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영동군

영동...천태산 영국사

임병기(선과) 2024. 10. 13. 04:32
300x250
300x250

이번이 3번째 순례길

오늘은 동호회원 들과 함께 하였습니다.

 

옛글로 대신하며 사진 몇몇 장 올립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4932

대웅전

만세루에 걸린 현판에 따르면 1980년 해체 보수하였습니다.

만세루 현판

불단

영산회불탱은 모본이며 진본은 불교중앙박물관에 있습니다.

목조보살좌상

대웅전 석가여래 우측 협시보살로 모셔진 관음보살좌상이다. 조각승 여찬(呂贊)이 제작에 참여했고 단아한 양식의 18세기 전반 충북지역의 불상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존상 대좌에 적혀 있는 조성기에는 1702년과 1711년의 제작 기록이 있고  보살상 대좌에도 좌, 우의 묵서명이 남아 있다.

목조대좌

별잠바 님 설명 중에 건축 용어 외에 꼭 기억해야지라고 생각했던 것이 있었는데...

건륭26년명 범종 乾隆二十六年銘梵鍾
조선후기 1761년에 장인 이만돌이 제작하였다.

良工 李萬乭

연곽의 덩굴문(연화문?)이 치밀하다.

영산회상도. 1907

예전 답사 때는 인연 짓지 못했습니다.

畵記

光武十一秊丁未五月上壇幀新造成奉 安于天台山寧國寺

證明 禾万(?)  誦呪圓潭 周衍 持殿禮雲應眞 金魚錦湖若效 片手普應文性

우리에게 익숙한 금호 약효, 보응 문성 스님이 참여하였습니다.

수조(1)

명문

忠淸北道O川郡O伊院O 沃川里 大施 主李O 住持朴東O 化主 金三玄 丙子五月日 天台甘泉

병자년. 국가유산청 한국사찰문화재에는 조선시대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1876년일까요?)

수조(2). 조선시대

중수기.

만세루에 걸려 있습니다.

光緖十九年癸巳正月上元雙竹堂題. 1893년

삼층석탑

옛 절터에 도괴된 상태의 탑을 1942년 주봉조사가 현재 자리로 옮겨 복원하였다.

문비와 자물쇠

상층기단 중석

 

상층기단 면석에 안상이 크게 조식된 석탑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728

종형 부도. 원구형 부도

예전에 카페에서 뜨겁게 논쟁했었는데

 

화염보주. 용뉴의 변형...

내용이 생각나지 않습니다

원각국사비. 1180

분명 답사하였는데 전혀 기억이 나질 않았습니다.

큰일입니다.

 

"원각국사부도?

팔각원당형 부도로 기단, 탑신, 상륜으로  조성되어 있다.

팔각 지대석과 하키단은 한 개의 부재이며 하기단 중석과 기단중대석에는 면마다 안상을 새겼다. 기단상대에는 한 겹의 앙련과 복련을 표현하였다. 탑신에는 한 면에 직사각형의 문비 안에 자물쇠 모양을 돋을새김 하였다. 지붕돌의 각 면에는 기왓골은 깊고 날렵하며. 상륜에는 복발과 보주가 남아있다. 조성시기는  원각국사비와 관련하여 고려 명종 10년(1180)에 만들어진 부도로 추정한다."(2016년 포스팅)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

조명을 비추니 뚜렷합니다.

수조(3)

만세루 아래에 있습니다.

 

명문이 새겨진 수조 외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60

위의 명문이 있는 수조와 더불어 천태감로수라고 새겼습니다.

도피안

감로수를 마시면 도피안에 이릅니다.

乙亥?

망탑봉 정상에 위치한 화강암반을 기단으로 삼았다. 기단(탑신 괴임?)에는 우주와 안상을 표현하였다. 초층몸돌과 탑신괴임이 일석이며 탑신에는 양우주를 모각하였다. 또한 초층 몸돌에는 위·아래가 돌출된 액자형 문비를 두었다. 지붕돌 낙수면 물매가 얕으며 처마의 반전은 희미하다. 옥개받침은 1층 5단,  2·3층은 3단이다. 상촉하관이 뚜렷하다

우주. 안상

초층 탑신석

돌출된 문비, 

초층 옥개석 층급받침 2단을 별석으로 조성하였습니다.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의 1,2층 옥개석과 층급받침이 별석으로 기억됩니다.

나원리 오층석탑

나원리 오층석탑.1.2층 옥개석과 별석 층급받침

암반 위에 조성된 석탑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25

만추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를 찾아 다시 순례하고픈데.

 

2024.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