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보은군 55

보은...기계 유씨 석조 보실

석조 보실(譜室)장안면 불목리 기계 유 씨 묘역에 위치 2,019년 근처 관기리 능성 구 씨 석조보갑 답사 후 불목리에 들려 주민들을 대상으로 탐문했지만 확인 못했었습니다.답사기를 읽은 우리 카페 그리움 님이 댓글로 위치를 알려주었고, 이번에 푸른바다 님께서 현장 답사 후 포스팅해주어 일사천리로 찾았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석조 보감(보실)은 불목리와 고봉정사 2곳이 전하며, 태안 마애삼존불 앞 태을 동천 각자 옆의 김해김씨 장보암, 산청 구형왕릉의 김해 김씨 장보암, 대전에는 족보 바위가 있습니다. 족보 바위는 코로나 때문에 대전 방문이 차일피일 연기되고 있지만, 사진으로는 마애 부도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나라의 보갑(보실), 족보 바위https://cafe.daum.net/moonhawje/..

보은...법주사 수정암 석조여래좌상. 비구니 태수 부도

수정암 법주사 초입, 마애불상 아래에 있는 산내 암자 "정확한 창건시기는 알 수 없으나 553년(백제 성왕 31년) 의신義信) 스님이 법주사와 함께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1914년 태수泰守) 스님이 칠성각·독성각·산신각을 비롯해 현재 비구니 스님들의 수행공간으로 쓰이는 대선방大禪房)을 지었다. 1960년 선방을 다시 지었고, 1973년 극락전·진영각·요사채 등의 전각을 세웠다. 암자 입구에는 태수스님의 부도와 탑비, 방인혁공덕비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 동국대박물관 수정암 석조여래좌상 http://blog.daum.net/12977705/8726579 극락전 삼존 중앙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문화재 지정은 되지 않았지만 조선후기 불상으로 생각됩니다, 석조여래좌상 삼존불 향우측에 봉안되어 있습니다. ..

보은...순조대왕 태실 금표.화소(하마비). 봉교 금유객 제잡역 비

순조대왕 태실 금표 법주사 세심정 못 미쳐 200여 미터 지점 왼쪽에 위치 금표 어림잡아 최소 14번은 오르내렸는데 이제 인지했으니. 차량 이동의 역기능이겠지요 금표 禁標 지근의 순조 태실 금표로 추정됩니다 후면에는 西라고 새겨 금표가 사방에 세웠음을 보여줍니다. 순조 태실 1,787년 태봉 조성 즉위 후 1,806년 태실 가봉 때에 조성한 비로 추정됩니다. 순조대왕 태실(2,015년) http://blog.daum.net/12977705/8724727 하마비 법주사와 개울을 사이에 두고 있습니다. 화소 火巢 하마비 뒷면 하마비를 법주사 하마비와 화소로 이해하고 있었는데, 순조 태실 화소로 생각됩니다. 법주사 화소라고 추정하기에는 방화벽 공간이 없습니다. 순조 태실과는 다소 거리가 멀지만, 융건릉의 화소..

보은...속리산 본속리암지

본 속리암지 저의 미답사 목록에는 천왕사지(출처를 찾지 못 함)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금년 봄 오분향님이 다녀온 후 본속리암지로 알려주었습니다. 속리산 폐사지와 문화재에 대하여 해박하신 법주사 중사자암의 지륜스님께서도 정시한의 산정무한, 퇴경당스님 전서의 한국의 사암에도 본속리암지가 기록되어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가는 길 꼭 답사를 원하시는 분에게는 디테일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상환암 고갯마루 상환석문(전) 상환석문(후) 수정암지 산 허리를 가로질러 앞쪽 바위에 올라서면 전망바위에서의 조망. 부도가 먼저 반깁니다. 돌아 나오면서 살펴보고... 향좌측 소로를 따라 작은 도랑을 건너면 사지가 눈앞에 전개됩니다. 금당지 부처님께서 반겨 주십니다. 본래 위치는 아닌 것 같습니다. 금당 평탄지 아래로 내려가면 도괴..

보은...보은 향교.홍우룡 철비

보은향교 홍살문 앞 하마비와 철비가 나란히 서있다. 보은향교 외삼문 명륜당 보은 향교 "조선 세종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인조 이후 여러 차례 중건하고 보수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 등이 있다. 명륜당은 1871년(고종 8)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하게 된 상현서원(象賢書院)의 강당을 옮겨 지은 것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목조와가이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

보은...속리산 여적암 마애삼존불.마애십육나한상

몇 해전 한국의 사지에 등재된 여적토굴 마애여래좌상, 중.하관음암지 부도 답사할려고 법주사 동암을 거처 묘봉으로 올라가는 스님 명상길에서 스님 한 분을 만났다. -.처사님 여기는 출입 통제구역 입니다. -.예 스님 알고 있지만 제가 우리나라 마애불을 모두 뵙기위한 원을 세워 참배하려고 왔습니다. -.(인상이 나쁘지 않았는지) 한 분을 뵈로 왔나요?, 여러 분을 뵈러 왔나요? -.(머리가 둔한 탓에) 마애여래좌상을 뵈러 왔습니다. -.굴속에 작은 부처님 위치를 알려주시며 20여분 걸릴 거라고 하셨다. 결국은 여적토굴 불상도 고생만하고 뵙지 못했었고 오늘 뵈었다 그런데, 우리 카페 오분향님이 답사 후 올린 마애십육나한상을 보고 그 스님 말씀이 불현듯 떠올라 오분향님과 확인 후 차일피일 미루다가 오늘에야 인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