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455

보은...원정리 삼층석탑

원정리 삼층 석탑여기도 4 번째 순례입니다. 2012년 두 차례, 이후 달넘새 님과 답사하였고, 오늘 동호회원들과 함께 했습니다. 이제 광산 자리에는 나무가 식재되어 숲을 이루었고 흉물스럽게 방치되어 있던 채굴 기계는 철거되고 없었습니다.차에 폰을 두고 올라간 탓에 이 사진(2012년)을 제외하고는 동호회원(이기회, 순간포착) 사진입니다. 원정리 삼층석탑(2012년)https://12977705.tistory.com/8723806기단석이 한돌(一石)별석의 3단 층급받침왜소한 탑신부...옥개석에 비해 굵은 전층 3단 각형 층급받침맨 위 부재는 노반석이 아닌 자연석...기단부지대석 겸 하층기단 저석기단 중석, 갑석이 일석부연이 생략된 물매 없이 평박한 기단갑석별석 3단 층급받침경주 남산동 삼층 모전석탑. 경..

보은...고봉정사 능성구씨 보갑(譜匣)

2019년 까치발로 바라보고 발길 돌렸으며 오늘은 동호회원 들과 함께 했습니다.고봉정사(2019년) 옛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6217"고봉정사는 조선 중기 김정이 학문을 연마하고 즐기던 곳에 최수성이 고봉정을 세웠다. 이름은 김정이 삼파연류봉을 고봉이라고 하고 올라가 즐긴 데서 비롯되었으며, 중종 14년(1519) 기묘사화 이후에는 구수복이 은거하면서 학문을 연마하였다. 그 뒤 정자가 낡자 구수복의 5 세손인 구일봉 봉우리 아래로 옮겨 지으면서 지금의 건물로 세웠다 한다."우암 송시열 글씨고봉사최수성 선생의 후손인 최규하 전 대통령 글씨고봉정사 향 우측  처마 아래에 걸린 현판입니다.마지막 두 글자를 해독 못하였으나 답사 후, 지인인 이영규 선생과 김주부..

보은...법주사 복천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복천암최송설당 마애각자 사진 촬영을 위해  2017년이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 목조아미타 삼존은 2015년 이른 아침에 인연 지었지만 지금이나 그때나 사진이 엉망이군요. 옛글로 대신합니다 복천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2015년)https://12977705.tistory.com/8724726대세지보살. 아미타여래. 관음보살법당이 1733년 화재로 소실된 이후, 1735년부터 1737년까지의 중창불사 때에 법당과 함께 조성된 상입니다. 良工. 演機(문화재청.아래 조성문에는 溟機 ), 斗策, 守性, 超鵬, 守堅, 廣鵬 아미타삼존불 조성문願文: 忠淸左道報恩縣地東嶺俗離山福泉寺彌 陀左右觀音勢至三尊佛造成願文」若夫九類雖異 一性本同而衆生在迷而心心皆謁仰風化之」心諸 佛在悟而願願皆度生興悲之願令諸人人勸善歸 樂」其途雖殊殊願心同也玆..

보은...법주사 최송설당 마애각자

복천암동호회원들이 법주사를 답사하는 동안 산내 암자인 복천암과 일주문 근처에 있는 최송설당 마애각자를 찾았습니다. 송설당 마애각자는 2023년 졸저 '마애부도 마애탑'에서 다루었던 내용입니다. 송설당에 대한 글은 김천고에 있는 묘역으로 대신합니다. 김천고 최송설당 묘역https://12977705.tistory.com/8728201복천암 마애 각자극락보전 향 우측 바위. 세로로 새겨진 나무아미타불 상단에 가로로 새겼습니다.조성일자와 누구의 글씨인지 알 수 없습니다.전국에 있는 마애 각자의 글씨체가 동일하여 한 사람의 작품으로 추정됩니다. 경남 창녕 도성암 마애각자는 을묘년(1915년)에 이동로, 고양 북한산에는 을묘년(1915년)에   양동생(養第) 광익(光翼). 김천 청암사에는 경신년(1920년)에 주..

보은...비마라사 석조관음보살입상

비마라사 예나 지금이나 오류가 있지만 2015년에 쓴 옛글이 더 정감 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725바위를 지붕 삼아 바위면에 걸린 풍경참!. 자연스럽지 않나요?바위 법당 안에는 관음보살이 계십니다.앗! 윤왕좌이군요.산신도 계시고석조관음보살입상인근에서 옮겨온 통일신라 시대 하대에 조성된 보살상으로 추정합니다.균형 잡힌 신체 비례, 은근히 들어 난 굴곡 있는 몸매, 아름답지 않는지요?국가문화유산 등급에 구태여 사족을 달자면 최소 보물이상일 텐데, 충북도 유형문화재입니다.광배와 하대석은 결실되었겠지요?대좌와 불신이 일석이며, 목과 복부 부분을 접합하였습니다. 천의는 몸 옆으로 길게 늘어졌습니다. 오른손은 다리에 붙여 천의를 잡고, 왼손은 가슴 부분에 두고 손등을 밖..

