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의 88 불상은 탐문에 실패하고
전시실의 강화동종,선두포축언시말비,고려 청자, 불교문화유산 몇몇 점을 둘러보았습니다.
청련사 원통암 감로탱(모본)
문화유산청 등재 원통암 감로탱(진본). 1906년
금동여래입상. 통일신라
강화읍 대산리 출토
금동삼존불. 고려
강화 관청리 출토
선각불상경(線刻佛像鏡). 고려
강화 용정리 출토
전면 윤왕좌 수월관음보살좌상. 명문. 鄭氏年二十三共眞
후면 아미타여래(관람객은 볼 수 없다)
강화 동종
강화산성 남문에 걸려있었던 종
문화재청 자료에는 1711년 사인비구가 주조한 종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현장 설명문은 모호합니다
현장 설명문
1688년 강화유수 윤지완 처음 주조
1711년 강화유수 민진원이 옛 종을 녹여 새로 주조
옛종. 사인 비구
새로 조성 종. 조신
설명문에 따르면 사인비구는 1688년 옛 종을 만들었습니다.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사전
1711년작 강화동종은 사인을 계승한 후배 장인인 조신에 의해 제작된 작품이다. 동종 종신에 “강희 50년 신묘 4월 일 강화정족산성조성예입 구종파철 중 2200근 첨입철 4320근 합 6520근 … 창시 유수윤공지완 … 유수민진원 … 개조 … 연화질 야풍 5좌 구종 도화원 가선 총섭 사인 차조 도화원 가선 조신 극련 여석 혜석 계일 사익 수한 수민 묘잠 선등 자선 홍찬 삼익 월담(康熙五十年 辛卯四月日 江華井足山城造成曳入 舊鍾破鐵 重二千二百斤 添入鐵 四千三百二十斤 合六千五百二十斤 … 創始 留守尹公趾完 … 留守閔鎭遠 … 改造 … 緣化秩 冶風五坐 舊鍾都畵員 嘉善摠攝思印 次造都畵員嘉善祖信 克連 呂釋 惠釋 戒日 巳益 守汗 守敏 妙岑 先登 自先 弘粲 三益 月淡)”이라 양각된 주종기(鑄鍾記)가 남아 있어, 1711년(숙종 37) 4월 옛 종(1688년 제작)을 파종한 철 2200근에 철물 4320근을 새롭게 더하여 강화 정족산성에서 조신의 주도 하에 극련, 여석 등 모두 14명의 주종장이 참여하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용뉴. 두 마리 용
고려 입상화문 대신에 턱을 두었습니다.
종견에 당초문(?),
종신 4개 연곽, 9개 연뢰. 중앙 두 줄 횡선. 명문
하대의 당초문
사인비구 조성 동종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37
용뉴. 두 마리 용
당초문
횡선. 명문
범종에서 종신의 두 줄 횡선은 흔치 않은 것 같습니다.
하대 당초문(?)
선두포 축언 시말비(船頭浦 築堰 始末碑). 1707년
1706년 강화유수 민진원이 왕명으로 선두포 제방공사를 마치고, 공사과정을 기록하여 1707년에 세운 비석으로 2010년 박물관으로 옮겨왔습니다
명문 번역문
일정에 쫓겨 관심 분야 몇몇 점만 사진에 담은 주마간산 답사이었습니다.
2024.08.07
'인천광역시 > 강화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사기리 탱자나무 (0) | 2024.09.05 |
---|---|
강화...고려산 백련사 (0) | 2024.09.04 |
강화...강화역사박물관 석조여래불두, 석조연화대좌 (0) | 2024.09.02 |
강화...전쟁기념관 하마비. 금표 (0) | 2024.09.01 |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0)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