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창원시 76

창원...성주사 승탑원(부도전)

성주사 부도전 입구에 있는 부도전은 우리에게 익숙합니다. 성주사 부도전 https://blog.daum.net/12977705/8727096 오늘은 2 부도전을 찾아왔습니다. 그렇게 그렇게... 문화재청 한국의 사지에 실린 부도전 그중에 대구 남지장사, 창원 성주사, 제천 무암사의 부도를 찾아 백방으로 수소문 결과 절 못 실린 자료로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주지스님도 없다고 하였던 남지장사도 뵈었고, 성주사도 찾았으니 무암사도 있으리라 믿습니다 탑비 기단 비명이 궁금합니다 뜬구름, 제행무상이었겠지요. 부도(1) 기단부의 앙련과 복련 하기단에 중석이 겹쳐 있습니다 당호는 사치? 기단부 탑신 상륜부 낙수면 물매는 급하고 상륜은 일석입니다 부도(2) 당호를 새기지 않았습니다 지대석. 기단석의 앙련은 바..

창원...성산 패총 용화전 석불좌상

익히 아시는 옛님 우리 카페 답사를 비롯하여 여러 번 뵈었던 님 2012년 글이 가장 최근의 글입니다. https://blog.daum.net/12977705/8723785 오늘은 광배 뒷면 좌우의 석불좌상을 뵙기위해 들렸습니다 방형대좌 안상 2기를 새겼습니다. 우리나라의 방형 석불대좌 https://blog.daum.net/12977705/8726432 석불좌상 하부가 잘린 주형거신광배 머리에는 보관(?)이 있습니다 상호에는 백호를 새기고, 입술은 두텁습니다 목에는 삼도가 있으며, 우견편단의 법의, 항마촉지 수인, 결가부좌, 대의자락이 무릎 사이로 부채꼴을 이루며 흘러내렸습니다 보관을 착용하였으며 광배 중앙에는 화불, 아래에는 비천상을 새겼습니다. 광배 상단 화불을 모셨습니다 광배 측면 비천상입니다. ..

마산...금룡사 88 야불

2021년 3월 노마드(김현동) 님과 들렸을 때는 행방을 몰랐습니다. 이후, 노마드 님이 소재를 파악하여 사진을 보내주었으며, 오늘 찾아왔습니다 금용사(2021년) https://blog.daum.net/12977705/8727190 대웅전 옆 용왕각에 있습니다. 전형적인 일본 석등도 보이고 두 동강이 난 상태이지만 12번(十二 番)이 뚜렷합니다. 88 영장인지 33 관음인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일본식 석등. 88 야불 우리나라의 88 야불 https://blog.daum.net/12977705/8727086 금용사에서 바라본 뷰 2022.04.10

마산...불암사 석조여래좌상

불암사 창신고등학교 뒤편 주차장에서 20여분 약간의 경사가 있는 등산로를 오르면 닿습니다. 반룡사 반룡산 정상 부근의 큰 바위 아래 법당, 범종각, 5층 석탑, 요사를 갖추고 있습니다 "통일 신라 시대 진경(眞鏡) 대사가 수도했다고 하며 몽골군이 마산에 주둔할 때 불태워졌다. 조선 성종 때 학조(鶴祖) 대사가 불암사로 이름 짓고 중창했지만 임진왜란 때 다시 소실되었다고 전한다. 1936년 보해(寶海) 장로가 중창했으나 쇠퇴하고, 불모산 장유암에서 출가한 비구 은파(隱坡)가 다시 중창하였다. 2012년 12월부터 비구 경인(景寅)이 활동 중이다." (디지털 창원문화대전) 전망대에서 바라본 마산 항 법당과 마애관음보살입상 사시예불 중이어서 동굴 속에 봉안된 불상은 촬영하지 않았습니다. 마애관음보살입상 왼손에..

창원...퇴기 백영월 영세불망비

퇴기 백영월 영세불망비 구룡사 입구에 위치 퇴기백영월영세불망비(退妓白映月永世不忘碑) 현장 안내문에 그녀에 관한 이야기가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디지털창원문화대전에는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묘와 봉제사에 대한 이야기도 실려있습니다. 백영월의 양아버지는 하유언이며 양오빠는 하성복이다. 후사가 없어 하씨 집안의 하소두를 양자로 삼아, 현재 하찬석으로 대가 이어지고 있다. 백영월은 3~4세 때 당시의 창원군 북동마을의 유지였던 하유언의 집 대문 앞에 버려졌다. 이에 하유언이 양녀로 받아들이고는 수소문하여 백영월의 본 수원백씨(水原白氏)를 찾아주었다. 18세까지 하유언의 집에서 살다가 19세 때 가출을 하였다. 이 후 백영월은 큰돈을 모은 뒤 다시 하유언의 집으로 돌아와 북동마을에 자신의 전 재산..

