도 2폭, 십삼불도 2폭, 오불도 2폭 등 총 7폭으로 나누어 그려졌다. 전각에는 불조전의 건축에 맞게 삼신불과 오방불을 함께 그린 칠불도가 주벽에, 좌우벽에는 구불도와 십삼불도가 각 2폭씩 배치되었고, 전각 문이 위치한 북벽의 좌우에는 오불도가 봉안되었다.오십삼 불도의 구성은  「관약왕약상이보살경(觀藥王藥上二菩薩經) 』에 근거하고 있으며, 오십삼 불의 명호를 부르고 예배하면 사중오역죄(四重五逆罪)가 없어지고 시방세계의 여러 부처님을 친견할 수 있다.불교 미술로 표현된 사례는 많지 않고, 조선 후기에는 과거칠불과 결합된 오십삼 불이 주로 전한다, 송광사 불조전 오십삼불도는 삼신불, 오방불, 오십삼불, 과거불 · 미래불이 함께 그려진 독특한 사례이다송광사 불조전..

서울...옥천암 마애보살좌상(보도각 백불).

보도각 백불목인박물관 답사 후 지근에 있는 보도각을 찾았습니다.백불은 2010년 인연 지었지만 오늘은 일제강점기 석탑을 뵈러 왔습니다.보도각 백불(2010년)https://12977705.tistory.com/8724506 보도각에는 2기 석탑이 있습니다.석탑(1)층급받침이 없는 일제강점기 탑일까요?석탑(2)오층석탑. 일제강점기 석탑 유형입니다.운족형 기단초층 탑신석사방불 봉안, 난간탑신부추녀개인적으로는 일제강점기 석탑으로 분류했습니다.2024.04.10

서울...목인박물관 석불

일제강점기 88개 영장소 불상 검색하면서 목인의 88 야불을 인지했습니다.이후 야외에 석탑 등의 석조유물을 알게되었고 탁경백 박사, 송봉주 박사와 함께하였습니다. 석불우리에게 익숙한 불상은 몇 분 없었고 일본 불상이 대부분이었습니다.그 또한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불상이지 최근에 들어온 상인지 구분할 수 없었습니다.문자가 새겨진 불상이 많이 있었으마 번호가 있는 불상만 88야불로 집계하였습니다. 불상 여부도 모호한 상이 있으나 조성시기와 더불어 읽는 분의 판단에 맡기며 사진 올립니다.민불?백호가 있습니다.불두일제강점기일제강점기중국중국중국중국일제강점기. 50번벅수석조여래입상승상석조야래좌상승상. 목탁을 들고 있습니다.석조여래입상석불나한상꼭두 전시장 앞많은 일본 불상이 전시되어 있지만 접근이 어려웠습니다.일제강점..

서울...목인박물관 석탑 부재

목인 박물관에는 여러 기 석탑 부재가 있습니다.하지만, 몇 기 석탑 부재의 조합인지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야외전시장옥개석 2기를 쌓은 부재. 탑신석 1기. 탑신석 1기와 5기 옥개석을 올린 석탑 부재석탑부재(1)탑신석 1기. 옥개석 5기1,2층 옥개석은 동일 부재, 3~5층 옥개석은 각각 다른 부재로 추정됩니다.5층 옥개석 상부 부재는 탑신석과 일석 또는 노반석으로 추정됩니다.즉, 목인박물관 야외 석탑 부재는 몇 기 석탑의 조합인지 불분명합니다.탑신석. 우주 모각초층탑신석절수구 생략, 3단 층급받침이 깊습니다초층 옥개석낙수면 물매가 급하며, 1단 각형 굄2층 옥개석3단 각형 층급받침2층 옥개석낙수면 물매 급하고, 상부 1단 굄 조출3층 옥개석, 4층 옥개석4단 층급 받침, 전각의 반전4층 옥개석 하부3단..

서울...목인 박물관 문석인. 동자석.벅수

몇 기 석탑 답사 목적으로 찾았는데예상외로 다양한 석조물이 가득했습니다.사진으로 감상하길 바랍니다. 목인박물관 홈페이지http://www.mokinmuseum.com/중국중국중국중국벅수무인석벅수 같습니다. 망주석 귀부비석. 1959년봉황과 용계룡산 불암사신랑 신부신랑 신부제주 동자석동자석동자석동자석동자석동자석동자석술잔을 든 동자석술병을 든 동자석동자석벅수벅수삼신할머니벅수벅수벅수제주도 동자석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