보은...삼년산성 보은사 지장시왕탱

보은사오늘이 3 번째 순례입니다.첫 번째는 석불입상을  찾았으나 문이 닫혀 뵐 수 없었고, 2 번째는 전각을 지어 대웅전 밖에 봉안되어 있어 인연 지었습니다. 현재는 스님이 상주하지 않고 관리인이 직접 관리하는 것 같았습니다. 물론 삼년산성은 매 번 자유롭게 거닐었습니다. 석불입상(2019년)석불입상(2024년)삼년산성(2012년) 석불입상과 삼년산성https://12977705.tistory.com/8724719 동호회원들과 함께한 오늘은 처음으로 대웅전을 참배하였습니다.법당의 불화와 삼년산성 사진 몇 장 포스팅합니다.대웅전 불단칠성도산신도신중도석조보살좌상지장시왕도(報恩 報恩寺 地藏十王圖). 충북 유형문화유산유희좌의 지장보살이 눈에 들어옵니다. 금호 약효 스님과 여러 스님이 예천 용문사 지장시왕도를 모..

옥천...용암사 죽량당 마애부도

오늘이 세 번째 순례입니다. 2019년에 다녀온 글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6264목각후불탱목조아미타여래좌상대웅전에 주불로 봉안된 불상입니다. 복장(腹藏)에서 1651년(효종 2)경상도 문경 오정사에서 제작된 다라니경이 발견되었으나, 불상은 그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합니다.마애여래입상마의태자상으로 회자되는 불상입니다. 우리 민속신앙에서는한을 품고 죽은 인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모신 사례가 도처에 있습니다. 마의태자, 최영 장군, 단종대왕, 신립 장군, 임경업 장군... 이제는햇볕에 드러난 정사 보다 달빛에 물든 야사가 더 좋아지는 연배가 되었습니다.추억 반추가 잦은 것도 그러하고.바위군마애여래입상에서 동서삼층석탑으로 향하는 길지금은 데크가 설치되어 있어, 예전과 다..

영동...천태산 영국사

이번이 3번째 순례길오늘은 동호회원 들과 함께 하였습니다. 옛글로 대신하며 사진 몇몇 장 올립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932대웅전만세루에 걸린 현판에 따르면 1980년 해체 보수하였습니다.만세루 현판불단영산회불탱은 모본이며 진본은 불교중앙박물관에 있습니다.목조보살좌상대웅전 석가여래 우측 협시보살로 모셔진 관음보살좌상이다. 조각승 여찬(呂贊)이 제작에 참여했고 단아한 양식의 18세기 전반 충북지역의 불상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존상 대좌에 적혀 있는 조성기에는 1702년과 1711년의 제작 기록이 있고  보살상 대좌에도 좌, 우의 묵서명이 남아 있다.목조대좌별잠바 님 설명 중에 건축 용어 외에 꼭 기억해야지라고 생각했던 것이 있었는데...건륭26년명 범종 乾隆二..

영동...송호관광단지 석탑.석불입상

여러 차례 답사하였으며 카페에 2 번 포스팅하였습니다. 최근 2019년 포스팅입니다(2010년 글도 링크)https://12977705.tistory.com/8726595석탑몇 기 부재 조합인지, 후보물은 어디인지 분명하지 않습니다.일반적인 설명은 위 링크 참조 바라며 디테일 몇 장 올립니다탑신석일부 보수 되었지만 조명을 비추니 탑신석의 우주, 문비, 자물쇠가 뚜렷합니다.옥개석 처마가 활처럼 휘어져 있습니다.아랫면이 사절되어 있고 층급받침이 깊습니다.백유선 님은 아산 오봉사지 2층 옥개석이 떠오른다고 합니다 오봉사지 삼층석탑https://12977705.tistory.com/8727147석불입상오른손의 지물이 보이나요? 예전 답사기에는 약기로 판단하고 약사여래불이라고 했습니다.저는 여러 사람괴 이야기를 ..

영동...심원리 승탑

2007년 첫 인연영동 읍내 향토민속 자료관 옥외에 지봉리 석불과 함께 계셨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7756772019년 국악체험관의 향토민속자료전시관 실내에서 뵈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4775677 2024년 옥외전시관에 있었습니다.지봉리 석불은 영동 청룡사(?)로 옮겨 봉안하고 있다고 합니다. 심원리 승탑이른바 연봉형 승탑입니다. 묻혀 보이지 않는 기단부는 저석, 안상이 새겨진 중석, 갑석이 일석이며, 복련이 새겨진 탑신 괴임과도 하나의 부재입니다. 탑신에는 주인공을 새기지 않았습니다. 연봉형 승탑은 경남 고성 옥천사 월파당 탑과 평택 약사사 승탑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기단부(2019년 촬영) 고성 옥천사 월파당 탑평택 약사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