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영동군 33

영동...천태산 영국사

이번이 3번째 순례길오늘은 동호회원 들과 함께 하였습니다. 옛글로 대신하며 사진 몇몇 장 올립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932대웅전만세루에 걸린 현판에 따르면 1980년 해체 보수하였습니다.만세루 현판불단영산회불탱은 모본이며 진본은 불교중앙박물관에 있습니다.목조보살좌상대웅전 석가여래 우측 협시보살로 모셔진 관음보살좌상이다. 조각승 여찬(呂贊)이 제작에 참여했고 단아한 양식의 18세기 전반 충북지역의 불상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존상 대좌에 적혀 있는 조성기에는 1702년과 1711년의 제작 기록이 있고  보살상 대좌에도 좌, 우의 묵서명이 남아 있다.목조대좌별잠바 님 설명 중에 건축 용어 외에 꼭 기억해야지라고 생각했던 것이 있었는데...건륭26년명 범종 乾隆二..

영동...송호관광단지 석탑.석불입상

여러 차례 답사하였으며 카페에 2 번 포스팅하였습니다. 최근 2019년 포스팅입니다(2010년 글도 링크)https://12977705.tistory.com/8726595석탑몇 기 부재 조합인지, 후보물은 어디인지 분명하지 않습니다.일반적인 설명은 위 링크 참조 바라며 디테일 몇 장 올립니다탑신석일부 보수 되었지만 조명을 비추니 탑신석의 우주, 문비, 자물쇠가 뚜렷합니다.옥개석 처마가 활처럼 휘어져 있습니다.아랫면이 사절되어 있고 층급받침이 깊습니다.백유선 님은 아산 오봉사지 2층 옥개석이 떠오른다고 합니다 오봉사지 삼층석탑https://12977705.tistory.com/8727147석불입상오른손의 지물이 보이나요? 예전 답사기에는 약기로 판단하고 약사여래불이라고 했습니다.저는 여러 사람괴 이야기를 ..

영동...심원리 승탑

2007년 첫 인연영동 읍내 향토민속 자료관 옥외에 지봉리 석불과 함께 계셨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7756772019년 국악체험관의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실내에서 뵈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775677 2024년 옥외전시관에 있었습니다.지봉리 석불은 영동 청룡사(?)로 옮겨 봉안하고 있다고 합니다. 심원리 승탑이른바 연봉형 승탑입니다. 묻혀 보이지 않는 기단부는 저석, 안상이 새겨진 중석, 갑석이 일석이며, 복련이 새겨진 탑신 괴임과도 하나의 부재입니다. 탑신에는 주인공을 새기지 않았습니다. 연봉형 승탑은 경남 고성 옥천사 월파당 탑과 평택 약사사 승탑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기단부(2019년 촬영) 고성 옥천사 월파당 탑평택 약사사 ..

영동...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2019년 마지막으로 다녀왔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6257오늘은 동호회 답사예전 답사에서 놓쳤던 부분을 조명을 비추어 확인해 보았습니다.(사진은 동호회원들의 사진으로 무단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지정 보물입니다" 옛 석은사지에 세워진 통일신라시대의 석불입상으로 현재 기와지붕만을 씌운 누각 안에 서 있다. 직사각형의 네모나고 평평한 돌에 새겨진 이 불상은 중앙의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입상이 배치된 삼존불(三尊佛) 형식을 이루고 있다.본존불은 민머리 위에 작은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있고, 둥근 얼굴에는 미소를 띠고 있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입은 두꺼운 옷은 가슴에서 U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사이에는 ▽형 모양의 띠매듭이 있다. 옷주름선은 오른손 아래..

영동...돈대리사지 석탑재

상촌마을 이른 아침 산촌의 적막을 깨는 승용차의 출현에 의아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어르신이 다가왔습니다. 최대한 공손하게 고개를 깊게 숙인 후 '옛 절터'를 찾아왔다고 방문 목적을 말씀드렸더니, 그제야 긴장감이 풀린 얼굴로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다며 사지를 가리킵니다. 돈대리 사지 문화재청 발간 한국의 사지에는 쌍림사로 비정한다는 내용이 실려있습니다. "돈대리 사지는 기존 조사 보고서에 상림마을 서쪽 ‘상림골’ 입구 경작지에 있다고 한다. 또 경작지에는 건물지 석축으로 추정되는 2단 석축이 남아있고, 주변에 어골 문, 복합문, 무문 와편이 수습되어 고려에서 조선시대에 사찰이 운영되었던 곳으로 보인다고 한다. 그러나 조사 결과 상림마을 주민들은 이곳이 ‘雙林寺’로 전해진다고 한다. 쌍림사는 『新增東國輿地勝覽』..

영동...송호관광단지 석탑.석불입상

마니사지 석탑.석불천태산 가선리사지 답사 후 동행하였던 사처포님.또르님에게 양산초교 이리사지 석탑.송호관광단지 마니사지 석탑.석불을 안내했습니다그냥 스쳤다간 후환(?) 두려웠거든요 ㅎㅎ오류가 보이지만 2010년 글을 가져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090여의정부연을 깊게 표현초층을 제외한 상위 탑신과 옥개석이 일석예전 답사에서 놓쳤던 석탑 하층기단 갑석(?)이 보입니다2019.12.13

영동...지봉리 석불좌상.심원리 부도.연화대좌

예전에는 영동 읍내에 있었습니다.지금은 심천면 고당리 국악체험관의 향토민속자료전시관(국악로 18) 실내에 전시 중입니다.지봉리 석불좌상광배와 석불좌상은 동일 부재 여부가 불투명합니다.설명문에 의하면 지봉리에는 좌상과 광배가 있는 입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불상도 마모가 심하여 원형 확인이 어려우며 마치 이스트섬 모아이석상 분위기 입니다.상호를 지나치게 크게 복원하여 균형을 잃었습니다.광배신광 외연에는 화염문을 새긴 듯 하지만 분명하지는 않습니다.추풍령연 지봉리에서 옮겨 불상으로민초들은 할아버지 미륵으로 칭하였다고 합니다.추풍령면 신안리에는 할머니 미륵 불리는 신안리 석조보살입상이 남아 있습니다.신안리 보살입상은 고려전기 작품으로 전하며, 지봉리 석불입상은 그 이후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자료는 찾지 못 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