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야...반룡사 반룡사 순례기도 2004.02.28일 다녀온 글이다. 원본은 그대로 두고 사진 아래부터는 2008.12.25일 답사후 새롭게 추가한다. 인용문은 문화재청과 전통사찰정보에서 가져 왔다. 고령읍내를 우회하여 지산동 고분과 박물관을 지나 쌍림 딸기단지를 못미쳐 우회도로를 접어드니 먼 옛날 .. 경상북도/고령군 2009.01.09
대가야...산당리, 하거리, 화암리 성혈, 봉평리 암각화 쌍림 석재공장을 스쳐 산당리 마을을 들어갔다가 되돌아 나와 공장 종사자에게 질문했더니 잘 물었다며 자기가 아니고는 찾을 수 없을거라고 했다. 길가에서 바로 보이는 성혈은 사진과는 차이가 있다며 위치를 안내해주셨다. 위에 보이는 너럭바위 전체에 성혈이 나타나 있다. .. 경상북도/고령군 2009.01.08
대가야...가야조선소지, 상무사 기념관, 가야 벽화 고분 동행한 님에게 넌지시 물어 보았다. 내부에 들어 갈 수는 없지만 가야 유일의 고분벽화가 발견된 고분과 조선소터에 가 볼까?라는 말에 희미하게 미소만 짓는다. 不敢請이언정固所願이렸다!! 대가야 조선소지.여기서 건조된 목선이 회천, 낙동강을 건너 남해항로를 거쳐 중국으로.. 경상북도/고령군 2009.01.06
대가야...고령향교.지산동 당간지주 고령향교보다는 뒷편 연조 공원의 석탑.불상 부재를 만나기 위해 올랐었다. 부재는 없었다. 모르긴해도 박물관 개관과 더불어 옮긴 듯 하다. 2004.02.28일 연조공원에 들렸던 글을 가져온다. 향교와 당간지주글은 문화재청에서 가져왔다. 고령읍의 답사 의미를 해인사 원당암의 탑과.. 경상북도/고령군 2009.01.05
대가야...양전리 & 안화리 암각화 양전리 암각화 과거에 올린 답사기는 잘 수정하지 않는다. 그것도 재산이며, 철없이 까불었던 흔적이기 때문이다. 포항.경주서 온 님들과 새롭게 발견된 고령 운수의 암각화를 만나러 가는 길에 다시 고령의 옛님들을 만났다. 아랫글은 2004.02.28일 다녀온 글을 그대로 올린다. 사진.. 경상북도/고령군 2009.01.04
대가야...개포동 관음보살좌상 옛님의 보일러, 김환대과 2008.12.25에 다녀왔다. 인용문 출처는 문화재청이며, 내 글은 2004.2.28일에 올린 글이지만 수정 않고 그대로 다시 가져왔다. 틀린 부분이 많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용서하길 빈다. 대학교 시절 부터 친구놈의 고향이기에, 문화유산에 눈을 떠고도 숱하게 다.. 경상북도/고령군 2009.01.03
[스크랩] 고령...대평리 석불입상 금관가야와 더불어 가야문화를 꽃 피웠던 대가야 옛도읍 고령은 많은 문화유적에 비해 크게 각광받지 못했었다. 서해로 향하는 루트, 섬진강을 통해 중국과 교류하였던 뱃길 등 최근에는 숨겨진 역사가 빛을 받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고령 답사 동선은 주산성, 지산 떼고분, 대가야 박물관, 시.. 경상북도/고령군 2008.06.06
[스크랩] 고령 / 읍내를 헤매다. 고령읍의 답사 의미를 해인사 원당암의 탑과 같은재질 모양의 반룡사 다층 석탑을 보기위한 여정이었음에도 결국 친견치 못하고 말 것 같은 불안감이 엄습해온다. 반룡사에서 만난 스님도 사찰에 주석하신지가 불과 이틀 전이라며 소재를 알 수 없다고 하시어 깨구리님의 조언을 참고로 고령박물관.. 경상북도/고령군 2008.06.06
[스크랩] 고령 / 점필재 김종직 종택 쌍림 들판의 딸기 비닐 하우스 물결을 스쳐 지나가며 잠시 대가야를 생각해보지만 한나절의 여정으로 어찌 대가야를 순례했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라는 자책감에 맘이 편치 않다. 양전동 청동기 유적,지산동의 후기 가야왕국의 고분군,지산동 당간지주,반룡사 다층탑을 비롯한 신라의 유적,개포리 관.. 경상북도/고령군 2008.06.06
[스크랩] 고령 / 반룡사 고령읍내를 우회하여 지산동 고분과 박물관을 지나 쌍림 딸기단지를 못미쳐 우회도로를 접어드니 먼 옛날 미숭산 반룡사의 영화를 그리워 하듯 고령문화학교에서 세운 솟대가 북쪽하늘을 향해 무념의 빈 눈동자를 보내고 있다. '용 1리' 라는 동명으로 보아 반룡사의 입지가 용의 형국에서 유래되었.. 경상북도/고령군 2008.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