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로 장식된 조계사 뜰
그리고 봉선사 특별전 다녀왔습니다.
우리나라의 백송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94
봉선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6298
용문사 금동보살좌상. 14세기
1910년 횡성 봉복사에서 용문사로 옮겨왔다고 합니다.
횡성 봉복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8488
양평 용문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3992
봉선사 운하당에 걸린 편액
김기승 글
목조여래좌상
복장유물
건륭 3년 무오. 1738년
복장유물과 다르게 목조여래는 17세기 초반의 작품으로 추정합니다.
현등사 동종. 1619년
현등사의 본사인 남양주 봉선사에 봉안되어 있었던 것인데, 일제강점기에 현재의 현등사로 옮겼습니다.
"73.5cm의 아담한 크기로, 종신(鍾身)을 여러 개의 구획선으로 나누고 그 안에 연잎무늬, 당초무늬, 파도무늬 등을 화려하게 새겨 넣어 장식성을 강조한 범종이다. 두 마리 용이 서로 등을 맞대어 몸을 꼬아 만든 용뉴는 안정감을 주고, 두발을 힘차게 내디뎌 천판을 들어 올리는 모습에서 역동감을 느낄 수 있다. 둥근 곡면을 이루는 천판에서부터 종의 입으로 내려오면서 조금씩 그 폭을 넓힌 종의 형태도 아름답다.
이 종은 고려 후기 연복사종에서 비롯된 중국종 양식을 따르고 있다. 특히 종의 중심부를 세 개의 융기선으로 구획하고 천판에서 종의 입 사이에 다양한 무늬를 시문하였는데, 작은 마름모꼴의 연곽에 구슬 모양의 연꽃봉우리와, 천판의 내림연꽃이 중앙을 향해 보상화문처럼 말려든 형태, 그 위로 표현된 구슬무늬, 종복(鍾腹)에 크게 자리 잡은 역동적인 연화당초무늬, 그리고 하대에 표현된 물거품이 일렁이는 파도무늬 등의 장식 문양은 1469년 작 남양주 봉선사 동종이나 흥천사명 동종, 그리고 1491년 작 합천 해인사 동종 등 조선전기의 왕실발원 범종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원래 이 종을 소장했던 봉선사 또한 왕실의 원찰이었기 때문에, 이전에 만들어진 궁중양식 범종의 여러 가지 요소가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국가 유산청)
"종의 배 부분에는 반듯한 해서체로 주종기를 돋을새김 하였다. 주종기는 1619년(광해군 11)에 천보(天寶)가 짓고 새기기까지 했으며, 종을 만들게 된 연유, 종 제작에 사용된 재료의 양과 무게, 발원하는 내용, 참여한 사람 등을 기록하였다. 주종장은 일반적으로 주종기를 작성한 천보로 보고 있는데, 그는 조선후기 승려 주종장(鑄鍾匠) 가운데 유일하게 임진왜란 이전부터 활동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어,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승장의 계보나 범종의 양식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인물이다."(국가유산청)
아미타여래도. 1917년
금어 상호 스님 외
다문천왕 지물. 탑 맨 위에 삼지창이 눈에 들어 옵니다.
그간 상륜부 삼지창은 대구 현풍 비슬산 유가사 삼층석탑에서만 볼 수 있었습니다.
동행한 송봉주 박사는 인도 산치대탑에도 보이며 불법승을 상징한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유가사 삼층석탑
치성광여래도. 1903년
금어 상규 스님. 원하 스님이 원흥사에 봉안하였던 불화입니다
독성도. 1903년 추정
원흥사에 봉안되었던 불화라고 합니다.
약호 스님 출초.
봉법 스님, 대호스님 채색
오른편은 진각거사라고 합니다.
세조 왕비. 정희왕후 인장. 1471년
해인사. 세조진영. 1458년
해인사는 1458년 고려대장경 인경을 계기로 세조와 인연을 지었으며, 윤사로와 조석문이 조성하여 금탑전에 봉안하였다고 합니다.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 1649년
대둔사 묘련암에 봉안하고자 무염 스님 등이 조성하였으며, 개금은 대한제국 황실과 관련 있는 강재희가 시주하며 긍법스님이 진행하였다고 합니다.
남양주 불암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6300
불암사 신중도. 1907년
긍법스님과 13명 화승이 참여.
강재희가 대한제국 황실 지원을 받아 고종. 순종. 의친왕 등 황실 안녕을 위해 발원하였습니다.
흥국사 지장보살도. 1792년
상궁 최씨가 정조와 효의왕후 등의 무병장수를 위해 시왕도, 사자도와 함께 연홍 스님 외 3명 화승이 참여했습니다.
남양주 흥국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6297
여기도 삼지창이 보입니다.
흥국사 팔상도. 1869년
흥선대원군 등 왕실 관련인물들이 발원한 불화.
통도사 팔상도 초본을 활용하여 응석 스님과 16 명 화승이 참여하였다고 합니다
현등사 수월관음도. 1850년
현종의 어머니 신정왕후가 발원. 유경 스님 외 12명 화승 참여
가평 현등사
https://12977705.tistory.com/8726710
현등사. 대군위실
세종 아들 평원대군, 예종 아들 제인대군 위패. 한국전쟁 때 소실. 근대 제작
현등사 삼층석탑 사리 갖춤. 1470년 경
세종의 아들 영응대군의 극락왕생을 위하여 부인 송 씨 딸, 사위가 시주
수종사 팔각 오층탑 불감
여러 차례 특별전에서 뵈었던 성보입니다.
수종사 팔각구층탑. 불보살상
수종사(2013년)
https://12977705.tistory.com/8723995
2023년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초층탑신석과 기단부에 봉안되었던 모습입니다.
1493년
초층탑신석. 불감과 불보살 상(서울역사박물관)
1628년 기단부에 봉안된 불보살상(서울 역사박물관)
수종사 팔각구층탑 불보살상.
1628년(인조 6)
폐위에서 복원된 인목대비가 아버지 김제남과 아들 영창대군의 극락왕생을 위하여 불상을 조성하였습니다.
수종사 불감
석가여래 명문에는 태종의 후궁인 명빈 김 씨가 시주한 사실. 복장발원문에는 1493년 성종의 후궁인 국용 홍 씨 등이 중수한 사실이 적혀 있습니다.
2편으로 이어집니다.
2024.10.23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호림박물관 야외전시장 (0) | 2024.11.13 |
---|---|
서울...불중박 교종본찰 봉선사 특별전(2) (0) | 2024.11.12 |
서울...불교중앙박물관 수보회향 展 (0) | 2024.06.11 |
서울...옥천암 마애보살좌상(보도각 백불). (0) | 2024.06.10 |
서울...목인박물관 민속품. 꼭두 外 (0) | 2024.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