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합천군 80

합천...월광사지 동.서 삼층석탑

월광사지 수없이 왕래하였지만 마지막 답사는 2013년인 것 같습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2528 월광사지(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남도의 석탑2) 월광사(月光寺)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가야국 의 태자 월광(月光)1)이 창건했다고 전해진다2). 이 기록에는 삼은(三隱)의 하나인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 1349~1392)의 시3)를 함께 수록하고 있는데, 이를 통 하여 월광사가 고려후기에도 존속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성종실 록(成宗實錄)》 기록에는 몇 차례에 걸쳐 월광사의 전지(田地)와 관련된 기록들 이 나온다. ···월광사(月光寺)는 오랫동안 그 터를 묵혀 두었고 절에 속했던 토전(土 田)은 향교(鄕校)의 학전(..

합천...가남정

바람 때문에 해인사 소리길 탐방을 포기하고 귀가하는 길 멀리 정자와 연초록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가남정을 지키고 있는 나무 높이 20여 미터, 줄기 직경 178센티, 수령 500여 년이 가까운 느티나무이었습니다. 금월헌 정인함(1546~1613)이 심었던 나무로 전합니다 가남정(伽南亭) 서산정씨 집안에서 정인기, 정인함, 정인철, 정인지 4형제를 추모하기 건립한 세운 정자 네 친구의 정자'라는 의미의 '사우정'이라고도 불린다고 합니다. 형제는 남명 조식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사촌 형 정인홍을 도와 의병 활동에 참여하였습니다. 원래 이곳에는 4형제와 서산 정씨 시조인 정신보, 그의 아들 정인경을 추모하기 위해 1738년에 세운 세덕사가 있었다고 전합니다. 세덕사는 1..

합천...해인사 금패 각자

禁牌, 大地界內勿入宅墓 해인사 입구 해인성지 석주 아래편 계곡 바위에 새겨져 있습니다. 禁牌 官人 금패 아래에는 수결이 남아 있습니다 누구의 수결일까요? 이호윤 (李顥潤. 1777~1830 )이 지은 유가야산록에 관찰사의 글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다리 아래의 못에 사람의 그림자가 어른거리므로, 이름을 물었으나 대답이 없었다. 물살은 빠르고 돌은 날카로워 배가 더 이상 나아갈 수 없었다. 내가 주제넘게 이름을 지었다. “계주담(繫舟潭)이라고 하면 어떤가?” 라고 하자, 모두들 좋다고 하였다. 바위에는 붉은 글씨로 ‘경계 안에 집과 묘를 들이지 말라(大界內勿入宅墓)’라고 새기어 있었다. 이것은 이순상(李巡相)의 글씨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니 봉우리가 하늘 가운데로 솟아 있다." 이호윤. 유가야산록 h..

합천...해인사 하교 람여필파 각자

해인사 초입 상부가 돌출되어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바위에 각석이 있습니다. 下敎 하교 籃轝 람여 必罷 필파 徐 廷圭(서정규) 하교하노니 가마를 타고 출입하지 마라! 서정규(徐 廷圭)는 고종 28년(1891) 경상우도 병마절도사와 법부민사국장을 지낸 인물이다 어떤 연유로 하마비보다 더 강한 왕명을 새겼을까? 월간 해인 391호에 관련 기사가 실려 있습니다. 《해인 사지》에 나오는 〈계하완문절목〉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태조대왕이 보위에 오르기 전 백일기도를 드리고 보위에 올라 왕실의 원찰로 삼았으며 당시 해인사의 토지구역경계를 확정 지었다. 천순天順원년(1457) 세조대왕은 남쪽으로 순행하다 잠시 이곳에 머물러 재를 올리고 기도한 후 대장경 50질을 인경하였다. 정계패(사찰의 경계를 정..

합천...권계복 묘의 범자문, 다라니도상

권계복 묘역 동호회 정이환 님의 자료 공유로 인지한 묘역입니다. 동호회원들과 창녕 사리광배 답사 후 함께 찾았습니다. 묘비, 망주석. 향로석, 상석, 배례석, 호석, 봉분 일반적인 묘역 배치입니다. 정면 후면 成均 進士 安東 權公之墓 1909년. 봉분 앞 호석에 새겨진 명문을 보완하여 후손이 세운 것 같습니다.. 망주석 세호가 없으나 상단부를 화려하게 꾸몄습니다. 연봉 무엇을 상징하는지. 연화보주 아래로 2단 받침이 있습니다. 향로석 태극문을 새겼습니다. 호석 화문(국화?)을 새겼습니다. 방형 봉분 방형 배례석, 호석을 석탑 기단부처럼 저석, 중석, 갑석으로 꾸몄습니다. 중앙부에 권계복의 일대기를 간략하게 새겼고 양쪽 측면에 범자문, 모서리에는 다리니도상을 갖추어 범자문과 다라니 도상이 좌우 대칭입니다...

합천...죽고리사지 석조비로자나삼존상

합천죽고리 석조비로자나삼존상 문화재 지정 명칭이며, 통일신라 불상으로 전합니다 합천박물관 특별전 관람 후 귀갓길에 잠시 들렸습니다. 옛글로 대신합니다. https://blog.daum.net/12977705/8723014?category=5254 비로자나좌상 중대석을 제외한 대좌는 후보물 나발, 큰 육계, 살찐 상호는 훼손이 심합니다. 삼도가 있고, 통일신라 전성기의 당당한 어깨에 비하면 둥급니다 지권인 수인, 우견편단, 왼쪽 어깨에서 흘러내린 가사 자락이 무릎 위에 올려져 있습니다. 결가부좌하여 왼쪽 다리를 위로 올린 항마좌입니다. 백호 공 계주의 홈은 중간 계주? 후보 한 상대석에는 광배홈이 없으나 양 협시불의 광배홈으로 미루어 본존에도 광배가 있었을 것입니다 방형 중대석 우리나라의 방형 불상대좌 h..

합천...구원리 금동여래입상. 금동관음보살입상

합천 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 공동 기획전 '가슴에 품은 작은 부처님' 전시회에서 뵌 님 2021.07.14 가야면 구원리에서 수습 통일신라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가슴 부위에서 접힌 대의자락이 이색적입니다. 금동관음보살입상 가야면 구원리에서 수습 통일신라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오른손에 주둥이가 박락된 정병을 지고 있어 관음보살로 추정하는 것 같습니다 가슴 부위에 X자형 영락으로 장식되어 있어 통일신라 이전의 보살상 느낌도 없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