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마애승상 마애승상 부여 정기답사 집결지인 부여문화원 뜰에 봉안되어 있었다. 전혀 예상치 못했던 옛님과의 조우는 늘 가슴 설레는 일 아닌가? 주형거신광형태의 바위에 얕은 감실을 조성하고 승상을 저부조로 돋을 새김하였다. 둥근 상호, 코는 낮고, 입은 크지 않으며 귀는 길어 어깨에 닿았다... 충청남도/부여군 2017.01.17
[스크랩] 2017년 1월 부여 정기답사 사진으로 남깁니다. 몇몇 옛님은 글을 올릴 예정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정림사지박물탑 석탑 2기 외에는 인연을 지은 옛님이었기 때문 입니다. 시간이 촉박하여 뵙지 못한 대조사.상천리마애불.흥양리 오층탑은 천천히 인연지으시기 바랍니다. 2017.01.07~01.08 부여문화원 마애승상 정림사지 .. 충청남도/부여군 2017.01.16
부여...쌍북리사지 석조부재 쌍북리사지 부여 초교 부근의 사지로 백제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이 발굴되었다고 한다. 동호회 정기 답사 하루전에 도착하여 당일 아침 일찍 둘러보았다. 사지에서 발굴된 석조 부재를 운동장 한쪽과 중앙 통로에 모아 놓았다. 2017.01.07 충청남도/부여군 2017.01.16
부여...미암사 오층석탑 얼마전 미암사를 다녀온 우리카페 운심님이 석탑 사진을 올렸다. 예전에 없었던 탑이어서 확인차 부여 정기답사 하루전에 오랫만에 다시 찾았다. 와불 열반에 드신 모습이다. 쌀바위 "부여군 내산면 저동리 계향산 중턱에 자리잡은 미암사에는 사람 모습을 띤 커다란 차돌바위인 쌀바위.. 충청남도/부여군 2017.01.16
부여...도천사 사적비 도천사지.은산면 대양리 455-3번지 진입동선이 용이하지 않아, 좁은 농로를 돌고돌기를 여러번 반 복 한 후에 뵈었다. 현재 사역에는 와편.도자편이 산포해있고, 건물지가 유존한다는 기록이 보이지만 농경지로 확인해보지 않았다. 한국의 사지에 기럭된 사적비문에 의하면 "도천사道泉寺.. 충청남도/부여군 2017.01.15
부여...성림사지 부도 성림사지.세도면 사산리 576번지 일원. 길이 끝나는 사산리 절골마을 민가와 양봉장 일원으로, 주변이 낮은 구릉으로 둘러싸인 분지이다. 성림사의 창건과 폐사에 대한 기록을 알 수 없으나 19세기에 제작된 동여도東輿圖와 충청도지도忠淸道地圖(1872)의 임천군지도林 川郡地圖에 성림사.. 충청남도/부여군 2017.01.14
부여...한국전통문화대학교 오층석탑 오층석탑. 학교에서 근자에 기증(?) 받았는지, 아니면 답사꾼들의 눈에 띄지 않았는지 넷상에 처음 소개되는 것 같다. 동행한 풀빛님이 " 선과님.도대체 어떻게 탑이 눈에 들어 오던가요?"라는 말씀처럼 나도 사전에 전혀 인지 못했던 탑이다. 5층 옥개석이 결실된 단층기단의 5층석탑으로 .. 충청남도/부여군 2016.10.26
부여...한국전통문화대학교 삼층석탑 3층석탑 이 석탑은 우리 카페를 비롯 인터넷상에 널리 알려져 있다. 교정 정문에 들어서면 좌측에 바로 보이는 석탑은 조성시기에 논란이 많으며, 개인적으로는 근대탑으로 판단되어 사진에 담지 않았다. 옛부재와 후보물의 조합이다. 지대석은 4매의 판석,하기단 면석에는 1개 탱주, 양.. 충청남도/부여군 2016.10.25
부여...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부도 뜻밖에 뵌 부도 이 또한 답사의 즐거움이리라. 처음 보는(?) 유형의 부도 같다 제짝일까? 하대석과 하대저석? 하대상석은 팔각으로 면마다 복련을 조식하였다. 그 위에 탑신 하부에는 상대석처럼 구분하여 앙련을 새겼다. 탑신 하부는 원형, 상부는 사각인 흔치 않은 작례의 부도이다. 서.. 충청남도/부여군 2016.10.25
부여...홀 대신 물고기를 든 문인석 문무인석 우리나라 모든 박물관의 전시 단골 메뉴이다. 그것도 무리를 지어... 산업화 그 뒤안길의 서글픈 자화상이고... 박물관 답사 동선에도 포함하지 않고 멀리서 바라보고만 지난다. 이 분은 장승 같다. 어느 고을 고갯마루 또는 마을 동구에 계셨을테고. 비신을 잃은 거북의 표정이 .. 충청남도/부여군 2016.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