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안동 / 학봉 종택(4) 윤학준이 누구인가? 그는 경북 예천이 고향으로 학봉종택이 있는 금계가 외갓집으로 그 시대의 풍습에 의해 (맏이는 외갓집에서 낳는다) 외가에서 태어났으니 학봉 집안이 외가의 친척이며 1953년 6.25를 피하여 일본으로 간 후 좌익에 가입 반한 운동을 한 인물로 오랫동안 조총련계에 몸담은 관계로 귀..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
[스크랩] 안동 / 학봉 종택(3) 다시 바깥마당으로 나오면서도 종손 어른을 뵐 수 있는 묘책이 떠오르지 않아 풍뢰헌 운장각도 눈에 들어오지 않고 초조한 맘 가눌 길 없어 촛점을 잃은 눈동자로 안내문만 응시하고 있는 중에 사랑채 문이 열리면서 무인풍이 역력한 모습의 어르신이 나오신다. 학봉의 14대 종손 김시인 어르신이 분명..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
[스크랩] 안동 / 학봉 종택(2) 바깥마당을 거쳐 안마당으로 들어가려는 순간 티없이 순박한 모습의 처자가 중문으로 나오길래 "들어가도 좋겠습니까?" 하였더니 주저함 없이 그러하시란다. 하긴 봉제사 접빈객이 양반 집안의 자랑인데 문전박대 할 수 있겠는가. 종택은 설계도를 먼저 그린 후(설계도가 운장각에 지금도 보관..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
[스크랩] 안동 / 학봉종택(1) 많은 사람들이 내게 던지는 질문의 하나가 고택, 종택을 찾는 이유가 뭐냐는 것이다. "그냥 좋아서요" 라고 궁색한 답변을 하지만 내외구분이 엄격한 배치와 그에 따른 건축부재의 조화, 풍수지리적 양택 조건, 종가집의 내력, 중시조를 비롯한 집안의 선비의 사상, 제례 및 음식 문화 등 전공분..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
[스크랩] 초가을 낙동강 자락...선산 / 도리사, 보천사 모례가정을 거쳐 도리사로 향하는 길에 보통 사람의 묘보다 더욱 잘 단장된 의구총(義狗塚)을 만났다. 전북 임실 오수의 의견비가 유명하지만(유명하다는 의미?...보신탕인가 ㅋㅋㅋ) 이곳의 멍멍이도 술에 취해 잠든 주인을 화재로 부터 구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오고 있다. 아도 화상이 머슴살이의 댓.. 경상북도/구미시 2008.06.04
[스크랩] 초가을 낙동강 자락...선산 / 쌍암 고택 황구가 요란스럽게 짓는 것을 무시하고 주인 없는 바깥 행랑채를 들어갔더니 근처 논에서 일하시던 어르신이 달려오셔서 우릴 맞이한다. 지례짐작으로 어르신의 함자가 최 상자 학자 이신가요? 여쭈었더니 얼굴 가득 사람 좋은 웃음 가득 머금으면서 “저는 순자 보자요” 하시며 쌍암고택이 문화재.. 경상북도/구미시 2008.06.04
[스크랩] 초가을 낙동강 자락...선산 / 궁기리 석불, 모례가정 언제 스쳐왔는지 기억도 가물가물한 눈에 익은 주변 풍광에 모례가정(毛禮家井)을 향한 달구지 차창으로 궁기리 석불 안내판이 보인다. 횡재다!!! 계획에 없던 돌부처는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져 있을까? *선산 궁기동 석불좌상(왼쪽) 답사를 하다보면 지역의 산골에 숨어(내동댕이쳐져 있다는 표현.. 경상북도/구미시 2008.06.04
[스크랩] 초가을 낙동강 자락...선산 / 죽장동, 낙산동 석탑 이번 답사는 구미, 선산지역이라지만 기실 낙동강을 감아 도는 여정인 셈이다. 죽장동 5층 석탑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5층 탑으로 알려진 탑은 감실, 낙수면의 층급, 탑신의 귀기둥이 없는 것 등으로 모전석탑으로 분류된다. *선산 죽장동 오층석탑 저 정도의 높이라면 1000년 전에도 소박한 심정으로 .. 경상북도/구미시 2008.06.04
[스크랩] 초가을 낙동강 자락...구미 / 금오서원 예천, 상주 답사 이후 동행할 기회가 없었던 상감마마와의 답사도 늘 그렇듯이 전날 밤 갈래? 갑시더! 간단한 통화로 이루어 졌다. 조선 인재의 반은 영남에서 나오고 영남 인물의 반은 선산에서 나온다는 말은 풍수지리사 들은 금오산 때문이라 즐겨 말한다. 즉 선산에서 바라보는 금오산이 문필봉 같.. 경상북도/구미시 2008.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