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대휴사 목조보살좌상 요사에 계신 스님을 찾아 참배하겠다고 말씀드렸더니 환한 웃음으로 반겨주시며, 예배 후 차 한 잔 하고 가라고 하셨다. 우리네 절집 인심이 이랬으면 좋겠다. 답사객을 경계하고, 무표정하게 바라만 보는 일이 전국 대부분 사찰에서 일상화 되어버린 현실이 서글프다. 문의산 대휴사(文.. 경상북도/김천시 2019.04.29
김천...수문암(守門巖) 양각 2리 모산마을 숲 예전에는 동수이며, 마을제를 올리는 전통 취락 구조인 마을 숲이었을 것 입니다. 동제의 흔적. 금줄이 보입니다. "동제는 음력 1월 6일 오후 6시에 모산 마을 사람들의 무병과 풍년을 빌며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지산(池山)마을 동제’라고도 한다.조선 .. 경상북도/김천시 2019.04.28
김천...양각리 조산 양각 조산 구성면 양각1리 도로변에 위치. 양각 2리 수문암을 찾아 가는 길에 들렸습니다. 조산의 상징성은 여러 차례 언급하였지만 전통 농경시대에 마을 신앙을 대표하며, 안녕.기자.풍농.벽사.비보. 이정표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함축 합니다. 또한,동제를 준비, 집행 면서 주민들간의 단.. 경상북도/김천시 2019.04.27
김천...사모바위.할미 바위 하로길 152 하로마을 회관 앞 조산,할미바위와 함께 마을신앙의 대상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우리 민속신앙 답사. 하로마을 처럼 동제를 지내고 금줄이 쳐져 있으면 절로 흥이 납니다. 조산 예전에는 이곳이 마을 당숲이 아니었을까요? 금년 정월에도 동제를 올린 듯 왼새끼로 꼰 금줄이 .. 경상북도/김천시 2019.04.27
김천...가막사지 오층석탑 가막사지 절정인 복숭아꽃의 향연. 노란 봉다리 마져 무릉도원의 화원으로 느껴집니다. 향화 끊어진지 오래지만 삶의 현장에서, 민초들과의 인연은 면면히 이어오고 있습니다. 가막사 옛절터 생채기 입은 육신을 건사하며 서있는 오층석탑으로 고려전기에 조성한 석탑으로 전합니다. 하.. 경상북도/김천시 2019.04.27
김천...태화리 석조보살 입상 근자에 뵌 듯한데 2005년 이후 인연 짓지 못 했습니다. "용화사 보살님의 보살님 답지 않은 말투와, 사람을 피곤하게 하는 눈동자가 참말로 싫어 관음전 전각을 서둘러 나와 촌로들에게 여쭈어도 태화리 부처님의 존재조차 몰라, 포기하고 구성면으로 내쳐 갈려는 순간에 집배원 아저씨를 .. 경상북도/김천시 2019.04.26
김천...황악산 직지사 직지사 답사기는 옛님방에 3~4편 올려져 있다. 일 때문에 들린 김천에서 잠시 짬을 내어 다녀온 직지사, 오늘은 사진으로 대신한다. 천왕문 만세루 대웅전 동탑 문경 도천사지에서 이건 서탑 문경 도천사지에서 이건 배례석 배례석 석등 노주석 삼존불.후불탱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약.. 경상북도/김천시 2017.12.26
김천...수도산 수도사 수도사. 청암사와 더불어 늘 함께 뵈었던 가람이다. 오늘은 그간 뵙지 못했던 수도선원 뒤편 토굴 입구 부도를 뵐 목적으로 참배하였다. 수도암 사적은 전하지 않으나 청암사 사적비에 의하면 신라 헌안왕 3년(859년) 도선국사가 쌍계사, 청암사, 수도암은 같이 창건했다고 하였다. 그후의 .. 경상북도/김천시 2016.10.01
김천...불령산 청암사 청암사. 성주에서 성주댐을 경유하여 한강 정구의 무흘구곡이 전개되는 절경의 길 고조부 이래로 집안 어르신들의 애환과, 비사, 음력 시월이면 오늘 까지 이어지는 10대조부모님~6대 조부모님 묘사길 예전 답사기에서 언급하였기에 슬픈 집안사는 접어야 겠다. 그런저런 연유로 숱하게 들린 청암사 오늘은 특별히 지리산 자락 부도순례에서 뵌 함양 상무주암 회암당부도의 주인공 회암당선사 부도를 뵈러 왔다. 일주문 1976년 주지 비구니 진기스님이 신축하였고, 1993년 지형화상이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예서체의 불령산 청암사(佛靈山靑巖寺 현판은 성당 김돈희星堂 金敦熙의 글씨이다. 최송설당 각자. 대시주 최송설당 경신 모춘(1920년) 주지 김대운 일주문 못미쳐 우측 바위에 새겨져 있다. 이 곳 외에도 최송설당 각자는.. 경상북도/김천시 2016.09.30
김천...상좌원리 석불입상 김천 김천의 불교문화유산, 특히 불상,석탑,석탑재 등은 경주를 제외한 어느 지역 못지 않게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가장 최근 자료로 평가되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불상 편에는 21구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통일 신라 시대 불상으로는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감문면], 동부리 마애지.. 경상북도/김천시 2016.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