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공단 외삼문
동래시장과 접하고 있습니다.
송공단(宋公壇)
1742년 동래부사 김석일이 임진왜란 당시 동래부사 송상현이 순절한 장소인 정원루(靖遠樓)의 옛터에 설치한 단으로 송상현을 비롯하여 왜란 때 순절한 여러 선열들을 모신 곳이다. 송공단이 건립되기 전에는 동래읍성 남문 밖의 조그마한 야산 농주산(지금의 동래경찰서 자리)에 임진왜란 때 순절한 선열들을 추모하는 농주산 전망 제단을 세워 동래부사 송상현, 양산부사 조영규, 동래교수 노개방을 비롯한 순절의사들을 모시고 있었다.
그러다가 1742년(영조 18)에 지금의 위치에 송공단을 옮겨 세웠다. 1760년에는 동래부사 홍명한이 유림의 여론에 따라 부산첨사 정발과 함께 싸우다 전사한 부사맹 이정헌을 모셨으며, 1766년에는 다대첨사 윤흥신, 유생 양조한을 추가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송공단은 네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는데, 북단에는 송상현 동래부사 · 조영규 양산군수 · 노개방 동래교수를 모시고 있다. 동단에는 유생 문덕겸 · 비장 송봉수 · 김희수 · 겸인 신여로, 서단에는 노개방의 부인 · 송상현의 첩 금성 · 정발의 첩 애향, 남단에는 향리 송백 · 부민 김상(金詳) · 두 의녀 및 이름 없는 여러 사람들의 단이 마련되어 있다. 관노(官奴)인 철수(鐵壽) · 매동(邁同) 효충비도 한쪽 편에 자리하고 있다.
그 뒤 동래읍성에서 순절한 분들은 송공단에, 부산진성에서 순절한 분들은 좌천동의 정공단에, 다대진성에서 순절한 분들은 다대동의 윤공단에 각각 모시게 되었다. 일제강점기부터는 동래읍성이 함락된 매년 음력 4월 15일에 동래기영회에서 제사를 올리고 있다.(다음 백과사전)
송공단 비석
2005년 11월 제14대손 송해석이 썼습니다.
내삼문
충렬공 송상현 순절비(忠烈公宋象賢殉節碑)
https://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2
고관노철수매동효충비(古官奴鐵壽邁同效忠碑). 1800년
철수와 매동은 송상현의 시신을 수습하여 묻어 준 관노입니다.
충노 무덤.비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63
의녀비
이촌녀(二村女)라고도 기록된 두 의녀(義女)는 임진왜란 당시 동래읍성 싸움터에서 무기가 부족하자 동래부의 백성이던 김상(金祥)이라는 남자와 함께 기와지붕에 올라가 기와를 무기 삼아 적과 맞서 싸우다 순직한 이름 모를 두 명의 여성을 말한다. 두 명의 의녀가 기와를 벗겨 김상에게 깨어 주고, 김상은 그것을 던져 외적을 죽였다. 두 의녀는 누구의 아내 혹은 딸인지 이름이 전하지 않는다.
적들이 떠난 뒤에 김상의 어머니가 가서 보니 두 의녀는 김상과 같이 나란히 죽어 있었고, 세 명의 적이 그들 옆에 죽어 있어 두 의녀와 김상이 죽인 것을 알 수 있었다고 한다. 두 의녀는 17세기 전반쯤 농주산 전망 제단에 모셔졌고, 1742년(영조 18) 이 제단을 옛 정원루 터에 옮겨 송공단을 세울 때도 모셔진 뒤 오늘날까지 송공단의 별단 1단에 의녀위(義女位)라고 쓴 두 개의 비석으로 따로 모셔져 있다.
금섬순란비(金蟾殉難碑)
함흥 기생으로 동래 부사로 부임한 송상현을 따라 동래로 온 금섬(?~1592)은 임진왜란이 발발한 후 송상현이 절사 하자 왜인들을 꾸짖다가 살해되었는데, 금섬순난비는 그녀의 절개를 기리기 위해 세웠습니다.
기생 무덤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72
동시사난부녀 위(同時死亂婦女位)
임진왜란 때 동래성 전투에서 전사한 이름 모를 여자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로 생각됩니다.
바쁜 일과 중에 비를 뚫고 달려와 맛난 점심을 대접해 주고 길 안내와 부산역까지 배웅해 준 민학기 님에게 감사드립니다.
2024.03.28
***비문 내용은 디지털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참조하였습니다.
'부산광역시 > 부산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부산대학교 박물관 실내전시장 (0) | 2025.01.15 |
---|---|
부산...부산대학교 박물관 야외전시장 (0) | 2025.01.14 |
부산...정공단(鄭公壇) 충노 용월비. 열녀 애향비 (0) | 2024.05.13 |
부산...부산대 연화문 층급받침 옥개석 (0) | 2024.05.12 |
부산...반고사지 석불좌상. 석탑 부재 (0)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