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군위군 52

군위...위성리 약사여래입상. 위성리 마애삼존불 , 위성리석불좌상

위성리 약사여래불과,위성리 마애여래불 글은 2005년 12월 올렸었다. 2005년 답사기 아래의 사진과 글은 2012년 6월에 추가하였다. 위성리 약사여래불...2005년 12월 법주사에서 소보면 소재지, 군위읍 방향으로 되돌아 나오면 경북대사과연구소내에 위성리 들판을 내려보며 약사여래불이 자리..

군위...석산리 석불좌상

화북리 인각사를 경유하여 석산리 석산초교 까지 달리면 된다. 석산초교 교문을 등지고 우측편 슈퍼 옆길로 들어가면 과수원 옆 전각속에 모셔진 석불이 보인다. 작은 전각속에 봉안되어 있어 갑갑하게느껴진다. 사적이나 불상에 대한 유래는 전해오지 않는다. 고로면의 지명유래에 "유사골·유사(有司·有寺)이라고 부르는 이 곳은 들 북동쪽에 있는 마을로 , 부락뒤에 불사당(佛寺堂)이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여 유사골이라 한다."라는 마을소개가 있지만 이 불상과 관련 여부는 확인하지 못했다. 맷돌은 아들을 바라는 민초들의 소박한 바람으로 마련한 기자신앙의 부산물이다. 석불좌상으로 양손을 무릎위에 둔 항마촉지인 수인이다. 신체에 비해 역삼각형 얼굴은 크며 목이 짧아 거의 보이지 않는다.법의는 흔치 않은 양식으로 매듭에 단추를..

군위...서부리 석탑. 척화비

잘못된 정보 탓에 서부리를 헤매이다 김환대님에게 문의하여 소재를 파악했다. 군위군청 화단에 척화비와 나란히 위치해 있었다. 늘 느끼는 아쉬움과 울분이지만 지자체 홈페이지에 비지정 문화재 목록을 소개하면 좋을 것이다. 문화재청에 건의하였더니 "귀하의 의견은 채택되지 않았습니다"라고 하더군!! 하지만 충북, 경기 일부 지자체 문화관광 홈페이지에는 현재도 등록되어 있다. 지대석에 복련이 피었고. 엔타시스가 뚜렷한 기단과 기단갑석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제짝은 맞는걸까? 옥개석 처마가 깊지 못하여 옥개받침과 물받이 홈이 어색하다 내기억이 분명하다면(자신이 없지만...) 예전에 서부리석탑 3층몸돌과 옥개석을 보았던 것 같은데, 어디로 갔을까? 군청사 석탑옆. 군위 척화비. 우리님들 내용은 아실테고 문화재로 지정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