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보박물관 실내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접했지만
차일피일 미루다가 다녀왔습니다.
울산 문수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1787년
동축사 반야용선도(복제).
20세기초(원본). 종이
통도사 괘불탱화. 1792년
실상묘법연화경 목패. 17세기
밀호가람성신지위 목패. 17세기
만력(萬曆) 34년 명 목조 전패. 1606년
동종. 보물
1686년. 사인비구 작품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37
순치(順治) 16년 명(銘) 청동 시루. 1659년
목조해치고대 및 홍고(木造獬豸鼓臺 및 弘鼓). 17~18세기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통일신라
대좌는 후보 같습니다
좌권인 비로자나불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91
배례석
배례석(수도권, 강원)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49
배례석(충청.호남)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48
배례석(영남)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47
목조해치고대 및 홍고(木造獬豸鼓臺 및 弘鼓). 17~18세기
치미..통일신라
통도사 출토 기와. 조선
금강경변상목판(金剛經變相木版). 167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27판 완질본 중 변상도(變相圖)를 새긴 목판(木版)이다. 석가모니 주위에 제대보살(諸大菩薩)이 시립해 있고, 그 전방에 청법주(請法主)인 수보리존자가 합장한 자세로 부처님께 법을 청하는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수보리존자의 뒤에는 여러 대신들과 성문제자(聲聞弟子)를 등장시켰는데, 이들은 모두 설법을 듣고 있는 모습이다. 부처님 좌우에는 가섭과 아난, 그리고 그 주변에는 사천왕이 배치되었다. 청법자는 두광이 없으나 제대보살을 위시(爲始)하여 수보리는 두광을 나타내고 있어 차이를 보인다. 석가모니는 두광과 신광을 모두 갖추고 머리 위에는 오색구름에 실려 있는 형상의 보개가 아름답게 장엄되었다. 간기刊記에는 강희십팔년기미십이월일경상도울산원적산운흥사개판(康熙十八年己未十二月日慶尙道蔚山圓寂山雲興寺開板)이라 기록되어 있어 강희18년(1679) 개판되었음을 알 수 있고 변상의 왼쪽하단(목판기준)에 연희도(演熙刀)라 새겨져 있어 각수(刻手)를 알 수 있다.
근수정업왕생첩경 목판. 1678년
경남유형문화재
권수정업왕생첩경도(勸修淨業往生捷徑圖)라고 하며 정업(正業)을 부지런히 닦아 정토왕생하는 지름길을 나타낸 목판이다. 상부 중앙에는 아미타불과 팔대보살을 배치하였고, 주변에 구름과 꽃문양으로 가득 채웠다. 아미타불 대좌 아래에는 중앙에 주상전하수만세(主上殿下壽萬歲)를 새기고 그 좌우에 왕비전하수제년(王妃殿下壽齊年), 세자저하수천추世(子邸下壽千秋)라 새겼다. 그 아래는 연지(蓮池)를 나타내었고, 원형의 윤곽 속을 상중하로 나누어 구품왕생(九品往生)을 나타내었다. 뒷면에는 수월백의관음(水月白衣觀音)을 조각하였으나 구도는 단조로운 편이며, 해상용왕(海上龍王)과 남순동자(南巡童子), 청조(靑鳥) 등이 등장하고 있다. 정병 속의 버들을 연꽃으로 받친 모습과 산형(山形)의 파도문을 도상적으로 나타낸 점이 특이하다. 앞뒷면에는 각각 시주자 명단을 새겼고, 간기(刊記)는 강희무오삼월일경상도울산부원적산운흥사각(康熙戊午三月日慶尙道蔚山府圓寂山雲興寺刻)이라 하여 강희17년(1678) 천성산 운흥사에서 간행했음을 알 수 있다.
자장율사 진영. 1804년
경남 유형문화재
환성당 지안대사 진영.1799년
경남 유형문화재
은제도금 아미타여래삼존불감. 조선
은제도금 아미타여래삼존상. 보물. 1450년
금동관음보살상. 통일신라
금동여래입상. 경남유형문화재. 통일신라
금동여래입상. 통일신라
금동여래입상. 고려
금동관음보살좌상. 고려
금동여래입상. 통일신라
범종. 14세기
동제 금강령. 고려
내원사 청동북. 보물. 1091년
청동 은입사 향완. 고려
연화봉황무늬자수방석. 조선
왕골 자라무늬방석(魚鼇文圓席). 조선말
목재 나한상. 18세기
소조나한. 16~17세기
옥석제 동자. 동녀. 조선
목조 동자. 동녀. 조선
목제문수동자. 조선
목조 동녀입상. 조선
목조 동자입상. 조선
목조 용두. 통도사 극락보전. 19세기
영산전 석가모니후불탱화. 보물
1734년
극락보전 아미타후불탱화. 보물
1740년
대광명전 삼신불 탱화. 보물. 법신 비로자나불. 1759년
대광명전 삼신불 탱화. 화신 석가모니불. 1759년
대광명전 삼신불 탱화. 보신 노사나불. 1759년
영산전 팔상탱화. 보물. 1775년
도솔래의상
비람강생상
사문유관상
유성출가상
설산수도상
수하항마상
녹원정법상
쌍림열반상
영산전 견보탑품 벽화(1716년) 보물
모사도
https://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218
우리나라 이불병립(좌)상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87
보광전 화엄탱화. 보물
1811년
내원사 아미타 삼존탱화. 1857년
용화전 미륵후불탱화. 1798년
명부전 지장탱화. 1798년
비로암 칠성탱화. 1904년
통도사 감로탱화. 1900년
백련암 신중탱화. 1864년
사진 솜씨는 익히 아실 것이고 전시된 성보 일람으로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통도사 성보박물관(야외)
https://12977705.tistory.com/8724888
https://12977705.tistory.com/8725177
https://cafe.daum.net/moonhawje/DjXU/13900
https://cafe.daum.net/moonhawje/6qMJ/1529
2024.06.28
*설명문은 통도사성보박물관 홈페이지를 참조하였습니다.
'경상남도 > 양산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산...통도사 최송설당 마애각자 (0) | 2023.05.29 |
---|---|
양산...한국궁중꽃박물관 노주석 外 (0) | 2023.05.13 |
양산...한국궁중꽃박물관 삼층석탑(2) (0) | 2023.05.12 |
양산...한국궁중꽃박물관 삼층석탑(1) (0) | 2023.05.11 |
양산...매곡마을 당산나무 (0) | 202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