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창원시 76

창원...성주사 삼층석탑. 석등

대웅전 앞 중정 삼층석탑. 석등 간주석. 배례석 그리고 팔각 원당형 석등 2기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본래부터 제자리인지 다른 곳에서 옮겨온 것인지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삼층석탑 삼층석탑. 석등 간주석. 배례석 개인적으로는 고려 시대에 동일 공간에 배치되었던 것으로 추정합니다. 삼층석탑 고려전기에 세운 2중 기단의 삼층석탑 후보 한 지대석 하층 기단부는 갑석만 남아 있으며, 상부에 1단 굄을 조출하였습니다. 상층기단 통돌의 중석에는 탱주 1주, 우주를 모각, 갑석에는 부연 생략(깊고 얕은 부연?),낙수면에 물매가 있으며, 내림마루를 새겼고, 굄은 1단입니다. 탑신석 우주를 모각하였고, 초층 탑신에는 문비와 자물쇠를 표현했습니다. 2,3층 탑신석은 초층 탑신석에 비해 크게 체감되었습니다. 옥개석 층급 받..

창원...성주사 부도전

부도전 조선 후기 부도 3기, 근자의 부도 1기 그 자리에 그대로 계셨습니다. 하지만 성주사 진입 동선이 바뀌어 찾는 사람이 거의 없을 듯합니다. 2008년 05월 07일 사진 지월당 광세(智月堂 廣世) 한국의 사찰문화재에는 1781년으로 등재하였습니다. 아마 명문을 건륭 신축으로 해석한 것 같습니다 복련과 앙련을 새긴 상, 하대석 위에 탑신과 연봉형 보주를 일석으로 조성하였습니다 상, 하대석 지월당 광세((智月堂 廣世) 건륭 신축 십 O(乾隆 辛丑 十O) 건륭은 추정입니다. 보주 금파당원혜(金坡堂 圎慧) 1773년 금파당 대선사 원혜(金坡堂 大禪師 圎慧之碑) 승통도감통정 지O(僧統都監通政 智), 별좌 찬O(別坐 贊O) 화주 임학 복위(施主 任学 伏爲) 화주 추봉 만기(化主 樞峰 萬機) 망모 박씨 영가공..

창원...성주사 석조관음보살 입상

성주사 석조관음보살입상 새로 지은 관음전에 봉안되어있습니다. 용화전(2008년 5월 17일) 부도전 근처 용화전에 계셨습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에는 아직도 용화전 사진과 용화전에 있다고 등재되어 있습니다. "경상남도 창원시 천선동 성주사 용화전 안에 모셔져 있는...(하략)" 민원 제기하면 창원시청으로 넘어갈 거고... 혈기왕성했던 시절에는 활화산이었는데 이제는 지쳤습니다. 창원 시청도 도찐개찐 입니다 "성주사 진입로변 용화전 내에 봉안되어 있는 성주사 관음보살입상은...(하략)" 2008년 5월 17일 사진 석조 관음보살입상 신체와 광배, 연화대좌를 일석으로 조각한 고려 전기 관음보살 입상입니다. 특별한 조식이 없는 두광 바깥에는 화염문으로 장식하였으며, 화문으로 장식한 높고, 긴 보관을 쓰고 있며 보..

진해...심원사 석조여래좌상, 88 야불

심원사 노마드 님이 올린 한 장의 사진 수십 번도 더 들쳐보았던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에 등재된 석불좌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기의 88야불에 묻혀 간과해버린 나의 일천한 안목이 이제 부끄럽지도 않습니다. 불상의 원 위치는 탐문하지 않았으며, 노천의 자연 암반위에 계시며 대좌는 후보 하였습니다. 석조여래좌상 첫눈에 몹시 낯선 불상으로 보인 까닭은 광배 때문이었습니다. 방형, 불두 보다 낮고 좁으며, 불신의 무릎이 광배 보다 큰 모습 때문에 88야불과 함께 조성된 근대불로 보였습니다. 다녀온 후 몇몇 특징이 눈에 보여 근대불이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으며, 소개한 자료에 고려불상이라 기술된 내용도 충분히 이해가 되었습니다. 광배 좁고, 특별한 문양이 없는 방형 광배로 보았으나, 둥글게 마감..

진해...청룡대 각석

청룡대 창원시 진해구 가주로 35, 도로변에 위치한 자연 암반입니다. 문창후 최선생 청룡대비文昌候 崔先生靑龍臺碑 선생의 후손 들이 세운 비입니다. 청룡대 지금은 도로변 보호 펜스에 갇혀있지만 예전에는 바닷물이 들어오는 지류이었으며, 고운 선생이 지리산에 들어가기 전 이곳에서 머물렀다고 합니다. 청룡대 치원서 靑龍臺 致遠書 보통사람의 눈에는 들어오지 않습니다. 다행히도 탁본이 벽면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고운이 여기에서 낚시를 즐겼다고 했는데 왜 청룡대로 이름 붙였는지? 해운대, 몰운대. 청룡대, 월영정, 쌍계사. 해인사. 봉암사 제도권에 들지 못한 고운의 행적이 부러운 요즈음입니다. 2020.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