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남도/합천군79

합천...해인사 수미정상탑 수미정상탑 해인사를 찾는 사람들도 거의 인지하지 못합니다. 설사 답사를 왔더라도 출입이 쉽지 않아 장경각 옆에서 멀리 바라보는 것에 만족해야 합니다. 수미정상탑 팔각칠층석탑으로 돛대 바위에 세웠습니다. 돛대 바위는 1,926년 파쇄하여 대적광전 축대공사에 사용되었고, 1986년 그 자리에 세웠습니다. 즉, 행주형국인 해인사 가람을 비보하기 위해 조성한 석탑입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가야산 치인리 마애불도 배를 운항하는 선장으로 이해하는 글도 보입니다. 또한, 해인사는 화재에 취약한 형국이어서 비보책으로 남산제일봉 정상에 매년 소금 단지를 묻는 의식도 지켜지고 있습니다. 해인사의 풍수지리적 위치 "흔히 해인사의 지리적 형국(形局)을 행주형국(行舟形局) 곧 큰 바다에 배가 가고 있는 형국이라고 일러 왔.. 2020. 5. 22.
합천...해인사 용성스님, 고암스님 부도(승탑) 용탑선원 부도전 용성스님과 고암스님의 부도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용성당대선사탑 龍城堂大禪師塔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부도는 석탑 형식의 부도로, 입구 길상탑을 떠올리게 합니다. 용성 스님 "1864년(고종 1) ~ 1940년 일제강점기 불교계의 지도자로서 3, 1운동 당시 민족대표로 참석한 승려. 독립운동가 본관은 수원(水原). 속명은 백상규(白相奎). 법호는 용성(龍城). 법명은 진종(震鍾). 전라북도 남원 출신. 아버지는 남현(南賢)이며, 어머니는 손씨(孫氏)이다. 일제강점기 불교계의 지도자로서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의 하나였으며, 경전 번역 등을 통하여 불교의 현대화와 대중화에 앞장섰다. 7세에 한학(漢學)을 배우기 시작하여 9세에 「합죽선(合竹扇)」이라는 시를 지었다. 16세 때 가야산 .. 2020. 5. 22.
합천...해인사 삼선암 비구니 문오 부도(승탑) 삼선암 "1893년에 자홍스님께서 창건한 뒤로 1904년에 보찬스님과 지종스님 두분이 중건한 바 있으며, 최근에 새로이 비구니 선원을 세운 것을 비롯하여 도량의 규모가 꽤 커졌으려니와 면모도 새로워졌다. 가까이에 문오 스님의 부도가 모셔져 있다."(해인사 홈페이지) 비구니 대비당 문오탑 比丘尼大悲堂文旿塔 1950년 후반 삼선암 스님 -일제 강점기 스님 부도를 찾아 왔습니다. -여기는 없는데... -부도전은 없나요? -(부도전을 가르키며)일제강점기가 아니라 내나이 8살적에... 행장은 확인하지 못 했습니다. 다만, 스님의 제자가 정암당 혜옥(1901~1969) 스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백련당 혜안화상 근래에 조성한 부도지만, 훗날 새로운 양식으로 남을 듯 합니다. 해가 저뭅니다. 찾을 님은 끝이 보이지.. 2020. 5. 21.
합천...해인사 약수암 비구니 도삼 부도(승탑) 해인사 약수암 해인사 홈페이지 산내암자 소개 글입니다. "약수암은 비구니 수도처로서, 구한말인 1904년에 비구니인 성주스님이 창건하였고 1927년에는 도삼스님이 중건하였다. 가까이에 해봉스님의 부도와 도삼스님의 부도가 모셔져 있다."(성주스님은 대원군의 수양딸로 전합니다) 그래서인지 국사암 부도전 부도 2기를 도삼.해봉 스님 부도이며, 1기는 근대 부도로 쓴 글이 보입니다. 심지어는 확인없이 두 스님 부도가 있다고 천편일률적으로 소개하고 있어, 제 기억의 한계를 시험하고자 들렸습니다. (결론적으로 약수암에는 도삼스님 부도만 있으며, 해봉당 부도는 국일암 부도전에 봉안되어 있습니다) 해인사 국일암 부도전(2,016년) http://cafe.daum.net/moonhawje/DjZP/3481?q=%ED%9.. 2020. 5. 20.
합천...황매산 묵방사지.백련암지 묵방사 응진전. 염화실 묵방사지.가회면 대기2길 6-170(가회면 중촌리 349-1) 묵방사 유리보전에서 포장된 산길을 잠시 오르면 응진전,나한전이 위치하며, 문화재청 발간 한국의 사지에는 이곳을 중촌리사지 2로 설명하며 묵방사지로 추정하였습니다. 묵방사 창건과 폐사의 사적은 전하지 않습니다. 한국의 사지에는 "홍유 스님(泓宥.1718~1774)의 유삼가묵방사기(遊三嘉默房寺記)에 의하면 황매산내 다섯 시찰 중 당시 묵방사가 유일하게 법등을 잇고 있었으며, 법당法堂, 대루大樓, 종실鐘室, 향각香閣 등의 건물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범우고 梵宇攷(1799년), 경상도 읍지尙道邑誌(1832년), 영남읍지嶺南邑誌(1871년,1895년)에는 폐사되었다고 기록되었다고 합니다. 구전에 의하면 묵방사 보.. 2020. 3. 11.
