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홍천 / 괘석리 삼층탑, 희망리 당간 지주, 희망리 사사자탑 강폭이 제법 긴 홍천강을 바라보며 좌향한 홍천읍내는 오래전 충주댐으로 수몰된 구단양 읍내 같은 느낌이 들었다. 홍천읍사무소 입구 소공원에는 탑과 석조부재가 널부러져 있어 먼길 찾아온 객에게 상념에 젖게 한다. 괘석리 사사자 석탑 오래전부터 보고팠던 사사자 석탑이다. 화엄사, 사자빈신사.. 강원도/홍천군 2008.06.06
[스크랩] 강릉 / 관음리 오층탑...오기로 찾아 낸 탑 최초 동선은 굴산사지 답사후 들리는 계획이었지만 관광 안내도와 맞지 않는 도로 때문에 두어번 시행착오를 범 한 후 강릉시내부터 답사하기로 일정을 변경 하였다. 하지만, 강릉 답사 마지막 코스인 관음리 탑은 쉽게 모습을 보여 주지 않았다. 인적 드문 동네에서 만난 산불감시원 안내로 산정상에 .. 강원도/강릉시 2008.06.06
[스크랩] 강릉 / 선교장...조선 후기 양반 가옥 옛시절 경포호를 배 타고 왕래했다는 배다리 마을에서 유래된 선교장은 효령대군의 11세손인 가선대부 무경(茂卿) 이내번(李乃蕃·1703∼81)이 입향한 집이다. 이내번은 한 떼의 족제비가 일렬로 무리 지어 서북쪽으로 날아오르는 것을 목격하고, 그 광경을 신기하게 여겨 뒤를 따라갔는데, 이 족제비떼.. 강원도/강릉시 2008.06.06
[스크랩] 강릉 / 심상진 가옥, 해운정 심상진 가옥 사랑채 사랑채는 대문간 우측에 퇴청이 전면에 있는 사랑방 2간과 사랑 대청이 있으며 여기서 수직되게 2간의 온돌방이 붙어 있어 'ㄴ'자 평면을 하고 있다. 집의 규모에 비하여 안채의 대청은 기후적 영향에 의하여 규모가 작으며 사랑 대청에는 반침을 만들어 위패를 모시고 사당의 기능.. 강원도/강릉시 2008.06.06
[스크랩] 강릉 / 수문리 당간지주, 대창리 당간지주, 무진사지 참으로 힘들게 찾은 당간지주, 시내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어 오래 머물 수가 없었다. 언젠가 머무름을 즐길 공간도 마련되겠지... 수문리 당간지주 두 지주의 높이는 3.4m이며 서로 1m 사이를 두고 동서로 마주 서 있다. 두 지주에는 아무 것도 새기지 않았으며, 바깥면의 양쪽 모서리를 깎아서 간결하고 .. 강원도/강릉시 2008.06.06
[스크랩] 강릉 / 칠사당, 객사문 칠사당 ㅎㅎ 또? 나에게? 어김없이 문이 닫혔다. 전생의 업보인지 꼭 들리고픈 장소는 나를 거부한다. 길이 멀어 쉬 올 수 없는데... 칠사당 내부 인도 패드 변압기(?)위로 올라가 사진을 찍는 종화님을 흉내내어 한 컷 잡았다. 담 너머 보이는 기둥 아래 하얀부분은 습기 방지목적의 소금 때문이다. 조선.. 강원도/강릉시 2008.06.06
[스크랩] 강릉 / 굴산사지...으뜸 당간지주 굴산사는 이른바 신라 하대 구산선문의 하나인 사굴산문 개산조인 범일국사가 창건한 절로 알려져 있다. 산지가 많은 강원도 지역에서 이만한 터를 잡기가 쉽지 않았을 텐데 엄청난 부를 축적한 지방호족의 경제적 지원을 짐작할 수 있다. 신복사는 통일신라 때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창건한 절로, 창.. 강원도/강릉시 2008.06.06
[스크랩] 강릉 / 신복사지 신복사지 일사천리로 방향을 잡고 한치 오차 없이 움직였는데 강릉시내에 진입하고서는 진도가 더디고 오락가락이다. 누구나 신복사지를 알고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애초에 하지 않았지만 도가 지나치다. 결국 중국집 문을 두드린 연후에 길을 잡고 신복사지에 도착했지만, 사지 발굴로 출입을 제한.. 강원도/강릉시 2008.06.06
[스크랩] 강릉 / 송라사 석조여래, 방내리 석탑 강릉 송라사 석조약사여래/문화재청 해안도로를 질주하다가 조타수 지시로 우회전 일사천리로 송라사 도착 약사석조여래를 찾았더니 노스님(?)께서 '어디서 왔는고? 무엇 할라고 찾는고?' 라며 통과의례를 마친 후 법당을 가리킨다. 때마침 돌아온 총무스님에게 처사님들 잘 모시게 말씀을 마치고 총.. 강원도/강릉시 2008.06.06
[스크랩] 양양 / 서림원지...斜形附緣? 선림원지로 가는 도중에 찾지 못했던 서림원지 석탑,석불을 돌아나오다 상평초등학교 현서분교 뒷편 백엽상과 나란히 서있는 것을 발견했다. 많이 좋아졌지만 아직도 지자체 문화행정은 내마음에 1/10도 채워지지 않는 것은 이곳도 예외가 아니다. 우리나라 대부분 지자체 현실은 산길,들길을 물어물.. 강원도/양양군 2008.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