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서지리 조산. 선돌 내북면 서지리 179-3 터골마을 입구의 조산과 선돌. 마을 옆에도 조산이 있다.선돌은 지신地神, 조산은 장군으로 칭하며 2기 조산과 선돌을 동구지신洞口之神으로 모신다. 우리 민족의 전형적인 마을신앙이다. 매년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동신제를 지내며, 선돌에 먼저 제사를 지낸 다음 서.. 충청북도/보은군 2015.05.25
보은...아곡리 장승 내북면 아곡리 70-1 버스 정류소 옆 마을 입구에 자리한 3기의 석장승이다. 본래 3기는 아니었을 것이다. 하지만 보은 문화원 자료에는 2기로 기록되어 있으며 정월 13~14일 구룡산에서 산신제를 올린 후 장승 앞에서 수구막이제를 올린다고 한다. 수구막이제는 동제, 장승제와 같은 의미이.. 충청북도/보은군 2015.05.24
보은...법주리 장승 내북면 법주리 187 마을 북쪽 도로변과 맞은편 들녁 느티나무 아래에 조성된 문인석 모습의 마을맥이 장승이다. 도로변 장승. 수령 270여년 된 두그루 느티나무 아래에서 매년 음력 1월 14일 장승제를 올린다고 한다.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장승제에 필요한 경비는 십시일반 추렴.. 충청북도/보은군 2015.05.24
보은...망월사 석불좌상.거북바위 회인면에는 몇년전 회인객사 답사로 들렸지만 이번에는 우리카페 푸른바다님이 올린 석불좌상을 뵙기위해 동선을 잡았었다. 사전에 인지한 회인초교 뒷담장길로 접어들자 성황당이 먼저 반긴다. 성황목과 조산 2기가 지난 세월을 가슴에 머금고 정겨운 눈빛으로 마중한다. 동제도, 찾는.. 충청북도/보은군 2015.05.23
보은...보은사 석불입상 보은사. 보은읍 삼년산성 북문지 안쪽에 자리한 사찰로 1902년 박경하 스님이 창건하였다.예전에는 불상을 모신 측면 한 칸은 늘 개방되어 있었지만 석불입상은 시건장치로 인해 뵙지 못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었다. 오늘도 확신이 없었는데 새롭게 불사한 미륵전이 보여 안도의 한숨을 지.. 충청북도/보은군 2015.05.23
보은...회인 인산객사 회인 인산객사 외삼문 객사는 고려, 조선시대에 걸쳐 각 고을에 있던 관사이다. 조선시대에는 궐패를 모시어 삭망에는 궁궐을 향해 배례하였고 여행하는 관리들의 숙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객사의 배치형식은 정랑을 중심으로 좌우에 익랑을 두고 전면에는 중문, 외문과 행랑이 있는 .. 충청북도/보은군 2012.10.03
보은...보은 동헌 세워진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순조(재위 1800∼1834) 때 고친 것으로 전한다(1860년 철종11년에 고쳐지었다는 자료도 있다). 융희 1년(1907) 의병활동을 진압하기 위해 출동한 일본 헌병대가 강점한 후 계속하여 보은경찰서로 사용되면서 내부구조가 많이 바뀌긴 했으나, 17세기 말경에 지.. 충청북도/보은군 2012.10.02
보은...속리산 법주사 일주문 대찰 답사기는 늘 조심스럽다. 예로부터 작금에 까지 많은 문인재사. 역사학자. 미술사학자.여행작가들의 현란한 문장과 미사여구. 비교와 분석에 근거를 둔 명확한 해설서가 넘쳐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는 나의 주장과 감정을 최대한 배제하고 문화재에 대한 설명으.. 충청북도/보은군 2012.09.29
보은...속리산 금강골 쌍탑 속리산 입구를 차량으로 진입하여 차량 출입을 통제하는 분과 잠시 깊은(?) 대화를 통하여 출입 허가를 득하였다. 그리고 세심정 까지 문명의 이기를 누렸다. 선운사 도솔암. 오대산 상원사 길은 비포장 먼지길이서서 통행인들에게 죄스러운 맘이지만 세심정 까지는 포장이 잘 되어 있었.. 충청북도/보은군 2012.09.27
보은...서원리 소나무. 정이품송 선병국고가에서 법주사로 향하는 서원리 입구에 자리한 천연기념물 325호 소나무다. 상현서원으로 인해 서원리 마을이름이 유래된 듯 보인다. 나이는 약 600살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 15.2m, 뿌리 근처의 둘레 5.0m, 줄기는 84㎝ 높이에서 2개로 갈라졌으며, 전체적으로 우산모양을 하고 있다. .. 충청북도/보은군 2012.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