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461

옥천...노비 헌비 무덤. 옥주사마소 석탑부재

계집종 헌비 무덤계집종 헌비 비석. 옥천군 이원면 원동리 야산(원동1길 6)오래전 답사동호회 푸른바다 님 포스팅을 보고 인지했지만 이제 인연 지었습니다. 푸른바다님 포스팅과 추후 보내온 주변 환경 사진을 세세하게 살폈지만 현장에서 제법 알바를 했습니다. 처음 바로 찾은 비석이 헌비의 비석이었지만 명문이 너무 많아 지레짐작으로 노비 비석은 아닐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는 주변 산을 포함 온 산을 헤매었고 결국 포기하고 돌아 나오면서 만났습니다. 희열과 한탄!!!명문우암 송시열이 세운 비로 전합니다. 贈 領議政 睡翁宋公 증 영의정수옹송공乳母憲菲之墓 유모헌비지묘子姜叟文墓在左 자강수문묘재좌崇禎六十一秊 二月立 숭정육십일년이월입 영의정으로 증직 받은 수옹 ..

증평...광덕사 석조여래입상. 석탑부재

2011년 당시에는 보호각이 없었습니다.옛글로 대신하며 사진 몇 장 올립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453 오늘은 석탑 부재 확인 차 들렸습니다. 한국의 사지. 한국의 사찰문화재에 실린 석조 부재입니다.석불 맞은편에 쌓여 있습니다.자세히 보면 모든 부재에서 치석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맨 위 부재기단 갑석사진에 잡히지 않았지만 상부에 1단 받침이 조출되어 있습니다.아래 부재도 기단 갑석처럼 보이지만 확신할 수 없습니다.2025.04.05

음성...한독의약박물관

2015년 답사 때는 실내 전시장을 들리지 못했습니다.지인으로부터 실내에 금동약사여래입상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찾았습니다. 한독의약박물관https://www.handokmuseum.com/십장생자수병풍금동약사여래입상대좌오층석탑 이하 석조문화유산은 2015년 포스팅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야외전시장 석조부재는 대부분 서울 상봉동 한독 공장에서 옮겨온 부재이며 이건 후 문화재 지정이 해지되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710상봉동오층석탑上鳳洞五層石塔. 지정해제 전의 명칭많은 부재가 후보되었지만 백제 고토 석탑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기단부기단부.초층탑신석탑신부옥개석 보다 좁은 기단 갑석고준한 초층 탑신석. 평박한 옥개석. 별석의 초층 옥개석 받침. 옥개석 상하추녀의..

음성...권근 삼대묘역 충견총. 충복 천쇠 묘

양촌 권근 선생 삼대묘. 능안로 377-15 권근(權近, 1352~1409)과 권제(權踶, 1387∼1445) 부자는 조선 초기 문장을 관장하는 문형(文衡)을 역임하였고, 권람(權擥, 1416∼1465)은 한명회(韓明澮)와 함께 세조의 핵심 공신 중 한 명이었다.권근의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자는 가원(可遠), 호는 양촌(陽村)이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그는 조선 건국 직후 문장(文章)의 종장(宗匠)으로 일컬어졌다. 권제의 초명은 도(蹈)이고, 자는 중의(仲義) 또는 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로 권근의 둘째 아들이다. 사헌부 감찰·이조판서·의정부 좌찬성 등을 지냈다. 권람의 자는 정경(正卿), 호는 휴한당(休閑堂)이며, 시호는 익평(翼平)이다. 권제의 아들이며,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

충주...충주관아공원 옥개석. 충주향교 석탑부재. 풍덕마을 옥개석

결론적으로 한 곳에서도 석탑부재를 확인하지 못했습니다.새롭게 정비 보수하면서 이동, 철거 또는 도난된 것으로 추정됩니다.충청감영문 관아공원.충주시 성내동 154-1번지 일대는 조선시대 충주목의 관아(官衙)가 남아 있는 곳으로, 1981년까지 중원군청 청사의 일부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문화유산인 충주목 관아의 보호와 함께 시민의 건강·휴양 및 역사 교육의 현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1983년 1월 5일 당시 건설부 고시 제479호로 지정을 받아 「도시공원 및 녹지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일대를 정비하고 관아공원이라고 이름 붙이게 되었다.수령 510년 느티나무?석조 부재석탑부재로 추정되는 것은 없었습니다.주초제금당(製錦堂). 내아 건물제금당은 왕실, 고관방문 시 사용청령헌(淸寧軒) .충주목 동헌산고수청..

