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화순리 방사탑 화순리 방사탑(거욱대) 방사탑의 상징과 조성 배경, 육지와의 차이는 인성리방사탑 글로 대신한다. 화순리 방사탑에 대한 자료는 몇몇 보이지만 정확한 위치에 관한 글은 없다. 다만 해안가에 있는 1기 방사탑 사진은 보이지만 역시 찾아 가는 길은 언급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화순리에서..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 2018.02.15
제주...상모리 석인상 상모리 석인상. 모슬포 우체국 화단, 좌우에 입석(?)과 나란히 자리잡고 있다. 여러 자료에는 조선 영조조(1749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명확한 근거는 미약하며, 제주 3성에 돌하르방을 세운 영조 재위시대와 동일 시기로 보아도 큰 혼선은 없을 듯하다. 민초들과 동고동락하..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 2018.02.14
제주...대정 향교 대정향교 향교 개교 편년이 정확하지 않아 문화재청과 서귀포시청 홈페이지에는 1416년(태종 16년),한국학중앙연구원에는 1418(태종 18)년 또는 1420(세종 2)년으로 대정현 안에 세웠다고 설명하고 있다. 1653(효종 4)년 목사 이원진이 현재의 단산 아래로 이교하였다. 그 뒤 1669(현종 10)년,1688(숙..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 2018.02.13
제주...인성리 방사탑 인성리 방사탑 제주 가족여행 동안 민속신앙 문화재 중에서 꼭 답사하고픈 목록이 돌하르방.방사탑.본향당,도대불,국방시설로서는 연대. 환해장성으로 몇 곳의 방사탑을 주마간산식으로 돌아보았으나 도대불은 훗날을 기약했다. 인성리 방사탑은 뒤편 박쥐가 날개를 펼친 모습의 단산..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 2018.02.12
제주...추사관 돌하르방 돌하르방 조선 시대 제주현, 정의현,대정현 성문 입구에 세워져있던 석상石像으로, 마을, 성 수호신, 벽사, 성주민들의 안녕,풍농, 이정표 기능을 상징하고 있어, 육지의 마을장승, 사찰장승, 성문 장승과 동일한 목적으로 조성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돌하르방은 우석목, 무성목, 벅수..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 2018.02.12
제주...색달동 지석묘 색달동 지석묘 1호 서귀포시 색달동 1741-1 1호라는 지정명칭으로 판단컨데 주변에 다른 지석묘도 산포함을 추정할 수 있다. 존자암지에서 내려와 대정읍 추사기념관으로 향하는 산간도로변에 위치한다. 전형적인 남방식 고인돌로 개석은 장방형 이다. 덮개돌 상부의 성혈(?) 기단을 조성..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 2018.02.12
제주...존자암지 세존사리탑 존자암. 존자암지에 중건한 사찰이다. 존자암의 창건과 폐사에 관한 사적은 전하지 않으나 조선시대 제주에 유배 온 사람들의 글에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한다.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1498년 유배 온 홍유손이 1507년 지은 존자암개구유인문尊者庵改構侑因文 "존자암은비보소(裨補所)이자 세..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 2018.02.11
제주 여행 2018년 2월 1일 저녁 제주 도착 2018년 2월 4일 저녁 대구 도착 가족 여행 나홀로 답사는 쉽지 않았습니다. 유일한 자유시간인 오전 10시 이전에 이틀간 눈이 내려... 석조물 위주로 섭렵하고 돌아왔습니다. 존자암 색말 고인돌 추사관 추사관 인화리 인화리 인화리 대정향교 모슬포 석인상 화.. 제주특별자치도/제주 2018.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