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서울...불중박 교종본찰 봉선사 특별전(2)

임병기(선과) 2024. 11. 12. 08:16
300x250
300x250

(1)편에 이어

수종사 팔각구층탑 사리 갖춤. 여말선초

조선 태종의 달인 정혜용주를 위하여 1439년 수종사에 세운 사리탑에 봉안한 사리 갖춤

청자호문유개(중국). 금동구층소탑.은제도금육각당형사리기

 

남양주 수종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3995

회암사지 출토 유물

 

양주 회암사지(1)

https://12977705.tistory.com/8723323

양주 회암사지(2)

https://12977705.tistory.com/8723324

수막새

효령대군 선덕 갑인오월

효령대군이 발원. 시주한 불전 지붕에 올렸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회암사지 청동 금탁

개국 초 왕실과 회암사와 관련된 명문이라고 합니다

보광사 목어. 조선후기

파주 보광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3315

보광사 범종. 1634년

(僧匠, 승려 장인) 설봉천보(雪峯 天寶)를 비롯해 상륜(尙倫), 선잠(善岑), 경립(敬立) 등이 참여했다.

설봉천보의 작품은 현재 국내에서 3점(가평 현등사 동종, 거창 고견사 동종, 파주 보광사 범종)이 전해진다.

용뉴. 천판. 상대

종신의 범어. 보살입상

종신 연곽, 연뢰

하대의 용문

하대 파도문

흥국사 감로도. 1868년

금어. 영환

 

남양주 흥국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6297

불암사 감로도. 1890년

금어 긍법 스님

위 흥국사 감로도와 거의 동일합니다.

 

남양주 불암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4849

보광사 감로도. 1898년

금어 응석 스님 외

 

위 흥국사. 불암사 감로도와 유사합니다.

3개 사찰 감로도를 조성한 화승은 흥국사를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초본을 공유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흥국사 목조석가모니삼존상. 18세기 중반 추정

투각의 목조광배. 고부조의 동자상과 화불이 눈에 들어옵니다.

석가여래

문수보살

문수동자와 화불을 고부조로 조성

보현보살

보현동자와 화불은 고부조로 조성

회룡사 신중도. 1883년

금어 응석 스님 외

위태천. 범천. 제석천이 역삼각형 구도입니다. 

흥국사에 조성하기 위하여 조성한 불화입니다. 

 

의정부 회룡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3325

봉영사 아미타도. 1853년

금어 확인. 응석 스님 외 11명

 

수원 봉영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3960

봉영사 지장시왕도. 1828년

금어 신선 스님 외

 

남양주 봉영사는 미답처입니다.

중흥사 단청불화 때 함께 조성한 불화라고 합니다.

 

광양 중흥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5931

손에 든 지물은 금강저는 아닐 테고.

나옹스님 사리 갖춤. 1388년

원주 영천사터 보제존사사리탑에서 수습. 국립 춘천박물관 소장

 

영천사지 보제존자사리탑(현재는 국중박에 있음)

https://12977705.tistory.com/8723374

탑지. 동탑 명문이 보입니다

회암사 나옹 진영. 조선 후기

지공 스님 진영

무학스님 진영

 

양주 회암사 삼화상 진영

https://12977705.tistory.com/8723324

흥국사 소조 16 나한

제석천. 사자. 인왕과 함께 봉안

제석천 복장에서 1650년 세 번째 중수 기록 발견. 1891년 고산 안심사 약사암에서 옮겨왔다고 합니다.

즉 조성시기를 조선전기로 추정합니다.

 

고산은 현재 완주입니다.

 

완주 안심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8409

https://12977705.tistory.com/8728410

흥국사 16 나한도. 1892년

금어 응석 스님 외

4칸에 4분 나한을 그렸습니다.

현등사 청동지장보살좌상. 1790년

금어. 설훈 스님 외

현등사 신중도. 1790년

금어 설훈 스님 외

 

가평 현등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6710

회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보광사 목조제화갈라보살입상. 목조미륵보살입상

보광사 목조제화갈라보살입상.

금어 영색. 성근 스님 외

1633년 양주 회암사 조성. 1898년 파주 보광사로 옮겨왔습니다.

보광사 목조미륵보살입상.

금어 영색. 성근 스님 외

1633년 양주 회암사 조성. 1898년 파주 보광사로 옮겨왔습니다.

회암사 목조여래좌상. 발원문

1755년 용흥사 상선암에 봉안되었던 여래이며, 금어 상정 스님 작품입니다.

 

담양 용흥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3010

https://12977705.tistory.com/8726414

대의자락 중앙 S자는 상정스님 작품의 특징입니다.

 

불모 상정 스님

https://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7563

 

두서없이 둘러본 봉선사 특별전 포스팅이었습니다.

 

2024.10.24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