보은...원정리 삼층석탑

원정리 삼층 석탑여기도 4 번째 순례입니다. 2012년 두 차례, 이후 달넘새 님과 답사하였고, 오늘 동호회원들과 함께 했습니다. 이제 광산 자리에는 나무가 식재되어 숲을 이루었고 흉물스럽게 방치되어 있던 채굴 기계는 철거되고 없었습니다.차에 폰을 두고 올라간 탓에 이 사진(2012년)을 제외하고는 동호회원(이기회, 순간포착) 사진입니다. 원정리 삼층석탑(2012년)https://12977705.tistory.com/8723806기단석이 한돌(一石)별석의 3단 층급받침왜소한 탑신부...옥개석에 비해 굵은 전층 3단 각형 층급받침맨 위 부재는 노반석이 아닌 자연석...기단부지대석 겸 하층기단 저석기단 중석, 갑석이 일석부연이 생략된 물매 없이 평박한 기단갑석별석 3단 층급받침경주 남산동 삼층 모전석탑. 경..

보은...고봉정사 능성구씨 보갑(譜匣)

2019년 까치발로 바라보고 발길 돌렸으며 오늘은 동호회원 들과 함께 했습니다.고봉정사(2019년) 옛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6217"고봉정사는 조선 중기 김정이 학문을 연마하고 즐기던 곳에 최수성이 고봉정을 세웠다. 이름은 김정이 삼파연류봉을 고봉이라고 하고 올라가 즐긴 데서 비롯되었으며, 중종 14년(1519) 기묘사화 이후에는 구수복이 은거하면서 학문을 연마하였다. 그 뒤 정자가 낡자 구수복의 5 세손인 구일봉 봉우리 아래로 옮겨 지으면서 지금의 건물로 세웠다 한다."우암 송시열 글씨고봉사최수성 선생의 후손인 최규하 전 대통령 글씨고봉정사 향 우측  처마 아래에 걸린 현판입니다.마지막 두 글자를 해독 못하였으나 답사 후, 지인인 이영규 선생과 김주부..

보은...법주사 복천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복천암최송설당 마애각자 사진 촬영을 위해  2017년이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 목조아미타 삼존은 2015년 이른 아침에 인연 지었지만 지금이나 그때나 사진이 엉망이군요. 옛글로 대신합니다 복천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2015년)https://12977705.tistory.com/8724726대세지보살. 아미타여래. 관음보살법당이 1733년 화재로 소실된 이후, 1735년부터 1737년까지의 중창불사 때에 법당과 함께 조성된 상입니다. 良工. 演機(문화재청.아래 조성문에는 溟機 ), 斗策, 守性, 超鵬, 守堅, 廣鵬 아미타삼존불 조성문願文: 忠淸左道報恩縣地東嶺俗離山福泉寺彌 陀左右觀音勢至三尊佛造成願文」若夫九類雖異 一性本同而衆生在迷而心心皆謁仰風化之」心諸 佛在悟而願願皆度生興悲之願令諸人人勸善歸 樂」其途雖殊殊願心同也玆..

보은...법주사 최송설당 마애각자

복천암동호회원들이 법주사를 답사하는 동안 산내 암자인 복천암과 일주문 근처에 있는 최송설당 마애각자를 찾았습니다. 송설당 마애각자는 2023년 졸저 '마애부도 마애탑'에서 다루었던 내용입니다. 송설당에 대한 글은 김천고에 있는 묘역으로 대신합니다. 김천고 최송설당 묘역https://12977705.tistory.com/8728201복천암 마애 각자극락보전 향 우측 바위. 세로로 새겨진 나무아미타불 상단에 가로로 새겼습니다.조성일자와 누구의 글씨인지 알 수 없습니다.전국에 있는 마애 각자의 글씨체가 동일하여 한 사람의 작품으로 추정됩니다. 경남 창녕 도성암 마애각자는 을묘년(1915년)에 이동로, 고양 북한산에는 을묘년(1915년)에   양동생(養第) 광익(光翼). 김천 청암사에는 경신년(1920년)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