창원...창원 박씨 어사옥비

어사옥비 창원 북면 대한리 소재. 모선재(慕先齋) 창녕 조씨 재실 감금입니다 보호각이 아니라... 어사옥비(御賜玉碑) 중종 임금이 내린 비석입니다. 숙인 창원박씨지묘(淑人昌原朴氏之墓) 즉, 묘 앞에 있었던 묘비입니다. 도난의 우려 때문이겠지만 제자리로 옮겼으면 좋겠습니다. 비좌위에 탑신과 비수가 한 돌입니다. 비수 태비, 비석 등. 우리에게 익숙한 모습입니다. 들린 연잎. 연맥. 보주 어사옥비(御賜玉碑) 숙인 창원박씨지묘(淑人昌原朴氏之墓) "창원 박씨는 노모 봉양 등 효심이 지극하였는데 이를 기리기 위하여 임금이 조치우 부부에게 『소학(小學)』을 내리고 옥비 두 좌를 하사하였다. 그 중 하나는 조치우에게 내린 청옥비이고, 다른 하나는 부인 창원 박씨에게 내린 백옥비이다. 청옥비는 조치우에게 내린 것으로,..

창원...진해 광천교비

광천교비(廣川橋碑) 옛 웅천현 동천에 설치되었던 광천교 비입니다. 현재는 도시개발로 광천교가 매립되어 비석만 옮겨 놓았다고 합니다. 광천교 현재 비석 옆의 광천교는 아닙니다 동천(?) 광천교비 1970년 5월 14일 현 위치로 옮겼습니다. 상단 광천교(廣川橋) 좌측 가로 대시주(大施主) . . . ㅁㅁ 사십이년ㅁ丑 이월 立 광천교(廣川橋) 대시주(大施主) ㅁㅁ 사십이년ㅁ丑 이월 立 보일 듯 말 듯 합니다. 康熙 년호이면 사십이년은 癸未이어서 간지가 맞지 않고... 달리 해석하여 崇禎 後 四 十二年 ㅁ丑이라고 독해하여도 이렇게 기록한 명문을 보지 못했으며(일반적으로 숭정 후 간지로 표기). 년호든 간지든 하나만 분명해도 건립 연도는 쉽게 추정할 텐데, 저의 안목으로는 해독하지 못했습니다. 눈 밝은 분의 혜..

창원...진해 장복사 88 야불

장복사 경내에 8분(88야불, 33관음, 신장)이 계십니다. 야불(1) 광배 전면이 아닌 광배 측면에 명문이 새겨진, 처음으로 접하는 유형입니다. 장복사에는 동일 유형의 상이 3분 계십니다. 43번 시주자 이름 야불(2) 38번, 하단에 시주사 성명 야불(3) 명문 훼손 야불(4) 광배 측면 명문 훼손된 갓 같습니다 야불(5) 광배 측면, 명문 야불(6) 야불(7) 야불(8) 장복사 야불 야불, 관음, 신장 상이 모두 있으며, 3곳에 봉안되었었던 상으로 추정됩니다. 2021.03.06

창원...마산 여항 분교 석조약사여래좌상

진전초교 여항분교 1999년 진전초교와 통폐합되어 폐교되었으며, 관리 부재로 을씨년스러운 모습입니다. 석조약사여래좌상 가까운 곳에 금암리사지가 있으나 안태고향은 전하지 않습니다. 대좌, 광배는 망실되었으며, 오른쪽 무릎, 오른 손, 목 등을 보수하여 원모습을 잃었습니다. 낮은 육계 나발, 발제선이 뚜렷합니다 방형 상호, 살찐 볼, 반달형 눈썹, 눈, 코는 마모가 심하며, 훼손되었지난 입술이 육감적입니다. 삼도 흔적이 보이고, 우견편단의 법의, 왼손에 약함을 들고 있어 존명을 알 수 있습니다 무릎이 두터워 안정감이 있으며, 길상좌를 결하였습니다. 고려초기 이전의 작품으로 추정됩니다. 목부분 보수 삼도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약함 측면 나발이 확인됩니다 상호 측면 마모되었지만 두툼하고 육감적인 입술처럼 느껴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