합천...우곡리 사지 우곡리 계성마을 마을 앞 공사로 인해 옛길로 진입한 덕분에 한적하고, 안온한 작은 산골 동리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소룡산, 폐석 광산, 마을 향우 측 경작지 상단이 사지입니다. 사찰에 관한 정확한 창건과 폐사는 전하지 않으며, 일부 자료에는 "가례사"라고 전합니다. 서부경남의 석탑(문화재청.2014년) 소룡산 북동쪽에서 흘러내리다가 남쪽으로 길게 뻗은 구릉상에 위치한다는 기록이 있으나 사찰에 관한 언급은 없습니다. 기록문화 뮤산(문화재청) 합천군 가의면 계성의 가례사였다는 구전이 있으나, 폐사지의 명칭과 연혁을 짐작할 수 있는 기록은 전혀 없다. (가의면?) 문화유적총람(문화재청.1977)에 계성사지는 용주면 용지리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柱城寺址.陕川郡 龍洲面 龍旨里 합천군청.용주면 지명유래에도 사지명은.. 2020. 3. 9.
합천...우곡리 성황당 용주면 우곡리 우곡리 사지 옛길 입구에 위치. 눈에 익숙한 길 조산은 기억이 새록새록하건만 낯선 성황신 표지석이 눈에 들어와 멈추었습니다. 조산造山 사찰 입구. 마을 동구. 고갯마루에 위치 민초들의 염원, 산천 비보, 취락 배치의 수구맥이로 조성합니다. 자연에 의지하려는 인간의 작은 바람이 쌓은 돌무더기 기자祈子. 풍농豊農.벽사僻邪를 기원하며, 음력 정월 보름 전후에 동제 洞祭를 모시는 신성한 구역으로, 성황당城隍堂으로도 불립니다. 길 위에 선 나그네에게는 이정표이며, 짚신을 갈아 신는 쉼터입니다. 마을 제의祭儀 성황신城隍神, 성황목城隍木. 조산造山 우리는 우리를 시나브로 잊어가고 있습니다. 군대 가는 아들을 배웅하고, 시집간 딸을 기다리던 헤어짐과 만남의 장소 유년 동구 밖에서 시장 간 할머니를 기다리.. 2020. 3. 8.
합천...대지리사지(무학대사 유허지).무학대(無學臺) 대지리사지大枝里寺址 합천군 대병면 대지리 산 2번지. 진입 들머리 대지 1리. 대지길 24-1 한갓 마을 정류장 멀리 마을 뒤편 우측 정상에 하얀 바위 아래쪽입니다. 마을 안길로 들어가서 산길을 따라 약 1km 우측 저수지를 지나 포장이 끝난 지점에 주차합니다. 주차공간은 넉넉하지만, 진입 도로는 교행 하기 쉽지 않은 좁은 길입니다. 주차 후 비포장 언덕을 올라서면, 다시 포장도로를 만나고 다리가 있습니다. 다리를 지나면 발굴된 사지가 펼쳐집니다. 도보 10분 미만입니다. 눈앞에 펼쳐진 사지 고즈넉한, 소설 한 편 탈고하고픈 그런 내가 기대했던 사지가 아니구나 그도 잠깐!!! 아~~~! 나를 찾아가는 절터 누군가 그랬습니다. 나를 찾아간다고... 대지리사지. 창건과 폐사의 사적이 전하지 않은 무학대사 유.. 2020. 3. 6.
합천...영암사지 석조비로자나좌상 합천박물관 우리나라 석조물의 나비장 작례를 집계하기 위하여,초계향교에서 창녕 무심사로 가는 길에 들렸다. 이곳 야외전시장의 백암리사지 석불대좌에 그 작례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전시유물 위치도 바뀐듯 하다. 백암리사지 석불대좌 백암리사지(경남 합천 참조 요) 나비장 나비.. 2019. 1. 18.
합천...초계향교. 풍화루 거북 주초 초계향교 1628년(인조 6)에 창건되었으며,1800년대 초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819년에 대성전을 중수하고, 1843년에 명륜당을 중수한 사실이 전할 뿐 그 밖의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1993년에 동재·서재를 건립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동무,서무,내삼문,·명륜당,동재,.. 2019. 1. 17.
합천...호연정(浩然亭) 호연정浩然亭 겨울 나목마져 정겨운 황강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위치하며, 녹음이 우거진 여름날, 추색 짙은 만추에는 절경을 연출할 것 같다. 은행나무 주이 선생이 심은 나무로 수령 400년 이상된 호연정의 텃주대감이다. 정문 붉은 빛으로 단장한 문위에 길상의 의미인 태극문양을 올.. 2019. 1. 16.
합천...신라충신죽죽지비. 연호사 신라충신죽죽지비 함벽루 못 미쳐 도로변에 위치 642년(신라 선덕여왕 11)에 백제가 신라의 대야성(大耶城 : 합천)을 침공하였을 때 끝까지 싸우다 전사한 죽죽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525년(중종 20년)에 세운 비이다. 대야성은 642년에 윤충이 이끄는 백제군에게 포위되었다. 성주 김품.. 2019. 1.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