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금암리 삼층탑 네비양을 믿고 도착한 금암 3리. 주민들도 금암 3리가 맞다고 했지만 탑선골은 없다고 했다. 그러던 중 할머니 한 분이 산 너머 큰마을 용암마을에 가보라고 한다. 다시 나와서도 진입로를 찾지 못해 헤메이었다. 금암리 삼층탑은 옥천군 동이면 금암3리 용암마을 뒷편 구릉에 위치.. 충청북도/옥천군 2011.03.23
옥천...옥천경찰서 석탑 초병의 정중한 경례를 받고 목적을 이야기 하였더니 경계를 늦추고 둘러 보라고 한다. 나같은 보통사람들은 경찰서를 왜 무서워하는지 모르겠지만 실제 평일날 경찰서에 소재하는 문화재를 답사해보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더구나 전경이 아니고 사복 경찰을 만나면 꼭 신문당하는 .. 충청북도/옥천군 2011.03.22
[스크랩] 옥천...청석다리 충북 유형문화재 121호인 옥천 청석다리는 660년경 신라 문무왕 시절 만든 것으로 전해오고 있다. 군북면 증약리 경부선 철도 자리에 있었으나 철도공사로 인하여 증약마을 입구로 옮겼으며, 그 후 수해로 인하여 2001년 4월 옥천 향토전시관 야외로 이전하였다. 돌다리는 높이 1.75m, 너비 2.2m, 길이 9.83m이.. 충청북도/옥천군 2008.06.06
[스크랩] 옥천...용암사 옥천 용암사는 진흥왕 재위시 의신조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해오는 법주사 말사이다. 절부근에 용모습을 닮은 바위에서 유래한 사찰명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민족정기 말살책으로 파손되어 지금은 찾을 수 없다. 생몰연대를 알 수 없는 의신조사의 행적은 의신조사가 법주사 창건시에 흰노새에 .. 충청북도/옥천군 2008.06.06
[스크랩] 옥천...두암리 삼층탑 두암마을의 민가 옆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주위에서 고려시대의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이곳이 당시의 옛 절터임을 알게 되었다. 2층 기단, 하기단에는 안상이 조각되어 있고 4개돌로 이뤄진 기단갑석은 마모가 심하다. 상기단에는 우주와 탱주 1개가 새겨져 있다. 옥개석 받침은 삼단이며 1층 몸돌에.. 충청북도/옥천군 2008.06.06
[스크랩] 옥천...청마리 탑신제당, 솟대 같은 동이면인데 석탄리에서 청마리로 가는 길은 만만치 않다. 누구나 한 번 쯤 들렸을 경부고속도 금강휴게소 밑을 지나 굽이굽이 금강과 어깨동무하며 달려야 한다. 한참 후 비포장 도로에서 길을 물으니 청마리를 지나쳐 왔다. 고향가는 길. 초행길이지만 아주 눈에 익은 한국인의 정서와 어울리는.. 충청북도/옥천군 2008.06.06
[스크랩] 옥천...동이면 선돌, 고인돌 석탄리에 도착했다고 네비게이션도 서비스 종료. 하지만 입석과 고인돌 소재지는 오리무중이다. 마침 연세 지긋하신 어르신이 나오시길래 여쭈었더니 고인돌은 정확한 위치를 가르켜 주셨으며, 선돌은 동행해주셨다. 우리네 인심이요. 정이다 우리가 잊고 살아가는... 석탄리 마을 앞에 서 있는 선돌.. 충청북도/옥천군 2008.06.06
[스크랩] 옥천...척화비 다시 찾은지 10년도 더 지난 듯하지만, 동행했던 장인 어른의 한 마디가 아직도 귀에 생생하다. "임서방!. 이거 볼라고 여기까지 왔냐?" 옥천읍 삼양네거리에 위치한 척화비는 직사각형으로 마멸이 심하다. 가장 큰 이유가 전쟁중 적으로 오인한 피아간의 교전으로 인한 상흔이라고 한다. 여느 비처럼 .. 충청북도/옥천군 2008.06.06
[스크랩] 옥천...죽향 초교 옛교사, 죽향리사지 탑 시인 정지용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인인 육영수여사의 모교로도 유명한 죽향초등학교는 1909년 10월 1일, 사립창명학교로 설립되었다. 당시 일제 통감부는 1908년 공포한 사립학교령을 토대로 많은 사립학교들을 공립보통학교로 흡수통합을 실시하였는데, 사립창명학교 역시 1910년 옥천공립보통학교.. 충청북도/옥천군 2008.06.06
[스크랩] 옥천...춘추 민속관 지난 영동 답사와 마찬가지로 옥천 역시 문화재 이정표는 제로다. 충북도청에 강하게 어필하고 싶었다. 옥주사마소를 찾다 우연히 들린 지용생가 근처 춘추 민속관에서 기대치 않은 즐거움을 누렸다. 여러 곳에서 수집한 석물, 불상, 생활 용품이 전시되어 있고 솟대도 보인다. 누군가 무덤 앞을 지켰.. 충청북도/옥천군 2008.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