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300x250
마애승상 부여 정기답사 집결지인 부여문화원 뜰에 봉안되어 있었다.
전혀 예상치 못했던 옛님과의 조우는 늘 가슴 설레는 일 아닌가? 주형거신광형태의 바위에 얕은 감실을 조성하고 승상을 저부조로 돋을 새김하였다.
둥근 상호, 코는 낮고, 입은 크지 않으며 귀는 길어 어깨에 닿았다. 짧은 목에는 삼도가 보이지 않으며, 법의는 통견으로 길게 늘어뜨려 두발을 덮고 있다.
합장인 수인이다.
뒷면의 성혈
안내문에는 백제시대 승상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후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마애 승상
창녕 인양사 조성비 (昌寧 仁陽寺 造成碑) 창녕읍 교리에 위치한 비석은 통일신라시대 9세기 초의 불찰(佛刹) 조성에 관하여 기록하고 있는 특수한 비석으로. 통일신라 혜공왕 7년(771) 인양사 종 제조일로부터 비석을 세운 신라 헌덕왕 2년(810)까지 40년간 인양사(仁陽寺)를 비롯하여 이와 관련이 있는 여러 사찰의 범종(梵鐘), 탑(塔), 불상(佛像), 금당(金堂), 요사(寮舍) 등의 조성연대와 소요된 양식(糧食)을 낱낱이 기재하고 있다.
과천 용운암 마애승용군 마애승용군磨崖僧容群. 바위에 새겨진 스님들의 얼굴를 말한다. 한 개 바위 상단에 3분, 하단에 2분의 스님 얼굴이 조각되어 있다. 왜 얼굴만 새겼는지, 불상이 아닌 승상을 새겼는지 구체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 스님들의 얼굴은 엄숙한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눈은 감은 듯 뜬 듯 하지만 미소는 잃지 않고 있다.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정한다.
2017.01.07 |
300x250
300x250
'충청남도 > 부여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조왕사 석탑.비로자나불좌상 (0) | 2017.01.18 |
---|---|
부여...정림사지박물관 석탑 (0) | 2017.01.18 |
[스크랩] 2017년 1월 부여 정기답사 (0) | 2017.01.16 |
부여...쌍북리사지 석조부재 (0) | 2017.01.16 |
부여...미암사 오층석탑 (0) | 2017.01.16 |